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철도 노선
 
|노선 = 용인경전철
 
|노선 = 용인경전철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용인}}
+
|배경색 = #{{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용인}}
 
|그림 = [[파일:용인경전철.jpg|300픽셀]]
 
|그림 = [[파일:용인경전철.jpg|300픽셀]]
 
|한글 표기 = 용인경전철
 
|한글 표기 = 용인경전철
 
|영문 표기 = Yongin Light Rail
 
|영문 표기 = Yongin Light Rail
 
|한자 표기 = 龍仁輕電鐵
 
|한자 표기 = 龍仁輕電鐵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소재국 = [[파일:태극기.png|30px]] [[대한민국]]
 
|소유 = [[용인시]]
 
|소유 = [[용인시]]
 
|운영 = {{철도회사|용인경량전철}}
 
|운영 = {{철도회사|용인경량전철}}
12번째 줄: 12번째 줄:
 
|기점 = [[기흥역|기흥]]
 
|기점 = [[기흥역|기흥]]
 
|종점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종점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운행 계통 =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용인}}">●</font>[[용인경전철]]
+
|운행 계통 = <font color="#{{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용인}}">●</font>[[용인경전철]]
 
|궤간 = 1,435㎜ (표준궤)
 
|궤간 = 1,435㎜ (표준궤)
 
|선로 = 2
 
|선로 = 2
|열차 편성 = 1량 1편성
+
|열차 편성 = 2량 1편성
 
|영업 거리 = 18.0km
 
|영업 거리 = 18.0km
 
|소요 시간 = 28분
 
|소요 시간 = 28분
26번째 줄: 26번째 줄:
 
{{대사|에버라인}}
 
{{대사|에버라인}}
  
'''용인경전철'''({{llang|ko-Hani|龍仁輕電鐵}}) 또는 '''용인경량전철'''은 [[경기도]] [[용인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이다.  
+
'''용인경전철'''({{llang|ko-Hani|龍仁輕電鐵}}) 또는 '''용인경량전철'''은 [[경기도]] [[용인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이다. 용인경전철은 [[용인 에버랜드]]를 종점으로 하여 운행되기 때문에 '''에버라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2014년 9월 20일부터 수도권 전철 운임체계로 편입되었으며, 이에 따른 환승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특징 ==
 
용인경전철은 [[용인 에버랜드]]를 종점으로 하여 운행되기 때문에 '''에버라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2014년 9월 20일부터 수도권 전철 운임체계로 편입되었으며, 이에 따른 환승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전 구간이 지상 또는 고가 형태로 되어 있다. 차량은 1량 1편성이며, 무인 운전된다. 차량 측면의 창문은 내부에서는 바깥이 보이지만 외부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도록 특수처리되어있다.<del>용인경전철은 승객의 사생활을 지역주민의 사생활보다 우선시 합니다!</del>
 
 
== 논란 ==
 
 
용인경전철은 용인시 재정적자의 주범이다. 2004년 실시협약에서 용인경전철의 하루 이용객수를 14만 8천명으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약을 실시했으나, 하루 동안 운행되는 모든 경전철이 최대 탑승인원(1량당 226명)을 꽉꽉 채워 다니더라도 예측 이용객수에는 미치지 못한다. 애초에 말이 안 되는 셈법인 것이다. 이처럼 부풀려진 수요예측조사 때문에 용인시는 매년 200억 원에 달하는 세금을 용인경량전철 주식회사에 운영비용보전 명목으로 <del>삥뜯기고</del>지급하고 있다. 그나마 용인시와 운영사측의 2년간의 법정싸움(2011년~2013년 4월) 끝에 최소수입보장(MRG)방식으로 체결되어있던 계약내용을 운영비용보전 방식으로 바꾼 덕분에 용인시가 운영사측에 지급해야 하는 돈이 상당히 줄어든 결과이다.
 
