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작은빨간집모기.jpg|300픽셀|섬네일|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
 
 
[[파일:일본뇌염분포.jpg|300픽셀|섬네일|일본뇌염의 발생 분포도]]
 
[[파일:일본뇌염분포.jpg|300픽셀|섬네일|일본뇌염의 발생 분포도]]
  
 
{{대사|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뇌염}}
 
{{대사|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뇌염}}
  
'''일본뇌염'''({{llang|ja|日本脳炎}})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뇌염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플라비바이러스과]]속하는 [[바이러스]]이다.  
+
'''일본뇌염'''({{llang|ja|日本脳炎}})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뇌염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플라비비리대]]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다.  
  
 
가축 [[돼지]]와 야생 조류([[왜가리]])는 이 바이러스의 보균동물이며, 사람에 전염되면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성인에서는 대부분 무증상 감염으로 그친다. 이 질병을 옮기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발생하고 있다.  
 
가축 [[돼지]]와 야생 조류([[왜가리]])는 이 바이러스의 보균동물이며, 사람에 전염되면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성인에서는 대부분 무증상 감염으로 그친다. 이 질병을 옮기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발생하고 있다.  
29번째 줄: 28번째 줄:
  
 
인간, 소, 말은 일본뇌염의 종숙주이며 치명적인 뇌수막염이 유발된다. 돼지는 바이러스를 증폭하는 숙주의 역할을 하며 이 질병의 역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돼지에서의 감염은 무증상이나 임신한 돼지에서는 유산과 태아기형이 흔히 발생한다. 가장 중요한 매개체는 감염된 돼지에서 피를 빤 후에 사람의 피를 빠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야생조류가 일본뇌염의 자연숙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본뇌염을 완전하게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 소, 말은 일본뇌염의 종숙주이며 치명적인 뇌수막염이 유발된다. 돼지는 바이러스를 증폭하는 숙주의 역할을 하며 이 질병의 역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돼지에서의 감염은 무증상이나 임신한 돼지에서는 유산과 태아기형이 흔히 발생한다. 가장 중요한 매개체는 감염된 돼지에서 피를 빤 후에 사람의 피를 빠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야생조류가 일본뇌염의 자연숙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본뇌염을 완전하게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 같이 보기 ==
 
* [[웨스트나일]] -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러스성 뇌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번역된 문서|en|Japanese_encephalitis}}
 
{{번역된 문서|en|Japanese_encephalitis}}
  
 
[[분류:바이러스성 질병]]
 
[[분류:바이러스성 질병]]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