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트란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샤트란지(Shatranj), (아랍어: شطرنج;), (페르시아어: شترنج;)는 차투랑가의 파생형 장기의 일종이자 오늘날 [[체스]]의 전신이자 직계조상 격 되는 보드 게임이다.
 
샤트란지(Shatranj), (아랍어: شطرنج;), (페르시아어: شترنج;)는 차투랑가의 파생형 장기의 일종이자 오늘날 [[체스]]의 전신이자 직계조상 격 되는 보드 게임이다.
  
==특징==
+
[[체스]]가 이 게임에서 파생된 분파격 게임으로, 차투랑가가 중동으로 전파되고, 샤트란지라는 이름의 게임이 되었으며, 그것이 다시 유럽으로 건너가, 변형을 거쳐 오늘날의 체스가 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체스의 규칙인 체크메이트, 프로모션 등은 이 게임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거기에 더해 이 게임의 기물 중 하나인 루흐(Rukh)는 체스의 룩(Rook)의 어원이 되었다.
[[체스]]와 [[선떠러지]]의 선조격 게임으로, 차투랑가가 중동으로 전파되고, 샤트란지라는 이름의 게임이 되었으며, 그것이 다시 유럽으로 건너가, 변형을 거쳐 오늘날의 체스가 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한편, 아프리카로 전래된 샤트란지는 후에 선떠러지라는 또다른 파생형 게임이 되었다. 체스의 규칙인 체크메이트, 프로모션 등은 이 게임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거기에 더해 이 게임의 기물 중 하나인 루흐(Rukh)는 체스의 룩(Rook)의 어원이 되었다.
 
  
세부적으로 몇몇 규칙을 제외하면, 체스와 놀랍도록 흡사한데, 그 중 하나로, 직접적으로 왕을 잡을 수 없고, 왕이 더 이상 체크를 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곧 승리 조건인 것은 본래 샤트란지의 규칙이었다. 왕을 잡는 다는 것은 군주를 직접 시해하는 것으로 비춰져, 왕은 잡히는 것이 아니라고, 죽이는 대신 무력화 하여 더 이상 저항 할 수 없도록 하는 규칙이 만들어졌고, 이것이 그대로 체스로 전해졌다, 또한, 왕에게 공격을 가할 준비가 되었을 때, 상대에게 "체크"라고 알리는 것 역시 샤트란지에서 체크 시 임금을 의미하는 "샤"를 외치면서 경고하는 것에서 유래. 체크메이트는 "샤 마트"가 후에 변형된 것.
+
세부적으로 몇몇 규칙을 제외하면, 체스와 놀랍도록 흡사한데, 그 중 하나로, 직접적으로 왕을 잡을 수 없고, 왕이 더 이상 체크를 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곧 승리 조건인 것은 본래 샤트란지의 규칙이었다. 왕을 잡는 다는 것은 군주를 직접 시해하는 것으로 비춰져, 왕은 잡히는 것이 아니라고, 죽이는 대신 무력화 하여 더 이상 저항 할 수 없도록 하는 규칙이 만들어졌고, 이것이 그대로 체스로 전해졌다, 또한, 왕에게 공격을 가할 준비가 되었을 때, 상대에게 "체크"라고 알리는 것 역시 샤트란지에서 체크 시 임금을 의미하는 "샤"를 외치면서 경고하는 것에서 유래. 체크메이트는 "샤 마트".
 
 
기물의 묘사가 지극히 단조로워, 단순한 돌덩이나 나뭇덩이로 보일 정도다. 세세하게 모양을 약간 달리 해서 구분을 하긴 했지만, 그렇다고 장기나 쇼기의 기물처럼 따로 글자를 써놓지도 않고, 체스나 막룩의 기물처럼 쉽게 구분이 갈 정도로 구체적이지도 않다. 이는, 샤트란지가 생겨난 페르시아 지역이 이슬람권이고, 이슬람에서는 우상 숭배가 금기시되니, 석상이나 초상화 등 무언가에 대한 묘사를 할 수 없으므로, 특유의 단순한 디자인은 이런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 것.
 
  
 
==행마법==
 
==행마법==
12번째 줄: 9번째 줄:
  
 
*샤(Shah) : 임금. 체스의 킹과 동일하게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1칸씩 움직인다.
 
*샤(Shah) : 임금. 체스의 킹과 동일하게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1칸씩 움직인다.
*퍼즈(Ferz) : 고문. 체스의 퀸에 전신에 해당되는 기물로, 대각선으로 1칸씩 움직인다. 후에 유럽으로 전래되 룩과 비숍을 합친 최강 기물이 되지만, 여기서는 킹보다 약하다.
+
*퍼즈(Ferz) : 고문. 체스의 퀸에 해당되는 기물로, 대각선으로 1칸씩 움직인다.
*알필(Alfil) : 코끼리. 비숍의 전신 격 기물로, 다른 기물을 뛰어넘는 대신. 대각선 방향으로 2칸 움직인다. 비숍과 비교하면 거리가 짧고 칸에 제약이 있지만, 그 대신 다른 기물을 넘을 수 있으므로 돌파력이 더 좋다.
+
*알필(Alfil) : 코끼리. 비숍의 전신 격 기물로, 다른 기물을 뛰어넘는 대신. 대각선 방향으로 2칸 움직인다.  
 
*루흐(Rukh) : 전후좌우 직선으로 제한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체스의 룩과 동일. 룩의 어원이다.
 
*루흐(Rukh) : 전후좌우 직선으로 제한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체스의 룩과 동일. 룩의 어원이다.
*아즙(Asb) : 체스의 나이트와 동일하다. 다른 기물을 넘을 수 있고, 직선 + 대각선 1칸씩 이동한다.
+
*아즙(Asb) : 체스의 나이트와 동일하다. 직선 + 대각선 1칸씩 이동한다.
*피야다(Piyāda) : 체스의 폰과 동일하게 직선으로 전진만 가능하고, 공격 시 대각선으로 1칸 이동한다. 상대편 진영의 첫째 열에 도달 시 퍼즈로 승급한다.단, 초기 위치로부터 2칸 이동은 불가능.
+
*피야다(Piyāda) : 체스의 폰과 돌일하게 직선으로 전진만 가능하고, 공격 시 대각선으로 1칸 이동한다. 상대편 진영의 첫째 열에 도달 시 퍼즈로 승급한다.
  
 
== 체스와의 차이 ==
 
== 체스와의 차이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