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빵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글로벌 붕어빵|음식|TV 프로그램}}
+
붕어빵 먹고 싶다.
{{대사|붕어빵에는 붕어가 없다}}
 
[[파일:Bungeoppang-01.jpg|오른쪽|섬네일|잘 구워진 붕어빵]]
 
[[파일:멸치빵.jpg|오른쪽|섬네일|미니 붕어빵]]
 
 
 
'''붕어빵'''({{llang|en|Bungeo-ppang}})은 [[붕어]] 모양으로 생긴 [[빵]]이다.<ref>사실 빵이라고 부르기에는 어폐가 있다.</ref> [[중국]]과 [[한국]]의 길거리 노점에서 늘 찾아볼 수 있는 [[음식]]으로, 일반적으로 속재료로 팥소가 들어가지만 [[슈크림]] 등 다른 재료가 들어가기도 한다. 틀에 찍어내서 만들기 때문에 빵마다 모양이 모두 똑같아서, 무언가가 서로 닮았을 때 붕어빵 같다는 말을 쓰기도 한다. 특히 부모와 자식간에 자주 쓰인다.
 
 
 
== 유래 ==
 
[[일본]]의 타이야키({{llang|ja|たい焼き}})라는 음식에서 유래되었다. 타이야키 자체도 이마가와야키({{ja-y|今川焼き|いまがわやき}})라는 음식에서 파생된 음식인데, 모두 속에 팥소를 넣어 구워낸 음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타이야키의 뜻은 [[도미]]를 구운 음식이란 뜻으로, 붕어빵과 같이 도미를 닮은 모양에서 따온 것인데 이것이 [[한국]]으로 오면서 보다 익숙한 붕어로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Google 번역]]으로 타이야키를 번역하면 붕어빵으로 번역된다.
 
 
 
== 붕어빵에는 붕어가? ==
 
이름만 붕어빵이지 실제로 [[붕어]]가 들어가지는 않으며, 붕어빵 이라는 이름은 빵의 모양이 붕어를 닮았다는 것에서 따왔다. 한 TV 프로그램에서는 실제로 붕어를 넣어서 붕어빵을 만들기도 했지만, 맛은 별로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울진군]]에서 판매하는 대게빵의 경우에는 대게 모양이면서 대게살이 들어가며<ref>반죽과정에서 대게가루와 대게살이 함께 들어가는 형태이다.</ref>, 맛도 준수하여 지역 명물로 손 꼽힌다고 한다. 실제로 다른 방송에서는 붕어를 통째로 넣지 않고, 대게빵처럼 반죽 과정에 살을 섞는 방식으로 조리했는데 이쪽은 맛이 좋다는 평가가 나온 것을 보면 조리 과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기타 ==
 
== 기타 ==
21번째 줄: 10번째 줄:
 
* [[계란빵]]
 
* [[계란빵]]
 
* [[풀빵]]
 
* [[풀빵]]
 
+
----
== 주석 ==
 
<references/>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