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도서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British library london.jpg|300픽셀|섬네일|[[대영 도서관]] 전경.]]
 
 
 
'''대영 도서관'''({{llang|ko-Hani|英國圖書館 - 영국도서관}} {{llang|en|British Library}})은 [[런던]]의 유스턴(96 Euston Road)에 위치해있는 [[영국]]의 [[국립 도서관]]이자 영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다. [[세인트 판크라스 역]] 근처에 있으며 [[런던 킹스 크로스 역]]과도 가깝기에 이 두 [[역]]을 찾으려다 우연히 여기에 들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유스턴 역 바로 옆에 있는 건물이기도 하다.
 
'''대영 도서관'''({{llang|ko-Hani|英國圖書館 - 영국도서관}} {{llang|en|British Library}})은 [[런던]]의 유스턴(96 Euston Road)에 위치해있는 [[영국]]의 [[국립 도서관]]이자 영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다. [[세인트 판크라스 역]] 근처에 있으며 [[런던 킹스 크로스 역]]과도 가깝기에 이 두 [[역]]을 찾으려다 우연히 여기에 들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유스턴 역 바로 옆에 있는 건물이기도 하다.
  
도서관과는 별개로 문서보관소와 열람실은 [[보스턴 스파]]에 위치해 있다.
+
이 건물의 역사는 별로 오래되지 않았는데, 그도 그럴 것이 본래의 대영 도서관은 1973년 7월에 영국도서관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대영 도서관의 역할을 하던 [[대영 박물관]] 내부의 부속 도서관을 참고부, 영국국립서지부를 서지서비스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립과학기술 대출 도서관을 대출부로서 계승하고 기타 특허청도서관 등의 도서관 등을 통합하여 창설했지만 막상 본관을 짓지 못해서 사실상 말만 통합이지 통합 이전과 달라진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관이라고 할 수 있는 현재 건물(British Library, St. Pancras)은 [[1998년]]에야 문을 열었기 때문에, 약 30년 동안 이런 상태였다고 한다.
  
== 역사 ==
 
이 건물의 역사는 별로 오래되지 않았는데, 그도 그럴 것이 본래의 대영 도서관은 [[1973년]] [[7월]]에 영국도서관법에 따라 실질적으로 대영 도서관의 역할을 하던 [[대영 박물관]] 내부의 부속 도서관을 참고부, 영국국립서지부를 서지서비스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립과학기술 대출 도서관을 대출부로서 계승하고 기타 특허청도서관 등의 도서관 등을 통합하여 창설했지만 막상 본관을 짓지 못해서 사실상 말만 통합이지 통합 이전과 달라진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관이라고 할 수 있는 현재 건물(British Library, St. Pancras)은 [[1998년]]에야 문을 열었기 때문에, 약 30년 동안 이런 상태였다고 한다.
 
 
== 시설 ==
 
 
도서관 내부에는 수많은 각종 [[책]]을 비롯하여 국회의사록과 공판기록, [[신문]]이나 [[잡지]], [[지도]]나 문헌 및 문서가 존재하며 시청각 자료실이나 갤러리도 존재하여 책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즐겁게 관람할 수 있도록 여러 구경거리가 존재한다. 내부에 휴게공간이 있어 [[커피]]를 마시러 들르는 사람도 꽤 있다는 듯. [[2011년]]에는 [[구글]]과 협력해서 각종 고서들을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으로도 볼 수 있도록 하게 한다고 한다.<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391199 mk 뉴스 대영도서관 고서적…구글북스에서 본다]</ref> 이전까지 고서들은 6층에 이르는 거대한 유리벽안의 책장에 보관해서 그림의 떡에 가까웠는데 이를 공개한다는 것. 참고로 이 유리벽은 이른바 '왕의 도서관'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이 유리벽안에 있는 고서들이 영국의 [[조지 3세]]가 소유하던 도서들인데다 도서관 한가운데를 수직으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위용도 엄청나기 때문이다. [http://2.bp.blogspot.com/_Bo8WU-1W_vk/TTx-NXRM7HI/AAAAAAAAAWM/cTJFNvZJ-Zg/s1600/Wellcome+Collection+and+British+Library+075.JPG 참고]
 
도서관 내부에는 수많은 각종 [[책]]을 비롯하여 국회의사록과 공판기록, [[신문]]이나 [[잡지]], [[지도]]나 문헌 및 문서가 존재하며 시청각 자료실이나 갤러리도 존재하여 책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즐겁게 관람할 수 있도록 여러 구경거리가 존재한다. 내부에 휴게공간이 있어 [[커피]]를 마시러 들르는 사람도 꽤 있다는 듯. [[2011년]]에는 [[구글]]과 협력해서 각종 고서들을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으로도 볼 수 있도록 하게 한다고 한다.<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391199 mk 뉴스 대영도서관 고서적…구글북스에서 본다]</ref> 이전까지 고서들은 6층에 이르는 거대한 유리벽안의 책장에 보관해서 그림의 떡에 가까웠는데 이를 공개한다는 것. 참고로 이 유리벽은 이른바 '왕의 도서관'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이 유리벽안에 있는 고서들이 영국의 [[조지 3세]]가 소유하던 도서들인데다 도서관 한가운데를 수직으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위용도 엄청나기 때문이다. [http://2.bp.blogspot.com/_Bo8WU-1W_vk/TTx-NXRM7HI/AAAAAAAAAWM/cTJFNvZJ-Zg/s1600/Wellcome+Collection+and+British+Library+075.JPG 참고]
  
 
유명한 소장 자료로는 [[대헌장|마그나카르타]] 사본이나 고대성경사본, 산스크리트 사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따로 갤러리에 두어 보관한다.
 
유명한 소장 자료로는 [[대헌장|마그나카르타]] 사본이나 고대성경사본, 산스크리트 사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따로 갤러리에 두어 보관한다.
  
== 이용시간 ==
+
== 관련 문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창궐로 현재는 사전 예약한 사람들만 입장이 가능하다. 이용시간은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장소
 
!요일
 
!시간
 
|-
 
|대영 도서관
 
|[[화요일]] ~ [[토요일]]
 
|rowspan="2"|11:00 ~ 15:00
 
|-
 
|문서보관소, 열람실
 
|[[화요일]] ~ [[금요일]]
 
|-
 
|colspan="3"|[https://www.bl.uk/visit/opening-hours opening-hours]
 
|}
 
 
== 관련 문서 ==
 
 
* [[보들리 도서관]] -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서관.
 
* [[보들리 도서관]] -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서관.
 
* [[대영 박물관]]
 
* [[대영 박물관]]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www.bl.uk/ 대영 도서관 홈페이지]
+
* [[http://www.bl.uk/ 대영 도서관 홈페이지]
  
 
== 주석 ==
 
== 주석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