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바성 이질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Ehistdisp cyst wtmt.jpg|300픽셀|섬네일|이질아메바의 포낭. 포낭은 감염자의 분변을 통해 배설되며, 포낭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은 전파원이 된다.]]
+
[[파일:이질아메바충란.jpg|300픽셀|섬네일|이질아메바의 포낭. 포낭은 감염자의 분변을 통해 배설되며, 포낭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은 전파원이 된다.]]
 
{{대사|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는 심한 설사병}}
 
{{대사|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는 심한 설사병}}
  
15번째 줄: 15번째 줄:
  
 
== 증상 ==
 
== 증상 ==
아메바성 이질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체중감소, 빈혈, 소화불량, (혈액이나 점액이 섞인) 심한 [[설사]]<ref>혹자는 딸기젤리모양 설사라고도 한다[...]</ref>, 역겨운 냄새가 나는 설사, 복부 팽만증(위장에 가스가 차는 현상), 탈수(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분을 다량 섭취해야 한다.), 열, 피로, 오한 등이 있다.
+
아메바성 이질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체중감소, 빈혈, 소화불량, (혈액이나 점액이 섞인) 심한 [[설사]], 역겨운 냄새가 나는 설사, 복부 팽만증(위장에 가스가 차는 현상), 탈수(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분을 다량 섭취해야 한다.), 열, 피로, 오한 등이 있다.  
  
 
== 국내 상황 ==
 
== 국내 상황 ==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에만 하더라도 전체 인구의 10% 정도가 감염되어 있을 정도로<ref>일각에서는 이 수치가 E. dispar(E. histolytica와 달리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종류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부풀려졌다고 주장한다.</ref> 흔한 질병이었으나, 현재는 위생 조건이 개선되면서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1999년, [[경북]] [[구미]] 지역에서 한 급식업체 직원이 아메바성 이질을 옮기면서 해당 급식 업체의 급식을 먹는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집단 발병한 사례가 있다.<ref>[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19990601.00000004.000440&newsType=old '아메바성 이질' 18명으로 늘어...집단발병은 국내처음], <영남일보>, 1999년 6월 1일</ref> 참고로 남성 동성애자<ref>이유를 눈치챘는가? 힌트는 분변.</ref>와 [[HIV]] 감염자에서 아메바성 이질 환자 비율이 높다고 한다. 이외에 해외 여행을 다녀온 이후 감염되는 사례도 많다.
+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에만 하더라도 전체 인구의 10% 정도가 감염되어 있을 정도로<ref>일각에서는 이 수치가 E. dispar(E. histolytica와 달리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종류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부풀려졌다고 주장한다.</ref> 흔한 질병이었으나, 현재는 위생 조건이 개선되면서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1999년, [[경북]] [[구미]] 지역에서 한 급식업체 직원이 아메바성 이질을 옮기면서 해당 급식 업체의 급식을 먹는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집단 발병한 사례가 있다.<ref>[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19990601.00000004.000440&newsType=old '아메바성 이질' 18명으로 늘어...집단발병은 국내처음], <영남일보>, 1999년 6월 1일</ref> 참고로 남성 동성애자<ref>이유를 눈치챘는가? 힌트는 분변.</ref>와 [[HIV]] 감염자에서 아메바성 이질 환자 비율이 높다고 한다.
  
 
== 주석 ==
 
== 주석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