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정보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정보
| 배경색 = #dc0232
+
| 배경색 = #FF6500
 
| 제목 = 롯데 자이언츠
 
| 제목 = 롯데 자이언츠
| 그림 = [[파일:롯데자이언츠엠블럼.png|300픽셀]]
+
| 그림 = [[파일:롯데 자이언츠.jpg|300픽셀]]
 
| 창단연도 = 1975년
 
| 창단연도 = 1975년
 
| 연고지 = [[부산광역시]]
 
| 연고지 = [[부산광역시]]
 
| 리그 참가 = 1982년 ~ 현재
 
| 리그 참가 = 1982년 ~ 현재
 
| 영구결번 = [[최동원|11]]
 
| 영구결번 = [[최동원|11]]
| 상징색 = <font color="#dc0232">●</font> 빨간색, <font color="#002955">●</font> 남색
+
| 상징색 = <font color="#000000">●</font> 검은색, <font color="#FF6500">●</font> 주황색
 
| 구단명 = 롯데 자이언츠 (1975년 ~ 현재)
 
| 구단명 = 롯데 자이언츠 (1975년 ~ 현재)
 
| 홈구장 = [[사직야구장]]<br>[[울산문수야구장]] (제2홈구장)
 
| 홈구장 = [[사직야구장]]<br>[[울산문수야구장]] (제2홈구장)
 
| 한국시리즈 우승 = 2회 (1984년, 1992년)
 
| 한국시리즈 우승 = 2회 (1984년, 1992년)
 
| 정규 리그 우승 = 0회
 
| 정규 리그 우승 = 0회
| 감독 = [[허문회]]
+
| 감독 = (공석)
 
}}
 
}}
 
{{대사|부산갈매기}}
 
{{대사|부산갈매기}}
19번째 줄: 19번째 줄:
 
'''롯데 자이언츠'''({{llang|en|Lotte Giants}})는 [[1982년]] 창단된, [[부산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이다. [[일본]] 프로야구팀인 [[지바 롯데 마린스]]와 같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어 마스코트(갈매기)가 똑같이 생겼고, 유니폼도 비슷하다.  
 
'''롯데 자이언츠'''({{llang|en|Lotte Giants}})는 [[1982년]] 창단된, [[부산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이다. [[일본]] 프로야구팀인 [[지바 롯데 마린스]]와 같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어 마스코트(갈매기)가 똑같이 생겼고, 유니폼도 비슷하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는 부산 [[구덕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사직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울산문수야구장]]을 롯데 자이언츠의 제2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84년]]과 [[1992년]]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부터 지금까지 명칭이 바뀌지 않았으며, [[1984년]]과 [[1992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갈매기]]는 롯데 자이언츠의 팀 상징물이다. 가수 [[문성재]]가 부른 <[[부산갈매기]]>가 팀 응원가로 사용되고 있으며, 롯데 자이언츠의 팬들은 스스로를 '''부산갈매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
1982년부터 1986년까지는 부산 [[구덕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사직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울산문수야구장]]을 롯데 자이언츠의 제2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84년]]과 [[1992년]]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부터 지금까지 명칭이 바뀌지 않았으며, [[1984년]]과 [[1992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갈매기]]는 롯데 자이언츠의 팀 상징물이다. 가수 [[문성재]]가 부른 <[[부산갈매기]]>가 팀 응원가로 사용되고 있으며, 롯데 자이언츠의 팬들은 스스로를 '''부산갈매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동원]] 투수의 등번호인 11번은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무쇠팔'''이라는 별명을 가진 최동원 투수는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전무후무한 4승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1년 [[대장암]]으로 별세하였다.  
 
[[최동원]] 투수의 등번호인 11번은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무쇠팔'''이라는 별명을 가진 최동원 투수는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전무후무한 4승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1년 [[대장암]]으로 별세하였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암흑기였던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롯데의 순위는 '''8-8-8-8-5-7-7'''. 이때 나온 말이 '''꼴데''', 꼴지 롯데라는 뜻이다.
 
암흑기였던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롯데의 순위는 '''8-8-8-8-5-7-7'''. 이때 나온 말이 '''꼴데''', 꼴지 롯데라는 뜻이다.
  
2008년 로이스터 감독의 부임 이후로 롯데는 갑자기 성적이 좋아지게 된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포스트시즌]]에 연속으로 진출하며 '''가을에도 야구하는 갈매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롯데 팬들은 이를 두고 '로이스터의 마법'이라며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
2008년 로이스터 감독의 부임 이후로 롯데는 갑자기 성적이 좋아지게 된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준플레이오프]]에 연속으로 진출하며 '''가을에도 야구하는 갈매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롯데 팬들은 이를 두고 '로이스터의 마법'이라며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전성기는 짧게 끝났고, 이후로는 긴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이다.
+
== 최근 현황 (2014년) ==
 +
2014년 시즌에 앞서 롯데는 FA선수가 된 [[강민호]]를 4년 75억으로 붙잡고, 공석으로 남아있던 4번 타자의 자리를 [[최준석]]을 영입함으로서 채우고, 외국인 용병으로 [[히메네스]]를 영입하여 5번 타자에 배치시키면서 타선을 대대적으로 보강하며 거포왕국을 세우려 했으나 현실은 시궁창. 강민호는 예전 같지 않은 타격감 탓에 먹튀라는 비난까지 가해졌고, 히메네스는 시즌 내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불성실한 훈련 및 경기 태도와 함께 까임의 대상이 되었다. 다행히 최준석이 23홈런을 치며 4번 타자로서 자리 잡았고, 손아섭은 타율 0.362(시즌 3위)를 기록하며 테이블 세터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여기다 덤으로 9월달에 가서는 강민호의 거포 본능이 돌아오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경기력 면에서는 작년과 비교해서 크게 나쁘지는 않는데, 이상하게도 성적은 작년의 5위보다도 더 떨어진 7위로 끝났다. [[김시진]] 감독의 작전실패와 작년에 비해 [[한화 이글스]]로부터 많은 승을 뽑아내지 못한 것이 패인으로 지적된다.  
  
 
== 역대 성적 ==
 
== 역대 성적 ==
<div style="overflow-x: scroll">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72번째 줄: 73번째 줄:
 
| 13
 
| 13
 
| 14
 
| 14
| 15
 
| 16
 
| 17
 
| 18
 
| 19
 
 
|- align=center  
 
|- align=center  
 
! 순위
 
! 순위
112번째 줄: 108번째 줄:
 
| 5
 
| 5
 
| 7
 
| 7
| 8
 
| 8
 
| 3
 
| 7
 
| 10
 
 
|- align=center  
 
|- align=center  
 
! 비고
 
! 비고
152번째 줄: 143번째 줄:
 
|
 
|
 
|
 
|
|
 
|
 
|
 
|
 
| 꼴
 
 
|}
 
|}
</div>
+
 
 
* 우승 총 2회 (V2)
 
* 우승 총 2회 (V2)
 
* 준우승 총 3회 (1985년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리그 통합우승으로 한국시리즈 없이 준우승 결정)
 
* 준우승 총 3회 (1985년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리그 통합우승으로 한국시리즈 없이 준우승 결정)
* 꼴찌 총 9회, 2001년~2004년 4년 연속 꼴찌 기록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다 연속 꼴찌 기록이다.
+
* 꼴찌 총 8회, 2001년~2004년 4년 연속 꼴찌 기록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다 연속 꼴찌 기록이다.
  
 
=== 한국시리즈 성적 ===
 
=== 한국시리즈 성적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