뱁새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
[[파일:뱁새.jpg|250픽셀|섬네일|뱁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이름=붉은머리오목눈이
+
[[파일:뱁새뻐꾸기.jpg|250픽셀|섬네일|뻐꾸기 새끼(왼쪽)에게 먹이를 주고 있는 어미 뱁새(오른쪽). 어미 뱁새는 자신보다 훨씬 더 큰 새끼를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걸까?]]
|색=동물
 
|그림=뱁새.jpg
 
|그림_설명=뱁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상태 = LC | 상태_기준 = iucn
 
|계=[[동물|동물계]]
 
|문=[[척삭동물|척삭동물문]]
 
|강=[[새|조강]]
 
|목=[[참새목]]
 
|과=[[흰턱딱새과]]
 
|속=[[붉은머리오목눈이속]]
 
|종='''붉은머리오목눈이'''
 
|학명=''Sinosuthora webbiana''
 
|학명_명명=(Gould, 1852)
 
}}
 
[[파일:뱁새뻐꾸기.jpg|250픽셀|섬네일|몸집이 큰 뻐꾸기 새끼(왼쪽)에게 먹이를 주고 있는 어미 뱁새(오른쪽). 어미 뱁새는 뻐꾸기 새끼를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걸까?]]
 
 
{{대사|참새보다 작은 새}}
 
{{대사|참새보다 작은 새}}
  
'''뱁새'''는 [[참새목]] [[흰턱딱새과]]에 속하는 새다. 공식적인 명칭은 '''붉은머리오목눈이'''(''Sinosuthora webbiana'') 이다. [[참새]]와 더불어 한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새로 손꼽힌다. 참새와 비슷한 외모 탓에 참새와 혼동되는 것은 안타까운 부분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중국]], [[일본]], [[북한]], [[몽골]], [[러시아]], [[대만]], [[베트남]] 등지에서도 발견된다. 아열대 또는 열대 삼림지대가 자연 [[서식지]]이다.  
+
'''뱁새'''는 [[흰턱딱새과]]에 속하는 새다. 공식적인 명칭은 '''붉은머리오목눈이'''(''Sinosuthora webbiana'') 이다. [[참새]]와 더불어 한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새로 손꼽힌다. 참새와 비슷한 외모 탓에 참새와 혼동되는 것은 안타까운 부분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중국]], [[일본]], [[북한]], [[몽골]], [[러시아]], [[대만]], [[베트남]] 등지에서도 발견된다. 아열대 또는 열대 삼림지대가 자연 [[서식지]]이다.  
  
몸의 등쪽면은 적갈색이며 배쪽면은 황토색이다. 크기는 참새보다 약간 더 작다(13cm 내외). 종종 작고 가늘게 찢어진 눈을 '''뱁새눈'''이라고 빗대어 부르는데, 실제 뱁새의 눈은 전혀 그렇지 않고 동그란 모양이다.  
+
몸의 등쪽면은 적갈색이며 배쪽면은 황토색이다. 크기는 참새보다 약간 더 작다(13cm 내외). 종종 작고 가늘게 찢어진 눈을 '''뱁새눈'''이라고 빗대어 부르는데, 실제 뱁새의 눈은 전혀 그렇지 않고 동그란 모양이다. 갈대숲이나 덤불에 떼를 지어 숨기 좋아하며 이런 곳에 둥지를 틀고 산다. 파란색의 알을 5개씩 낳는다. 종종 [[뻐꾸기]]가 뱁새의 둥지에 몰래 알을 낳아서 뱁새가 엉뚱하게 뻐꾸기의 알을 품어 기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전문용어로는 탁란(托卵)이라고 하는 행동이다. 이렇게 뱁새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는 같은 둥지에 있는 뱁새 새끼들을 본능적으로 모두 둥지 밖으로 밀어내버리고 어미의 먹이를 독차지한다. 그런데 여기에 한 가지 미스터리가 있다. 뱁새와 뻐꾸기는 생긴 것도 완전히 다르고 크기도 확실히 다른데도 불구하고, 어미 뱁새는 뱁새 새끼와 뻐꾸기 새끼를 전혀 구분하지 않고 열심히 먹이를 가져다주면서 기른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어미 뱁새가 자기보다 몸집이 훨씬 큰 뻐꾸기 새끼에게 먹이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뱁새 어미가 정말로 뱁새와 뻐꾸기 새끼를 구분하지 못하는 건지, 구분은 하지만 본능적인 행동을 하는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갈대숲이나 덤불에 떼를 지어 숨기 좋아하며 이런 곳에 둥지를 틀고 산다. 파란색의 알을 5개씩 낳는다. 종종 [[뻐꾸기]]가 뱁새의 둥지에 몰래 알을 낳아서 뱁새가 엉뚱하게 뻐꾸기의 알을 품어 기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전문용어로는 탁란(托卵)이라고 하는 행동이다. 이렇게 뱁새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는 같은 둥지에 있는 뱁새 새끼들을 본능적으로 모두 둥지 밖으로 밀어내버리고 어미의 먹이를 독차지한다. 그런데 여기에 한 가지 미스터리가 있다. 뱁새와 뻐꾸기는 생긴 것도 완전히 다르고 크기도 확실히 다른데도 불구하고, 어미 뱁새는 뱁새 새끼와 뻐꾸기 새끼를 전혀 구분하지 않고 열심히 먹이를 가져다주면서 기른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어미 뱁새가 자기보다 몸집이 훨씬 큰 뻐꾸기 새끼에게 먹이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뱁새 어미가 정말로 뱁새와 뻐꾸기 새끼를 구분하지 못하는 건지, 구분은 하지만 본능적인 행동을 하는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려다 가랑이 찢어진다'''는 [[속담]]에도 등장한다. 그만큼 뱁새는 예로부터 한국인에게 친숙한 새였으며, 이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작은 새’의 대표 격인 존재였다. 짧은 다리로 종종걸음하는 귀여운 모습을 보고 있으면 이 속담이 왜 생겼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속담에 등장하는 뱁새의 크기는 평균 13cm인데 비해 황새의 크기는 112cm로 실제 현저한 차이가 있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려다 가랑이 찢어진다'''는 [[속담]]에도 등장한다. 그만큼 뱁새는 예로부터 한국인에게 친숙한 새였으며, 이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작은 새’의 대표 격인 존재였다. 짧은 다리로 종종걸음하는 귀여운 모습을 보고 있으면 이 속담이 왜 생겼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속담에 등장하는 뱁새의 크기는 평균 13cm인데 비해 황새의 크기는 112cm로 실제 현저한 차이가 있다.  
28번째 줄: 11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황새]]
 
* [[황새]]
* [[뻐꾸기]] - 뱁새의 원수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
+
{{우리나라의 새}}
  
 
[[분류:참새목]]
 
[[분류:참새목]]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