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5번째 줄: 25번째 줄:
  
 
=== 작사가 논란<ref>참고자료: [http://program.sbs.co.kr/builder/endPage.do?pgm_id=00000010101&pgm_mnu_id=14825&contNo=cu0015f0094600 <그것이 알고 싶다> 946회 누가 썼는가? 애국가 작사 미스터리]</ref> ===
 
=== 작사가 논란<ref>참고자료: [http://program.sbs.co.kr/builder/endPage.do?pgm_id=00000010101&pgm_mnu_id=14825&contNo=cu0015f0094600 <그것이 알고 싶다> 946회 누가 썼는가? 애국가 작사 미스터리]</ref> ===
특이하게도 애국가의 작사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윤치호]]가 작곡했다는 설과 [[안창호]]가 작곡했다는 설이 존재한다. 참고로 윤치호는 친일파로 [[친일인명사전]]에도 등재됐기에 더 논란이 생기고 있다. 다만 윤치호는 온건적인 방법으로 대한의 독립을 원한 사람이었으나 한국의 국민성이 미개하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었고 일제의 회유로 인해 친일 발언을 하게 되었다.
+
특이하게도 애국가의 작사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윤치호]]가 작곡했다는 설과 [[안창호]]가 작곡했다는 설이 존재한다. 참고로 윤치호는 1급 친일파로 [[친일인명사전]]에도 등재됐기에 더 논란이 생기고 있다.  
  
 
==== 윤치호설 ====
 
==== 윤치호설 ====
32번째 줄: 32번째 줄:
 
*1931년 [[미국]] [[LA]]에서 발매된 '찬가집'에서도 애국가의 작사가가 윤치호라고 적혀있다.
 
*1931년 [[미국]] [[LA]]에서 발매된 '찬가집'에서도 애국가의 작사가가 윤치호라고 적혀있다.
 
*필적 감정 결과 4군데 중 3군데는 [[윤치호]]의 일기장과 애국가 가사지의 필체가 동일인으로 드러났다.
 
*필적 감정 결과 4군데 중 3군데는 [[윤치호]]의 일기장과 애국가 가사지의 필체가 동일인으로 드러났다.
한편 이에 대해서 반론도 존재하는데, '찬미가'의 경우 윤치호가 ''역술자''라는 표현으로 나와있다. 이것에 대해 노동은 중앙대 전통예술학부 명예교수는 윤치호가 단순히 애국가를 번역한 것이며, 윤치호가 작사했다면 '저작'이라는 표현을 썼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준혁 한산대 역사학과 교수와 안민석 [[더불어민주당|새정치연합]] 의원은 부자였음에도 상세한 가계부를 쓰는 등 자신에 대한 세밀한 기록을 하던 사람이 자신의 일기장에 애국가와 관련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윤치호설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3.1운동]] 당시 애국가가 널리 불려지고 있었고, 이에 대해 윤치호가 일기를 썼으나 역시 애국가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 역시 윤치호설에 대한 반박 근거가 되고 있다.
+
한편 이에 대해서 반론도 존재하는데, '찬미가'의 경우 윤치호가 ''역술자''라는 표현으로 나와있다. 이것에 대해 노동은 중앙대 전통예술학부 명예교수는 윤치호가 단순히 애국가를 번역한 것이며, 윤치호가 작사했다면 '저작'이라는 표현을 썼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준혁 한산대 역사학과 교수와 안민석 [[새정연]] 의원은 부자였음에도 상세한 가계부를 쓰는 등 자신에 대한 세밀한 기록을 하던 사람이 자신의 일기장에 애국가와 관련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윤치호설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3.1운동]] 당시 애국가가 널리 불려지고 있었고, 이에 대해 윤치호가 일기를 썼으나 역시 애국가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 역시 윤치호설에 대한 반박 근거가 되고 있다.
  
 
==== 안창호설 ====
 
==== 안창호설 ====
43번째 줄: 43번째 줄:
 
'''북한의 애국가는 [[국가보안법]]에 의거한 이적 표현물에 해당되므로 동영상을 싣지 말아주세요.''' <del>[[국가정보원]]이 배달하는 따끈한 [[설렁탕]]이 [[코렁탕|드시고 싶으시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del>
 
'''북한의 애국가는 [[국가보안법]]에 의거한 이적 표현물에 해당되므로 동영상을 싣지 말아주세요.''' <del>[[국가정보원]]이 배달하는 따끈한 [[설렁탕]]이 [[코렁탕|드시고 싶으시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del>
  
'''애국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이다. 작사자는 박세영 선생이고 작곡가는 김원균 선생이다. 단, 북한은 애국가를 잘 쓰지 않고 [[김일성]]과 [[김정일]]을 찬양하는 목적의 노래가 있는데, 그것들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 노래는 [[국가보안법]]상 이적표현물에 해당되며 악보의 게재 및 판매는 불법이다. 하지만 [[2002 아시안 게임]]에서 [[북한]] 선수의 금메달 시상식때 최초로 한국 내에서 공식 연주가 이뤄졌고, 이 후 2013 EAFF 동아시아컵 대회에서도 연주되는 등 북한 선수가 참가하는 스포츠 대회가 많이 열리고 있기에 이럴 때마다 북한의 애국가가 연주된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가사 ==
 
{| class="wikitable"
 
 
|-
 
|-
 
! !!한국어
 
! !!한국어
58번째 줄: 55번째 줄:
 
| 후렴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br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br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br />길이 빛내세<br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br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br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br />길이 빛내세
 
| 후렴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br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br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br />길이 빛내세<br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br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br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br />길이 빛내세
 
|}
 
|}
사실 반만년 역사의 경우 [[삼국유사]]에서는 [[고조선]]이 기원전 2333년 건국했다고 적혀있기에 이는 높히 잡아봐야 4천년이 나오며, 실제로 학자들은 고조선이 기원전 8세기 경에 설립됐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감안하면 약 2700년의 역사가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단군릉]]의 유골 연대 측정을 기준으로 5천년 역사를 자기네들이 가지고 있다는 억지를 부리고, 이게 학계의 공식 입장이다.
+
 
 +
'''애국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이다. 작사자는 박세영 선생이고 작곡가는 김원균 선생이다.
  
 
=== 가사의 문제점 ===
 
=== 가사의 문제점 ===
반만년 역사라는 주장에 문제가 있다. 자세한 것은 가사 문단 참고.  
+
반만년 역사라는 주장에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역사가 개국했다고 보여지는 [[고조선]]의 경우 삼국유사에서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다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높게 잡아봐야 4천년 남짓이 나오며, 실제로 학자들은 기원전 7~9세기 경에 고조선이 세워졌다고 보고 있기에 반만년은 커녕 3천년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인민]]의 뜻으로 섰다는 주장(...)과 한없이 부강한다는 주장(...)에도 근거가 없다.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인민]]의 뜻으로 섰다는 주장(...)과 한없이 부강한다는 주장(...)에도 근거가 없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