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린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사카린은 1878년 [[존스 홉킨스 대학]]의 연구실에서 [[콜타르]] 유도체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화학자 Constantin Fahlberg에 의해 처음으로 생산되었다. Fahlberg는 어느 날 저녁, 연구 후 '''손을 씻지 않은 채로''' [[빵]]을 집어 먹게 되었는데 빵이 아주 달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는 자신의 손에 묻은 어떤 물질이 강한 단맛을 낸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 물질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884년, Fahlberg는 이 물질에 설탕(sugar)과 비슷한 물질이라는 의미로 사카린(saccharin)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제조법을 특허 등록하였다. 그로부터 2년 뒤, Fahlberg는 [[독일]] 마그데부르크의 교외 지역에 사카린 공장을 차리고 사카린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사업은 꽤나 성공적이었고, Fahlberg은 이 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카린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설탕 대체제로 떠오른 것은 [[제1차 세계대전]]의 덕택이 컸다. 전쟁의 영향으로 [[설탕]]이 부족하게 되자 사카린은 부족한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감미료로 주목받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카린의 생산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 칼로리가 없는 사카린은 다이어트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에서 사카린은 '''Sweet'n Low'''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뉴슈가''' 등의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
사카린은 1878년 [[존스 홉킨스 대학]]의 연구실에서 [[콜타르]] 유도체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화학자 Constantin Fahlberg에 의해 처음으로 생산되었다. Fahlberg는 어느 날 저녁, 연구 후 손을 씻지 않은 채로 [[빵]]을 집어 먹게 되었는데 빵이 아주 달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는 자신의 손에 묻은 어떤 물질이 강한 단맛을 낸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 물질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884년, Fahlberg는 이 물질에 설탕(sugar)과 비슷한 물질이라는 의미로 사카린(saccharin)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제조법을 특허 등록하였다. 그로부터 2년 뒤, Fahlberg는 [[독일]] 마그데부르크의 교외 지역에 사카린 공장을 차리고 사카린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사업은 꽤나 성공적이었고, Fahlberg은 이 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카린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설탕 대체제로 떠오른 것은 [[제1차 세계대전]]의 덕택이 컸다. 전쟁의 영향으로 [[설탕]]이 부족하게 되자 사카린은 부족한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감미료로 주목받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카린의 생산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 칼로리가 없는 사카린은 다이어트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에서 사카린은 '''Sweet'n Low'''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뉴슈가''' 등의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 발암성 논란 ===
 
=== 발암성 논란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