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정보
+
{{지방자치단체
| 이름 = 대전광역시
+
|공식 명칭 = 대전광역시
| 한자 = 大田廣域市
+
|그림 = [[파일:정부대전청사.jpg|300픽셀]]
| 그림 = 정부대전청사.jpg
+
|표어 = It's Daejeon
| 그림설명 = 정부대전청사
+
|한글 표기 = 대전광역시
| 휘장 = 대전휘장.jpg
+
|한자 표기 = 大田廣域市
| 슬로건 = 대전슬로건.jpg
+
|로마자 표기 = Daejeon Metropolitan City
| 지도 =  
+
|광역자치단체 =
| 지도설명 =  
+
|구분 = 광역자치단체([[광역시]])
| 지도너비 =  
+
|구성 = 5자치구 77동
| 시청소재지 = [[서구(대전)|서구]] 둔산로 100
+
|인구 = 150만 1859
| = 5
+
|면적 = 540
| =  
+
|인구밀도 = 2,781
| =  
+
|남녀성비 = 100.0
| =  
+
|단체장 = [[염홍철]] ([[새누리당]])
| 행정동 =  
+
|상징 새 = [[까치]]
| 단체장 =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
|상징 꽃 = [[목련|백목련]]
| 인구 = 1484398
+
|상징 나무 = [[소나무]]
| 인구년도 = 2019
+
|전신 = 대전직할시
| 면적 = 539
+
|후신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백목련]]
 
| 시조 = [[까치]]
 
| 지역 = [[충청도]]
 
| 지역번호 = 042
 
| 웹사이트 = [https://www.daejeon.go.kr/ www.daejeon.go.kr]
 
 
}}
 
}}
  
{{대사|과학의 도시}}
+
{{대사|문화, 과학, 경제도시 - It's Daejeon}}
  
'''대전광역시'''({{llang|ko-Hani|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 중앙부에 위치한 [[충청도]](호서) 지방의 거점도시이다. 대전광역시의 인구는 2019년 기준으로 148만 명으로서, [[서울]], [[부산]], [[인천]], [[대구]]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다.
+
'''대전광역시'''({{llang|ko-Hani|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 중앙부에 있는 인구 150만 명 내외의 대도시로서, 대한민국 교통의 중심지이다. [[KTX]]를 이용하면 [[서울역|서울]]부터 [[대전역|대전]]까지는 50분가량 소요된다.
  
1905년에 대전역을 포함한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일본인이 대전역 인근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였고, 한가한 농촌지역에 불과했던 대전은 신흥도시로 떠올랐다. 1914년에는 [[호남선]]이 전 구간 개통하면서 호남선과 경부선의 교차점인 대전은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오늘날 대전역은 대한민국의 주요 철도역 중 하나로서, [[KTX]]를 이용하면 대전역에서 서울역까지 50분 만에 도달할 수 있다. 대전역 뒤편으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본부가 자리 잡고 있다.
+
대전은 [[정부대전청사]]가 있어 [[서울특별시|서울]]의 행정수도 역할을 일부 분담하고 있다. 현재 정부대전청사에 있는 정부기관으로는 관세청, 조달청, 병무청, 통계청, 문화재청, 산림청, 중소기업청, 특허청 등 8개 청과 국가기록원, 충남지방노동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특허심판원 등이다. 이외에 [[코레일]],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조폐공사]] 등의 본사도 대전에 있다.  
  
대전은 [[대전정부청사]]가 있는 행정도시이다. 서울의 행정기능을 분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전정부청사(1997년 준공)에는 현재 [[공정거래위원회]], [[관세청]], [[국가기록원]], [[문화재청]], [[병무청]], [[행정자치부]], [[산림청]], [[조달청]], [[중소기업청]], [[통계청]], [[특허심판원]], [[특허청]], [[감사원]] 등의 행정시설들이 입주해 있다. 그 밖에도 전국의 [[댐]]과 상하수도를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본부와 한국의 [[화폐]]발행하는 일을 하는 [[한국조폐공사]] 본부가 위치한다.  
+
대전에는 흔히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요람”으로 불리는 [[대덕연구단지]]가 있다. 대덕연구단지에는 28개의 국영연구센터와 79개의 사설연구기관이 있으며 20,000여 명의 연구원이 상주하고 있다. 대전은 1998년 '''세계과학도시연합'''(WTA)를 설립하여 전 세계의 다른 과학 도시들과 국제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현재 WTA는 32개국 67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다른 국제기관과도 활동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대전에는 [[카이스트]](KAIST),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남대학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등의 대학교들이 있다. 이공계 대학교들과 연구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는 대전은 아시아의 실리콘밸리, 과학기술의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1993년 대전엑스포]]와 2000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가 이곳에서 개최된 바 있다.
+
대전에는 [[KAIST]],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을 비롯한 18개의 대학교가 있다. 대전은 [[1993년 대전엑스포]]를 개최한 바 있으며 2000년에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를 개최하였다.  
 