용인경전철은 용인시 재정적자의 주범이다. 2004년 실시협약에서 용인경전철의 하루 이용객수를 14만 8천명으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약을 실시했으나, 하루 동안 운행되는 모든 경전철이 최대 탑승인원(1량당 226명)을 꽉꽉 채워 다니더라도 예측 이용객수에는 미치지 못한다. 애초에 말이 안 되는 셈법인 것이다. 이처럼 부풀려진 수요예측조사 때문에 용인시는 매년 200억 원에 달하는 세금을 용인경량전철 주식회사에 운영비용보전 명목으로 <del>삥뜯기고</del>지급하고 있다. 그나마 용인시와 운영사측의 2년간의 법정싸움(2011년~2013년 4월) 끝에 최소수입보장(MRG)방식으로 체결되어있던 계약내용을 운영비용보전 방식으로 바꾼 덕분에 용인시가 운영사측에 지급해야 하는 돈이 상당히 줄어든 결과이다.
  
 
지급해야 하는 액수로 따지면 MRG 방식으로 계약을 맺은 [[김해경전철]]보다 더 나은 상황이지만, 이용객수로 따지면 용인경전철의 상황이 더 나쁘다. 평균 일간 이용객수 4만 명을 찍으며 나름 선방하고 있는 김해경전철과는 달리, 용인경전철의 일간 이용객수는 1만 명 내외 수준이다. 김해시의 인구가 50만 명, 용인시의 인구가 100만 명 수준이라는 사실까지 감안하면 용인경전철의 수요가 예상보다 턱없이 적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용인시의 도시구조와 용인경전철의 노선에 기인한 것이다. 용인시의 인구는 북서부의 [[수지구]]와 [[기흥구]]에 집중되어 있는데, 용인경전철의 노선도는 용인시청과 에버랜드가 있는 [[처인구]]의 수요를 주로 처리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용인경전철이 커버할 수 있는 지역의 인구는 20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지급해야 하는 액수로 따지면 MRG 방식으로 계약을 맺은 [[김해경전철]]보다 더 나은 상황이지만, 이용객수로 따지면 용인경전철의 상황이 더 나쁘다. 평균 일간 이용객수 4만 명을 찍으며 나름 선방하고 있는 김해경전철과는 달리, 용인경전철의 일간 이용객수는 1만 명 내외 수준이다. 김해시의 인구가 50만 명, 용인시의 인구가 100만 명 수준이라는 사실까지 감안하면 용인경전철의 수요가 예상보다 턱없이 적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용인시의 도시구조와 용인경전철의 노선에 기인한 것이다. 용인시의 인구는 북서부의 [[수지구]]와 [[기흥구]]에 집중되어 있는데, 용인경전철의 노선도는 용인시청과 에버랜드가 있는 [[처인구]]의 수요를 주로 처리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용인경전철이 커버할 수 있는 지역의 인구는 20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
 +
전 구간이 지상 또는 고가 형태로 되어 있다. 차량은 2량 1편성이다. 차량 측면의 창문은 내부에서는 바깥이 보이지만 외부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는 독특한 구조로 되어있다.<del>용인경전철은 승객의 프라이버시를 지역주민의 프라이버시보다 우선시 합니다!</del>
  
 
== 노선표 ==
 
== 노선표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용인}};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용인}}; height: 2pt"
| colspan = "6" |
+
| colspan = "7" |
 
|-
 
|-
 
! Y110
 
! Y110
| [[기흥역|기흥<br><small>(백남준아트센터)</small>]]
+
| [[기흥역|기흥(백남준아트센터)]]
| 0.0
+
| 0.000
| 0.0
+
| 0.000
| {{지하철|서울|수인분당}}
+
| {{수도권전철 링크|분당}}
 
| 수원CC, [[기흥구|기흥구청]], 백남준아트센터
 
| 수원CC, [[기흥구|기흥구청]], 백남준아트센터
 +
|
 
|-
 
|-
 
! Y111
 
! Y111
 
| [[강남대역|강남대]]
 
| [[강남대역|강남대]]
| 1.0
+
| 1.044
| 1.0
+
| 1.044
 
|
 
|
 
| 구갈동 주민센터, 강남대학교
 
| 구갈동 주민센터, 강남대학교
 +
|
 
|-
 
|-
 
! Y112
 
! Y112
 
| [[지석역|지석]]
 
| [[지석역|지석]]
| 1.1
+
| 1.062
| 2.1
+
| 2.106
 
|
 
|
 
| 지석초등학교
 
| 지석초등학교
 +
|
 
|-
 
|-
 
! Y113
 
! Y113
 
| [[어정역|어정]]
 
