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부평구'''({{llang|ko-Hani|富平區}})는 [[인천광역시]] 동부에 있는 [[구]]이다. 오늘날 인천의 대표적인 주거지역 중 하나로서, 인천 전체 면적의 3%(32km<sup>2</sup>)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천 전체 인구의 19%(55만 명)가 거주하고 있는 인천 최대의 자치구이다. 성냥갑 모양의 아파트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으며, 청천동에는 한국수출산업 제4차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고, [[부평역]] 앞쪽으로는 부평문화의거리 등의 상업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부평구'''({{llang|ko-Hani|富平區}})는 [[인천광역시]] 동부에 있는 [[구]]이다. 오늘날 인천의 대표적인 주거지역 중 하나로서, 인천 전체 면적의 3%(32km<sup>2</sup>)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천 전체 인구의 19%(55만 명)가 거주하고 있는 인천 최대의 자치구이다. 성냥갑 모양의 아파트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으며, 청천동에는 한국수출산업 제4차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고, [[부평역]] 앞쪽으로는 부평문화의거리 등의 상업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부평구 지역은 원적산과 광학산에 의해 원인천 지역과 분리되어 있어 오랫동안 (원)인천과는 별개의 지역으로 취급되어왔다. 한편, 동쪽의 [[부천시]]<ref>원래 부천이라는 지역명 자체가 부평과 인천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만들어진 것이기도 하다.</ref>와는 도심이 연결되어 있어 같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의 오랜 위성도시 중 하나로서, 서울과의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서울로 출근하는 인구가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녹지면적은 전국 평균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생태하천으로 꾸며진 굴포천이 있어 주민들의 쉼터가 되고 있다.  
+
부평구 지역은 원적산과 광학산에 의해 원인천 지역과 분리되어 있어 오랫동안 (원)인천과는 별개의 지역으로 취급되어왔다. 한편, 동쪽의 [[부평시]]와는 도심이 연결되어 있어 같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의 오랜 위성도시 중 하나로서, 서울과의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서울로 출근하는 인구가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녹지면적은 전국 평균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생태하천으로 꾸며진 굴포천이 있어 주민들의 쉼터가 되고 있다.  
  
본래 인천광역시 [[북구(인천)|북구]]였으나 경인고속도로 이북 지역이 [[계양구]]로 분구되면서 부평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원래 인천광역시 [[북구(인천)|북구]]에 포함되는 지역이었으나 1995년 3월 1일부로 인천 북구가 [[계양구]](북구의 북부)와 부평구(북구의 남부)각각 분리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 교통 ==  
 
== 교통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