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덕사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의 본사로, 충남지역의 여러 절을 말사로 거느리고 있는 중요한 절이다. 조계종의 8대 총림 중 하나로, '''덕숭총림'''이라 불리기도 한다. 8대 총림이란, [[스님]]이 모여 수행하는 곳인 선원(禪院)과 불교 경전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인 강원(講院)을 갖추고 있는 8개의 사찰을 뜻한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의 본사로, 충남지역의 여러 절을 말사로 거느리고 있는 중요한 절이다. 조계종의 8대 총림 중 하나로, '''덕숭총림'''이라 불리기도 한다. 8대 총림이란, [[스님]]이 모여 수행하는 곳인 선원(禪院)과 불교 경전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인 강원(講院)을 갖추고 있는 8개의 사찰을 뜻한다.  
  
그만큼 찾아오는 사람이 많고 규모가 큰 절이다. 그래서 주차장부터가 압도적인 규모로 되어 있으며, 절 앞 상권도 등산로 앞을 연상시킬 정도로 사람들로 복작거린다. 절 자체의 규모도 큰데다가 크고 작은 암자들이 여럿 흩어져 있어서 산 전체를 절이 뒤덮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절 초입에 있는 미술관과 수덕여관은 덤이다.  
+
그만큼 찾아오는 사람이 많고 규모가 큰 절이다. 그래서 주차장부터가 압도적인 규모로 되어 있으며, 절 앞 상권도 등산로 앞을 연상시킬 정도로 사람들로 복작거린다. 절 자체의 규모도 큰데다가 크고 작은 암자들이 여럿 흩어져 있어서 산 전체를 절이 뒤덮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절 초입에 있는 미술관과 수덕여관은 .  
  
창건연도는 불명확하며, [[백제]] 말기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덕사는 현재까지 유지된 몇 안 되는 백제 사찰이다.  
+
창건연도는 불명확하며, [[백제]] 말기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덕사는 현재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유일한 백제 사찰이기도 하다.  
  
 
== 수덕사 대웅전 ==
 
== 수덕사 대웅전 ==
[[파일:수덕사대웅전옆면.jpg|300픽셀|섬네일|수덕사 대웅전의 측면]]
 
 
 
수덕사 대웅전은 대한민국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건립연도가 정확하게 알려진 건물 중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 대웅전은 [[고려시대]]인 1308년에 세워졌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인 [[맞배지붕]]에 [[주심포양식]]으로 되어 있다. 맞배지붕은 옆에서 보면 지붕이 人모양으로 되어 있는 지붕 모양이고, 주심포양식은 지붕을 받치기 위한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건축양식이다. 이러한 건축양식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순하면서도 위엄이 있어서 고풍스러운 멋이 있다. 기둥은 역시 고려시대에 유행한 [[배흘림기둥]]으로 되어 있어서 기둥이 지붕을 가뿐하게 들어 올리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창살은 단순한 격자구조로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조선]] 전기에 세워진 [[무위사|무위사 극락보전]]과 닮았는데, 무위사 극락보전과 달리 수덕사 대웅전에는 지붕을 받치는 구조에 세부적인 장식이 있어서 세밀한 조형미가 더 뛰어나다. 이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면서 [[유교]](성리학)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서 건축 장식을 줄였기 때문이다.  
 
수덕사 대웅전은 대한민국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건립연도가 정확하게 알려진 건물 중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 대웅전은 [[고려시대]]인 1308년에 세워졌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인 [[맞배지붕]]에 [[주심포양식]]으로 되어 있다. 맞배지붕은 옆에서 보면 지붕이 人모양으로 되어 있는 지붕 모양이고, 주심포양식은 지붕을 받치기 위한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건축양식이다. 이러한 건축양식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순하면서도 위엄이 있어서 고풍스러운 멋이 있다. 기둥은 역시 고려시대에 유행한 [[배흘림기둥]]으로 되어 있어서 기둥이 지붕을 가뿐하게 들어 올리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창살은 단순한 격자구조로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조선]] 전기에 세워진 [[무위사|무위사 극락보전]]과 닮았는데, 무위사 극락보전과 달리 수덕사 대웅전에는 지붕을 받치는 구조에 세부적인 장식이 있어서 세밀한 조형미가 더 뛰어나다. 이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면서 [[유교]](성리학)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서 건축 장식을 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웅전의 진짜 아름다움은 건물의 측면에 숨어있다. 맞배지붕의 특성상 옆면에 건축구조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이 건축구조들이 가져다주는 면 분할과 비례의 미가 대단히 아름답다.  
+
대웅전의 진짜 아름다움은 건물의 측면에 숨어있다. 맞배지붕의 특성상 옆면에 건축구조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이 건축구조들이 가져다주는 면 분할과 비례의 미가 대단히 아름답다.  
 
 
{{꼭 가봐야 할 사찰}}
 
  
 
[[분류:절]]
 
[[분류:절]]
 
[[분류:예산군]]
 
[[분류:예산군]]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