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암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로마자 역명 = Cheoram
 
|로마자 역명 = Cheoram
 
|한자 역명 = 鐵岩
 
|한자 역명 = 鐵岩
|소재지 = {{태극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
|소재지 = {{태극기}} [[강원도]] [[태백시]]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동해산타}} · {{철도 링크|V}}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O}} · {{철도 링크|V}}
 
|개역일 = [[1940년]] [[8월 1일]]
 
|개역일 = [[1940년]] [[8월 1일]]
 
|역 번호 =
 
|역 번호 =
18번째 줄: 18번째 줄:
 
{{대사|철암 탄광촌의 옛 흔적이 남아있는 역}}
 
{{대사|철암 탄광촌의 옛 흔적이 남아있는 역}}
  
'''철암역'''({{llang|ko-Hani|鐵岩驛}})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철암동에 있는 [[영동선]]의 철도역이다.  
+
'''철암역'''({{llang|ko-Hani|鐵岩驛}})은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에 있는 [[영동선]]의 철도역이다.  
  
 
== 특징 ==
 
== 특징 ==
[[파일:철암역두선탄시설.jpg|300픽셀|섬네일|철암역두선탄시설 (등록문화재 제21호)]]
+
[[파일:철암역두선탄시설.jpg|250픽셀|섬네일|철암역두선탄시설 (등록문화재 제21호)]]
 
1940년에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개역한 철암역은 인근 [[탄광]]에서 생산된 [[무연탄]]을 실어나르는 중요한 화물역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현재도 그 흔적으로 역 구내에 거대한 선탄시설(석탄을 싣는 시설)이 남아 있다. 철암역두선탄시설은 국내 최초의 무연탄 선탄 시설로서, 등록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어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theme/recom_content/cms_view_2446643.jsp?gotoPage=&year=2016&theme=2446650 탄광 도시 철암의 ‘그때 그 모습’을 만나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6년 12월 6일</ref> 1985년 준공된 역 건물은 지상 4층 규모로 거대한 위용을 뽐내며 우뚝 서 있어 석탄산업으로 번성했을 당시 철암역의 위용을 대변하고 있다. 태백역의 중심역인 [[태백역]]보다도 철암역의 규모가 훨씬 더 크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들어 석탄산업이 사양길을 걸으면서 철암역도 몰락하여 사람의 그림자도 보기 힘든 역이 되었다.  
 
1940년에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개역한 철암역은 인근 [[탄광]]에서 생산된 [[무연탄]]을 실어나르는 중요한 화물역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현재도 그 흔적으로 역 구내에 거대한 선탄시설(석탄을 싣는 시설)이 남아 있다. 철암역두선탄시설은 국내 최초의 무연탄 선탄 시설로서, 등록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어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theme/recom_content/cms_view_2446643.jsp?gotoPage=&year=2016&theme=2446650 탄광 도시 철암의 ‘그때 그 모습’을 만나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6년 12월 6일</ref> 1985년 준공된 역 건물은 지상 4층 규모로 거대한 위용을 뽐내며 우뚝 서 있어 석탄산업으로 번성했을 당시 철암역의 위용을 대변하고 있다. 태백역의 중심역인 [[태백역]]보다도 철암역의 규모가 훨씬 더 크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들어 석탄산업이 사양길을 걸으면서 철암역도 몰락하여 사람의 그림자도 보기 힘든 역이 되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 승강장 ==
 
== 승강장 ==
[[파일:철암역승강장.jpg|300픽셀|섬네일|철암역 승강장과 역명판]]  
+
[[파일:철암역승강장.jpg|250픽셀|섬네일|철암역 승강장과 역명판]]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47번째 줄: 47번째 줄:
 
! 1
 
! 1
 
| 영동선
 
| 영동선
| {{철도 링크|무궁화}}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O}}
| [[동대구역|동대구]]·[[부전역|부전]]·[[동해역|동해]] 방면
+
| [[영주역|영주]]·[[정동진역|정동진]] 방면
 +
|-
 +
! 2
 +
| 영동선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V}}
 +
| [[영주역|영주]] 방면
 
|-
 
|-
! 2·3
+
! 3
 
| 영동선
 
| 영동선
| {{철도 링크|동해산타}} · {{철도 링크|V}}
+
| {{철도 링크|무궁화}}
| [[분천역|분천]]·[[강릉역|강릉]] 방면
+
| [[동해역|동해]]·[[정동진역|정동진]] 방면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