 
[[대덕연구개발특구]]는 50개 이상의 정부 관련 연구기관과 1300여 개의 기업 등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대의 연구단지이다. 이곳의 연구인력 수는 2만 7천 명(2012년 기준)에 이른다.
 
 
 
또한, 대전은 1998년 ''WTA''(세계과학도시연합)를 설립하여 세계의 과학도시들과 국제 협력을 통한 지역 발전을 꾀하고 있다. 2015년 현재 WTA에는 44개국 91개 도시가 회원으로 있으며, [[유네스코]]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관과 활동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50번째 줄: 40번째 줄:
  
 
=== 기후 ===
 
=== 기후 ===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대전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특징적인 기후인 [[아열대습윤기후]](Cwa)와 중북부지방의 특징적인 기후인 [[습윤대륙성기후]](Dwa)가 반반씩 섞인 기후특성을 나타낸다. 1월 평균기온은 -1°C로서 몹시 춥지도, 그렇다고 따뜻하지도 않은 정도의 겨울이 나타난다. 8월 평균기온은 25.6°C로 다른 지역과 비슷한 정도로 덥다. 연간강수량은 1458mm로 다우지에 속하며 서울(1450mm) 등 [[수도권]] 지역과 비슷한 많은 강수량을 나타낸다. 다만 수도권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강수량이 여름철에 덜 극심하게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
+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대전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특징적인 기후인 [[아열대습윤기후]](Cwa)와 중북부지방의 특징적인 기후인 [[습윤대륙성기후]](Dwa)가 반반씩 섞인 기후특성을 나타낸다. 1월 평균기온은 -1°C로서 아주 춥지도, 그렇다고 따뜻하지도 않은 정도의 겨울이 나타난다. 8월 평균기온은 25.6°C로 다른 지역과 비슷한 정도로 덥다. 연간강수량은 1458mm로 다우지에 속하며 서울(1450mm) 등 [[수도권]] 지역과 비슷한 많은 강수량을 나타낸다. 다만 수도권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강수량이 여름철에 덜 극심하게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56번째 줄: 46번째 줄:
 
대전은 행정구역상 5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은 행정구역상 5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다.
  
* 중구 (中區) - [[으능정이거리]] 위치.
+
* 중구 (中區) - [[충청남도|충청남도청]] 위치.
 
* 동구 (東區) - [[대전역]] 위치.
 
* 동구 (東區) - [[대전역]] 위치.
 
* '''서구''' (西區) - 대전광역시청 위치.
 
* '''서구''' (西區) - 대전광역시청 위치.
* 대덕구 (大德區) - 대전1, 2, 3<ref>제3산업단지는 유성구와 살짝 걸쳐있다.</ref>산업단지 위치.
+
* 대덕구 (大德區) - 대전112산업단지 위치.
 
* 유성구 (儒城區) - [[KAIST]] 및 [[대덕밸리]]<ref>대덕밸리가 [[대덕구]]에 없다는 흥미로운 사실.</ref> 위치.
 
* 유성구 (儒城區) - [[KAIST]] 및 [[대덕밸리]]<ref>대덕밸리가 [[대덕구]]에 없다는 흥미로운 사실.</ref> 위치.
  
 
== 도심 ==
 
== 도심 ==
[[파일:엑스포시민광장.jpg|섬네일|250px|대전 서구의 시민공원. 스케일이 압도적이다. 이 양 옆으로는 [[한밭수목원]]이 펼쳐져 있다.]]
 
  
대전광역시의 중심지는 대전광역시청, [[정부대전청사]] 등이 있는 [[서구(대전)|서구]] 둔산동 일대이다. 이곳은 1990년대 중반 들어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신도심 지역으로, 대전에서 [[아파트]]가 가장 밀집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리적으로 도시 중앙부에 있는 이곳은 [[대전 지하철 1호선]]이 지나가는 등 교통이 편리해 출퇴근이 쉽다. 도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계획적으로 지어진 곳이므로 잘 정돈된 느낌을 많이 주며, [[한밭수목원]]을 비롯해 크고 작은 공원들이 여기저기 있다.
+
[[파일:엑스포시민광장.jpg|섬네일|300px|대전 서구의 시민공원. 스케일이 압도적이다. 이 양 옆으로는 [[한밭수목원]]이 펼쳐져 있다.]]
 +
[[파일:대전오월드.jpg|섬네일|300픽셀|[[대전오월드]](구. 대전동물원) 입구.]]
  
