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이처럼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정확도가 높은 것은 아니지만, 신뢰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아지기 어렵다. 과녁판 정중앙에 조준하여 [[총]]을 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계속 비슷한 곳에 총을 쏘는 것은 신뢰도가 높은 것에 해당하며, 과녁 정중앙과 가까운 곳에 총을 쏘는 것은 정확도가 높은 것에 해당한다. 이 때 총을 아주 잘 쏘는 사람이 영점조절을 잘못하는 바람에 과녁 정중앙과는 떨어진 곳에 일정하게 총을 쐈다면, “신뢰도는 높지만 정확도는 낮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반면에 총을 잘 못 쏘는 사람은 아무리 영점조절을 잘 하더라도 정확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이처럼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정확도가 높은 것은 아니지만, 신뢰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아지기 어렵다. 과녁판 정중앙에 조준하여 [[총]]을 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계속 비슷한 곳에 총을 쏘는 것은 신뢰도가 높은 것에 해당하며, 과녁 정중앙과 가까운 곳에 총을 쏘는 것은 정확도가 높은 것에 해당한다. 이 때 총을 아주 잘 쏘는 사람이 영점조절을 잘못하는 바람에 과녁 정중앙과는 떨어진 곳에 일정하게 총을 쐈다면, “신뢰도는 높지만 정확도는 낮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반면에 총을 잘 못 쏘는 사람은 아무리 영점조절을 잘 하더라도 정확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 종류 ==
 
* 재검사 신뢰도
 
* 동형검사 신뢰도
 
* 반분 신뢰도
 
* 호이트(Hoyt) 신뢰도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