| [[어정역|어정]]
| 0.9
+
| 0.918
| 3.0
+
| 3.024
 
|
 
|
 
| 샘물고등학교
 
| 샘물고등학교
 +
|
 
|-
 
|-
 
! Y114
 
! Y114
 
| [[동백역(용인)|동백]]
 
| [[동백역(용인)|동백]]
| 1.2
+
| 1.185
| 4.2
+
| 4.209
 
|
 
|
 
| 동백동 주민센터
 
| 동백동 주민센터
 +
|
 
|-  
 
|-  
 
! Y115
 
! Y115
 
| [[초당역|초당]]
 
| [[초당역|초당]]
| 1.1
+
| 1.097
| 5.3
+
| 5.306
 
|
 
|
 
| 초당초등학교
 
| 초당초등학교
 +
|
 
|-
 
|-
 
! Y116
 
! Y116
 
| [[삼가역|삼가]]
 
| [[삼가역|삼가]]
| 2.6
+
| 2.591
| 7.9
+
| 7.897
 
|
 
|
 
| 용인경전철 차량기지
 
| 용인경전철 차량기지
 +
|
 
|-
 
|-
 
! Y117
 
! Y117
 
| [[시청·용인대역|시청·용인대]]
 
| [[시청·용인대역|시청·용인대]]
| 1.0
+
| 1.045
| 8.9
+
| 8.942
 
|
 
|
 
| [[용인시|용인시청]], 용인대학교
 
| [[용인시|용인시청]], 용인대학교
 +
|
 
|-
 
|-
 
! Y118
 
! Y118
 
| [[명지대역|명지대]]
 
| [[명지대역|명지대]]
| 1.0
+
| 1.034
| 9.9
+
| 9.976
 
|
 
|
 
| [[용인고등학교]],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 [[용인고등학교]],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
|
 
|-
 
|-
 
! Y119
 
! Y119
 
| [[김량장역|김량장]]
 
| [[김량장역|김량장]]
| 0.8
+
| 0.755
| 10.7
+
| 10.731
 
|
 
|
 
| [[처인구|처인구청]]
 
| [[처인구|처인구청]]
 +
|
 
|-
 
|-
 
! Y120
 
! Y120
 
| [[운동장·송담대역|운동장·송담대]]
 
| [[운동장·송담대역|운동장·송담대]]
| 1.0
+
| 0.945
| 11.7
+
| 11.676
 
|
 
|
 
| [[용인종합운동장]]
 
| [[용인종합운동장]]
 +
|
 
|-
 
|-
 
! Y121
 
! Y121
 
| [[고진역|고진]]
 
| [[고진역|고진]]
| 0.9
+
| 0.935
| 12.6
+
| 12.611
 
|
 
|
 
| 용인고림택지개발지구
 
| 용인고림택지개발지구
 +
|
 
|-
 
|-
 
! Y122
 
! Y122
 
| [[보평역|보평]]
 
| [[보평역|보평]]
| 1.7
+
| 1.750
| 14.3
+
| 14.361
 
|
 
|
 
| 성산초등학교
 
| 성산초등학교
 +
|
 
|-
 
|-
 
! Y123
 
! Y123
 
| [[둔전역|둔전]]
 
| [[둔전역|둔전]]
| 1.0
+
| 1.027
| 15.3
+
| 15.388
 
|
 
|
 
| 둔전리
 
| 둔전리
 +
|
 
|-
 
|-
 
! Y124
 
! Y124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 2.7
+
| 2.626
| 18.0
+
| 18.014
 
|
 
|
 
| 전대리, [[에버랜드]]
 
| 전대리, [[에버랜드]]
 +
| [[파일:에버랜드.png|100픽셀|링크=에버랜드]]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용인}};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용인}}; height: 2pt"
| colspan = "6" |
+
| colspan = "7" |
 
|-
 
|-
 
|}
 
|}
158번째 줄: 169번째 줄:
 
* 용인경전철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던 [[이정문]] 전 용인시장은 용인경전철 계약관련 비리 혐의로 2013년에 징역 1년형과 추징금 1만 달러를 선고 받았습니다.
 
* 용인경전철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던 [[이정문]] 전 용인시장은 용인경전철 계약관련 비리 혐의로 2013년에 징역 1년형과 추징금 1만 달러를 선고 받았습니다.
  
{{수도권 전철 노선}}
+
{{용인경전철}}
 +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분류:용인경전철| ]]
 
[[분류:용인경전철|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