과거 중심지였던 대전역과 그 주변 지역들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상당히 활기가 있던 지역이었으나 대다수 행정기관과 편의 시설들이 둔산이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한 뒤로는 급격히 쇠퇴하여 도심 공동화와 낙후된 편의 시설, 현 중심지인 둔산과의 경제적 격차 등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중심지는 대전광역시청, [[정부대전청사]] 등이 있는 [[서구(대전)|서구]] 둔산동 일대이다. 이곳은 1990년대 중반 들어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신도심 지역으로, 대전에서 [[아파트]]가 가장 밀집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리적으로 도시 중앙부에 있는 이곳은 [[대전 지하철 1호선]]이 지나가는 등 교통이 편리해 출퇴근이 용이하다. 도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계획적으로 지어진 곳이므로 잘 정돈된 느낌을 많이 주며, [[한밭수목원]]을 비롯해 크고 작은 공원들이 여기저기 있다.  
  
 
== 대학교 ==
 
== 대학교 ==
  
대전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학교]]는 [[KAIST]]와 [[충남대학교]]이다. KAIST는 대한민국의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으로서, 한국 최초의 두 발로 걷는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했으며,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과학실험[[인공위성|위성]]인 [[우리별 1호]] 개발에 참여하기도 한 굉장한 곳이다. 충남대학교는 [[충청남도]] 및 대전광역시 거점의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이다. 충남대에 있는 다소 특이한 학과로는 사범대학 소속의 “기계ㆍ금속공학교육과”가 있다.  
+
대전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학교]]는 [[KAIST]]와 [[충남대학교]]이다. KAIST는 대한민국의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으로서, 한국 최초의 두발로 걷는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했으며,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과학실험[[인공위성|위성]]인 [[우리별 1호]] 개발에 참여하기도 한 굉장한 곳이다. 충남대학교는 [[충청남도]] 및 대전광역시 거점의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이다. 충남대에 있는 다소 특이한 학과로는 사범대학 소속의 “기계ㆍ금속공학교육과”가 있다.  
  
 
그 밖에 비교적 잘 알려진 대전 지역의 4년제 사립대학교로는 [[배재대학교]], [[목원대학교]], [[우송대학교]] 등이 있는데, 이들을 농담 삼아 대전의 BMW('''B'''aejae '''M'''okwon '''W'''oosong)라고 부르기도 한다. 배재대학교의 영문명이 Baejae가 아니라 Pai chai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무시되었다.
 
그 밖에 비교적 잘 알려진 대전 지역의 4년제 사립대학교로는 [[배재대학교]], [[목원대학교]], [[우송대학교]] 등이 있는데, 이들을 농담 삼아 대전의 BMW('''B'''aejae '''M'''okwon '''W'''oosong)라고 부르기도 한다. 배재대학교의 영문명이 Baejae가 아니라 Pai chai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무시되었다.
  
이외에도 [[한남대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대학이 있으나,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이외에도 [[한남대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대학들이 있으나,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스포츠 ==
 
== 스포츠 ==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신축된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는 토티의 퇴장이 인상적이었던 경기인 이탈리아전(16강전)이 열리기도 했다. 현재 대전월드컵경기장은 [[K 리그]] 팀인 [[대전 시티즌]]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신축된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는 토티의 퇴장이 인상적이었던 경기인 이탈리아전(16강전)이 열리기도 했다. 현재 대전월드컵경기장은 [[K 리그]] 팀인 [[대전 시티즌]]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KBO]] 소속의 프로야구팀인 [[한화 이글스]]는 대전을 연고지로 하며,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KBO]] 소속의 프로야구팀인 [[한화 이글스]]는 대전을 연고지로 하며, [[한밭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도시철도 ==
 
== 도시철도 ==
  
대전에는 [[2007년]] 완공된 [[대전 지하철 1호선]]이 운행 중이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서쪽의 반석역에서 출발하여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현충원, 정부대전청사, 대전시청, 대전역을 거쳐 동쪽의 판암역까지 잇고 있다.
+
대전에는 [[2007년]] 완공된 [[대전 지하철 1호선]]이 운행중이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서쪽의 반석역에서 출발하여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현충원, 정부대전청사, 대전시청, 대전역을 거쳐 동쪽의 판암역까지 잇고 있다.
  
대전 도시철도는 서울 도시철도보다 차량이 좁고, 차량이 짧은 특징이 있다. 아니, 사실 그 전에 서울 도시철도 차량은 세계적으로도 전동차가 넓은 편에 속한다. 대전 도시철도에는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전 모양의 동그란 플라스틱 토큰을 사용한다.
+
대전 도시철도는 서울 도시철도에 비해 차량이 좁고, 차량이 짧은 특징이 있다. 아니, 사실 그 전에 서울 도시철도 차량은 세계적으로도 전동차가 넓은 편에 속한다. 대전 도시철도에는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전 모양의 동그란 플라스틱 토큰을 사용한다.
  
 
== 주석 ==
 
== 주석 ==
 +
 
<references/>
 
<references/>
 
{{대전광역시의 행정구역}}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2}}
  
[[분류:대전광역시| ]]
+
[[분류:대전광역시]][[분류:광역시]][[분류:대한민국의 도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