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5대 대통령선거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배경 ==
 
== 배경 ==
[[윤보선]] 대통령 추대와 [[장면]] 내각 조직으로 [[민주당(1955년)|민주당]]이 정권을 잡자 사회는 갑작스런 혼란 상태에 빠졌다. 오랜 기간의 자유당 통치 시대가 끝나자 그동안 억눌려있던 여러 사회세력들이 각자의 정치적 요구를 내세웠기 때문으로, 이 시기의 대한민국은 끊임없는 [[데모]]와 부정부패로 몸살을 앓았다. 이를 틈타 '''김일성 장군님 만세!'''를 외치는 공산통일세력마저 버젓이 활동하고, 대학가에는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라는 구호가 유행하는 등 사회의 혼란상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실제로 이 때만 해도 북한이 남한보다 잘살았으니... 민주당 정권은 이러한 사회 혼란을 수습하기는커녕 당 내부의 계파싸움에만 치중하고 있었다. 결국 이는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5·16 군사정변은 간단히 말해 [[박정희]]를 비롯한 군인들이 “나라꼴이 너무 엉망이라 우리 군인들이 대신 나라를 통치하겠다!”며 청와대로 돌격하여 [[윤보선]] 대통령을 내쫓고 여당인 민주당을 해산시켜 버린 것이다.  
+
[[윤보선]] 대통령 추대와 [[장면]] 내각 조직으로 [[민주당(1955년)|민주당]]이 정권을 잡자 사회는 갑작스런 혼란 상태에 빠졌다. 오랜 기간의 자유당 통치 시대가 끝나자 그동안 억눌려있던 여러 사회세력들이 각자의 정치적 요구를 내세웠기 때문으로, 이 시기의 대한민국은 끊임없는 [[데모]]와 부정부패로 몸살을 앓았다. 이를 틈타 공산통일세력마저 버젓이 활동하는 등 사회의 혼란상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민주당 정권은 이러한 사회 혼란을 수습하기는커녕 당 내부의 계파싸움에만 치중하고 있었다. 결국 이는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5·16 군사정변은 간단히 말해 [[박정희]]를 비롯한 군인들이 “나라꼴이 너무 엉망이라 우리 군인들이 대신 나라를 통치하겠다!”며 청와대로 돌격하여 [[윤보선]] 대통령을 내쫓고 여당인 민주당을 해산시켜 버린 것이다.  
  
덕분에 발등에 떨어진 불은 껐으나, 멀쩡히 있는 대통령을 내쫓고 총칼로 민주국가의 정권을 빼앗는 행동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는 상당한 논란거리가 되었다. 그래서 박정희는 5·16 군사정변에 대한 정당성을 국민들에게 물을 겸, 민정이양 방식으로 제5대 대통령선거를 치르기로 한다.
+
덕분에 발등에 떨어진 불은 껐으나, 멀쩡히 있는 대통령을 내쫓고 총칼로 민주국가의 정권을 빼앗는 행동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는 상당한 논란거리가 되었다. 그래서 박정희는 5·16 군사정변에 대한 정당성을 국민들에게 물을 겸, 민정이양 방식으로 제5대 대통령선거를 치르기로 한다.  
  
 
== 전개 ==
 
== 전개 ==
79번째 줄: 79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384,764
 
| style="text-align:center;"| 384,764
 
| style="text-align:center;"| 33.05%
 
| style="text-align:center;"| 33.0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661,98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661,98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56.87%'''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56.87%'''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강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강원도]]
 
| style="text-align:center;"| 296,711
 
| style="text-align:center;"| 296,711
 
| style="text-align:center;"| 39.57%
 
| style="text-align:center;"| 39.5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368,09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368,09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49.0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9.09%'''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충청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충청도]]
92번째 줄: 92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202,789
 
| style="text-align:center;"| 202,789
 
| style="text-align:center;"| 39.78%
 
| style="text-align:center;"| 39.7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249,397'''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249,39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48.9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8.92%'''
 
