단백질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계란후라이.jpg|섬네일|300픽셀|계란의 흰자는 거의 100%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계란후라이.jpg|섬네일|300픽셀|계란의 흰자는 거의 100%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베어그릴스단백질.jpg|섬네일|300픽셀|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손에 들고 있는 것은 [[뱀]]이다.)]]
 
[[파일:베어그릴스단백질.jpg|섬네일|300픽셀|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손에 들고 있는 것은 [[뱀]]이다.)]]
'''단백질'''({{llang|ko-Hani|蛋白質}} {{llang|en|protein - 프로틴}})은 [[아미노산]]을 구성단위로 하여 만들어진 큰 [[분자]]이다. 수많은 아미노산 분자끼리 [[펩티드 결합]]으로 결합되어 긴 사슬을 이룬 것이 바로 단백질이다.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20가지가 있는데, 아미노산의 종류와 순서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하나의 단백질을 이룬다고 해 보자. 그러면 첫 번째에 올 수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20가지, 두번째에 올 수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도 20가지...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20X20X20...=20<sup>10</sup>=약 10조 개 종류의 단백질이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단백질은 이보다 훨씬 많은 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백질의 종류가 얼마나 무궁무진한지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단백질'''({{llang|ko-Hani|蛋白質}})은 [[아미노산]]을 구성단위로 하여 만들어진 큰 [[분자]]이다. 수많은 아미노산 분자끼리 [[펩티드 결합]]으로 결합되어 긴 사슬을 이룬 것이 바로 단백질이다.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20가지가 있는데, 아미노산의 종류와 순서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하나의 단백질을 이룬다고 해 보자. 그러면 첫 번째에 올 수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20가지, 두번째에 올 수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도 20가지...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20X20X20...=20<sup>10</sup>=약 10조 개 종류의 단백질이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단백질은 이보다 훨씬 많은 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백질의 종류가 얼마나 무궁무진한지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은 [[고기]]나 [[근육]]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성장과 보수에 사용되며, 뼈를 지탱하는 힘을 준다. 조직과 세포의 주 구성성분이며, [[동물]]은 물론이고 [[식물]], [[곰팡이]], [[세균]]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보디빌더들은 특히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사를 하는데, 이는 단백질이 근육의 주 구성성분이 되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우유]], [[계란]], [[고기]], [[생선]], [[콩]], [[땅콩]]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으므로, 보디빌더처럼 우람한 근육을 갖고 싶다면 운동을 열심히 한 후 이 음식들을 많이 먹어라. 앞서 단백질의 종류는 20가지 종류의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고 했는데, 사실 이외에도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앞서 말한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를 '''단백질의 1차 구조'''라고 한다. 이 사슬은 사슬내의 일종의 인력에 의해 꼬이는데, 이를 '''단백질의 2차 구조'''라고 한다. 알파 나선구조나 베타 병풍구조가 여기에 속한다. '''단백질의 3차 구조'''란 전체 단백질의 3D 구조를 의미하며, '''단백질의 4차 구조'''란, 2개 이상의 단백질이 모여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단백질은 [[고기]]나 [[근육]]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성장과 보수에 사용되며, 뼈를 지탱하는 힘을 준다. 조직과 세포의 주 구성성분이며, [[동물]]은 물론이고 [[식물]], [[곰팡이]], [[세균]]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보디빌더들은 특히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사를 하는데, 이는 단백질이 근육의 주 구성성분이 되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우유]], [[계란]], [[고기]], [[생선]], [[콩]], [[땅콩]]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으므로, 보디빌더처럼 우람한 근육을 갖고 싶다면 운동을 열심히 한 후 이 음식들을 많이 먹어라. 앞서 단백질의 종류는 20가지 종류의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고 했는데, 사실 이외에도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앞서 말한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를 '''단백질의 1차 구조'''라고 한다. 이 사슬은 사슬내의 일종의 인력에 의해 꼬이는데, 이를 '''단백질의 2차 구조'''라고 한다. 알파 나선구조나 베타 병풍구조가 여기에 속한다. '''단백질의 3차 구조'''란 전체 단백질의 3D 구조를 의미하며, '''단백질의 4차 구조'''란, 2개 이상의 단백질이 모여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8번째 줄: 8번째 줄:
  
 
몸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 중 하나인 단백질은 [[효소]], [[호르몬]], [[항체]] 등의 재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단백질은 식단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라 하겠다. <del>[[베어그릴스]]가 괜히 '''좋은 단백질 공급원'''을 찾는 것이 아니다.</del>
 
몸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 중 하나인 단백질은 [[효소]], [[호르몬]], [[항체]] 등의 재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단백질은 식단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라 하겠다. <del>[[베어그릴스]]가 괜히 '''좋은 단백질 공급원'''을 찾는 것이 아니다.</del>
 
== 분류 ==
 
단백질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단순 단백질
 
* 결합(복합) 단백질
 
* 유도 단백질
 
  
 
{{생화학}}
 
{{생화학}}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