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브리오 패혈증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예후 ==
 
== 예후 ==
병원에 도착했을 때 [[쇼크]] 증상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환자에서 예후가 가장 나쁘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평균 5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 50% 정도의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  
+
병원에 도착했을 때 [[쇼크]] 증상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환자에서 예후가 가장 나쁘다. 치료받은 환자에서 치사율은 평균 33%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평균 5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 50% 정도의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  
  
 
[[황달]], [[간염]] 등 간질환이 있는 환자나 [[암]], 골수억제, [[에이즈]], [[당뇨병]] 등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는 특히 취약하다. 이 경우에는,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혈류로 쉽게 침입하여 열, 오한, 혈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패혈증 쇼크, 수포성의 피부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황달]], [[간염]] 등 간질환이 있는 환자나 [[암]], 골수억제, [[에이즈]], [[당뇨병]] 등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는 특히 취약하다. 이 경우에는,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혈류로 쉽게 침입하여 열, 오한, 혈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패혈증 쇼크, 수포성의 피부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