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사랑니.jpg|250픽셀|섬네일|사랑니]]
+
'''사랑니''' 또는 '''제3대구치'''는 [[사람]]에서 [[대구치]](큰 어금니)에 해당하는 세 개의 치아 중 가장 뒤쪽에 있는 [[치아]]이다. 일반적으로 17세와 25세 사이에 나온다. 대부분의 성인은 앞뒤좌우에 하나씩 총 4개의 사랑니가 있는데 사람에 따라 더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 사랑니는 나오지 못하고 잇몸에 파묻혀 있거나 옆으로 자라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으킬 때 사랑니는 종종 발치되기도 한다.  
{{대사|쓸모 없는 이}}
 
'''사랑니''' 또는 '''제3대구치'''({{llang|en|Wisdom tooth}})는 [[사람]]에서 [[대구치]](큰 어금니)에 해당하는 세 개의 치아 중 가장 뒤쪽에 있는 [[치아]]이다. 일반적으로 17세와 25세 사이에 나온다. 대부분의 성인은 앞뒤좌우에 하나씩 총 4개의 사랑니가 있는데 사람에 따라 더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 사랑니는 나오지 못하고 잇몸에 파묻혀 있거나 옆으로 자라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으킬 때 사랑니는 종종 발치되기도 한다.  
 
  
 
== 기능 ==
 
== 기능 ==
 
현대 인류에서 사랑니는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의 조상은 현대 인류보다 더 큰 턱을 가졌으며,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인간의 조상들은 식물을 효과적으로 갈아 먹기 위해서 사랑니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의 식성이 변화하면서 턱의 크기는 줄어들었으나 사랑니는 여전히 발생하여 흔적 기관으로 남아 있다.  
 
현대 인류에서 사랑니는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의 조상은 현대 인류보다 더 큰 턱을 가졌으며,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인간의 조상들은 식물을 효과적으로 갈아 먹기 위해서 사랑니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의 식성이 변화하면서 턱의 크기는 줄어들었으나 사랑니는 여전히 발생하여 흔적 기관으로 남아 있다.  
  
== 임상적 중요성 ==
+
==임상적 중요성==
 
사랑니는 오래전부터 골칫덩이로 여겨져 왔다. 가장 오래전에 발견된 “잇몸 속에 매복된” 사랑니는 [[마들렌기]](기원전 18,000-10,000년 경)의 한 유럽 여성의 것이다. 현대 인류의 턱에는 사랑니가 날 만한 충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사랑니는 치주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사랑니로 인한 충치의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2% 이하의 사람들만이 65세 이상까지도 충치나 치주질환 없이 사랑니를 가지고 있었으며 13%의 사람들만이 65세 이상까지도 충치나 치주질환 없이 매복된 사랑니를 가지고 있었다.  
 
사랑니는 오래전부터 골칫덩이로 여겨져 왔다. 가장 오래전에 발견된 “잇몸 속에 매복된” 사랑니는 [[마들렌기]](기원전 18,000-10,000년 경)의 한 유럽 여성의 것이다. 현대 인류의 턱에는 사랑니가 날 만한 충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사랑니는 치주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사랑니로 인한 충치의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2% 이하의 사람들만이 65세 이상까지도 충치나 치주질환 없이 사랑니를 가지고 있었으며 13%의 사람들만이 65세 이상까지도 충치나 치주질환 없이 매복된 사랑니를 가지고 있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