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크랄로스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수크랄로스는 영국의 식품 회사인 [[Tate & Lyle]]사에서 1976년 발견된 물질이다. 당시 해당 회사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던 [[퀸엘리자베스 칼리지]] 소속 연구원인 Shashikant Phadnis는 설탕 합성 유도체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Phadnis는 어떤 한 염소 처리한 설탕 화합물을 '''테스트(test)'''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test를 '''taste(맛보다)'''로 잘못 들어 이 화합물을 맛보게 되었다. 그는 이 물질이 아주 달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Tate & Lyle사는 이 물질의 제조방법을 즉시 특허 등록하였다.  
+
수크랄로스는 영국의 식품 회사인 [[Tate & Lyle]]사에서 1976년 발견된 물질이다. 당시 해당 회사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던 [[퀸엘리자베스 칼리지]] 소속 연구원인 Shashikant Phadnis는 설탕 합성 유도체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Phadnis는 어떤 한 염소 처리한 설탕 화합물을 '''테스트(test)'''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test를 taste(맛보다)로 잘못 들어 이 화합물을 맛보게 되었다. 그는 이 물질이 아주 달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Tate & Lyle사는 이 물질의 제조방법을 즉시 특허 등록하였다.  
  
 
수크랄로스는 1991년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허가되었으며, [[미국]]은 1998년, [[유럽연합]]은 2004년에서야 이 물질을 허가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에 [[식약청]] 고시로 식품첨가물로 고시되었다. 이처럼 도입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여러 장점 덕분에 온갖 종류의 빵, 과자, 음료, 껌, 사탕, 통조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크랄로스는 1991년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허가되었으며, [[미국]]은 1998년, [[유럽연합]]은 2004년에서야 이 물질을 허가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에 [[식약청]] 고시로 식품첨가물로 고시되었다. 이처럼 도입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여러 장점 덕분에 온갖 종류의 빵, 과자, 음료, 껌, 사탕, 통조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