|-
 
|-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남도]]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남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05,077
+
| style="text-align:center;"| 405,07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0.78%
+
| style="text-align:center;"| 40.7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490,663'''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90,66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E04D;"| '''49.40%'''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9.40%'''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호남]]<br>(전라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호남]]<br>(전라도)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북도]]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북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408,556'''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08,55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49.43%'''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9.4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343,171
+
|  style="text-align:center;"| 343,171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1.52%
+
|  style="text-align:center;"| 41.52%
 
|-
 
|-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남도]]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남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765,71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765,71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7.2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7.22%'''
 
|  style="text-align:center;"| 480,800
 
|  style="text-align:center;"| 480,800
 
|  style="text-align:center;"| 35.93%  
 
|  style="text-align:center;"| 35.93%  
116번째 줄: 116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영남]]<br>(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영남]]<br>(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242,77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242,77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48.20%'''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8.20%'''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239,083
+
| style="text-align:center;"| 239,08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8D2"| 47.47%
+
| style="text-align:center;"| 47.47%
 
|-
 
|-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북도]]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북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837,12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837,12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5.6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5.64%'''
 
| style="text-align:center;"| 543,392
 
| style="text-align:center;"| 543,392
 
| style="text-align:center;"| 36.12%
 
| style="text-align:center;"| 36.12%
 
|-
 
|-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남도]]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남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706,07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706,07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61.71%'''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61.71%'''
 
| style="text-align:center;"| 341,971
 
| style="text-align:center;"| 341,971
 
| style="text-align:center;"| 29.89%
 
| style="text-align:center;"| 29.89%
138번째 줄: 138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26,009
 
| style="text-align:center;"| 26,009
 
| style="text-align:center;"| 22.32%
 
| style="text-align:center;"| 22.32%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0"| <small>지역별 최다 득표자는 '''진한색'''으로,<br>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후보는 '''연한색'''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small>
 
 
|}
 
|}
 
</center>
 
</center>
  
[[파일:5대대선그래프.jpg|500픽셀|섬네일|center|지역별 득표수]]
+
지역별 구도가 나타난 첫 선거이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나타난 지역별 구도는 요즘과 같은 동/서구도가 아닌 남/북 구도로 나타났으며, 지역 이기주의나 지역감정에 의한 것도 아니었다. 수도권과 강원도, 충청도에서는 야당을 지지하였다. 특히, [[5.16 군사정변]]을 면전에서 겪은 서울에서는 65%의 높은 지지율로 민정당의 윤보선을 밀어주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영남과 호남, 그리고 제주 지역에서는 밑도 끝도 없는 빨갱이 타령, 색깔공세를 펼친 윤보선 후보에게 부정적인 입장이었고, 결국 이들 지역에서 박정희 후보를 밀어주면서 박정희가 선거에 승리하는 발판이 되었다. [[제주 4.3 사태]] 당시 민간인이 억울하게 빨갱이로 몰려 죽은 것을 경험한 제주 지역에서는 특히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어 70%에 달하는 높은 지지율로 [[박정희]] 후보를 밀어 주었다.
 
 
지역별 구도가 나타난 첫 선거이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나타난 지역별 구도는 요즘과 같은 동/서구도가 아닌 남/북 구도로 나타났으며, 지역 이기주의나 지역감정에 의한 것도 아니었다. 수도권과 강원도, 충청도에서는 윤보선의 득표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5.16 군사정변]]을 면전에서 겪은 서울에서는 65%의 높은 지지율로 민정당의 윤보선을 밀어주었다. 보수 성향이 강한 강원도와 충청도에서도 윤보선이 박정희보다 더 많은 득표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영남과 호남, 그리고 제주 지역에서는 밑도 끝도 없는 빨갱이 타령, 색깔공세를 펼친 윤보선 후보에게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이 당시는 이촌향도 현상이 일어나지 전이라서, 영호남의 인구가 수도권의 인구를 압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박정희는 수도권에서 크게 패하고도 영호남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가까스로 당선될 수 있었다. [[제주 4.3 사태]] 당시 민간인이 억울하게 빨갱이로 몰려 죽은 것을 경험한 제주 지역에서는 특히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어 70%에 달하는 높은 지지율로 [[박정희]] 후보를 밀어 주었다.
 
  
 
== 선거 이후 ==
 
== 선거 이후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