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작성중}}
 
{{작성중}}
{{나라 정보
+
{{국가
|나라이름=폴란드
+
|-
|현지이름=폴스카 공화국|다른표기={{llang|pl|Rzeczpospolita Polska}}
+
|공식 명칭=Rzeczpospolita Polska
|국기_그림=폴란드국기.png
+
|-
|문장_그림=Herb Polski.svg
+
|국기=[[파일:Flag of Poland.svg|300픽셀]]
|나라_표어=Bóg, Honor, Ojczyzna
+
|한글 표기 = 폴란드 공화국
|나라_표어_설명=하느님, 명예, 조국
+
|한자 표기 =  
|국가=Mazurek Dąbrowskiego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
+
|영문 표기 = Republic of Poland
|수도=[[바르샤바]]
+
|약칭 = 폴란드, 뽈스까, 폴스카
|최대_도시=[[바르샤바]]
+
|언어 = [[폴란드어]](공용어)
|공용어=[[폴란드어]]
+
|종교 = [[천주교]](91%), [[무교]](5%), [[동방정교회]](1%)
|국어=
+
|면적 = 312 679
|인종=93.52% [[폴란드인]]<br>1.09% [[실레지아족]]<br>0.13% [[독일인]]<br>0.10% [[벨라루시아인]]<br>0.09% [[우크라이나인]]<br>0.03% [[루마니아인]]
+
|인구 = 3853만 3299
|종교=
+
|인구밀도= 123
|정부형태=[[의원내각제]] [[공화국]]
+
|정치체제 = [[의원내각제]]·[[입헌공화국]]
|지도자_칭호=대통령
+
|국가 원수 = [[대통령]]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Bronisław Komorowski)
|지도자_이름=[[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
|행정 수반 = [[총리]] [[도날트 투스크]](Donald Tusk)
|지도자_칭호1=총리
+
|행정구역 = 16 주(Województwo)
|지도자_이름1=[[에바 코파치]]
+
|수도 = [[바르샤바]](Warszawa)
|지도자_칭호2=
+
|통화 = [[유로]](Euro)
|지도자_칭호2=
+
|국제전화 = +48
|입법부=의회 (양원제)
+
}}
|주권='''건국'''
+
{{대사|Bóg, Honor, Ojczyzna ([[하느님]], 명예, 조국)}}
|정부수립1=공산 폴란드
 
|정부수립일1=1945년 4월 8일
 
|정부수립2=폴란드 공화국
 
|정부수립일2=1989년 9월 13일
 
|정부수립3=
 
|정부수립일3=
 
|면적=312,679
 
|면적_순위=71
 
|내수면_비율=3.07
 
|인구어림년도=2014
 
|어림인구수=3848만 3957
 
|인구_순위=34
 
|인구조사년도=2011
 
|조사인구수=3851만 1824
 
|인구밀도=123
 
|인구밀도_순위=83
 
|GDP_PPP_년도=2015
 
|GDP_PPP=9905억 6800만 <nowiki>$</nowiki> (21위)
 
|일인당_GDP_PPP=2만 5703 <nowiki>$</nowiki> (49위)
 
|GDP_명목상_년도=2015
 
|GDP_명목상=5937억 5800만 <nowiki>$</nowiki> (23위)
 
|일인당_GDP_명목상=1만 5406 <nowiki>$</nowiki> (54위)
 
|지니계수=30.9
 
|지니계수_조사년도=2012
 
|지니계수_평가=보통
 
|인간개발지수=0.834
 
|HDI_조사년도=2013
 
|HDI_평가=매우 높음
 
|통화=[[폴란드 즈워티|즈워티]]
 
|통화기호=zł
 
|시간대=UTC+1 ([[중부유럽 표준시]])
 
|일광절약시간=UTC+2
 
|차량통행방향=오른쪽
 
|국가도메인=[[.pl]]
 
|국제전화번호=48
 
|}}
 
{{대사|나치 독일과 소련의 압제를 받은 나라}}
 
  
 
[[파일:EU_location_POL.svg|500px]]
 
[[파일:EU_location_POL.svg|500px]]
117번째 줄: 80번째 줄:
  
 
요약하자면 폴란드가 [[1919년]]에 내전 상태의 러시아, 리투아니아로부터 강탈한 서우크라이나, 서벨라루스, 동리투아니아 지역(지도 상 회색 영토, 국토의 1/3)을 [[1945년]]에 소련이 자국에 편입한 뒤, 거기에 대한 보상으로 소련이 점령한 독일 땅 일부(지도 상 빨간색 영토, 국토의 1/4)를 떼어다가 공산화 된 폴란드 서쪽에 붙여준 것이다. '''폴란드 전체 국토의 동쪽 1/3이 없어지고 서쪽 1/4가 새로 들어오는 급격한 영토 변화를 겪었다. 이로 인하여 약 2백만 명의 폴란드계 실향민이 발생하였다. [[1938년]] 당시 [[폴란드 제2공화국]] 인구는 3487만 명이었다.'''
 
요약하자면 폴란드가 [[1919년]]에 내전 상태의 러시아, 리투아니아로부터 강탈한 서우크라이나, 서벨라루스, 동리투아니아 지역(지도 상 회색 영토, 국토의 1/3)을 [[1945년]]에 소련이 자국에 편입한 뒤, 거기에 대한 보상으로 소련이 점령한 독일 땅 일부(지도 상 빨간색 영토, 국토의 1/4)를 떼어다가 공산화 된 폴란드 서쪽에 붙여준 것이다. '''폴란드 전체 국토의 동쪽 1/3이 없어지고 서쪽 1/4가 새로 들어오는 급격한 영토 변화를 겪었다. 이로 인하여 약 2백만 명의 폴란드계 실향민이 발생하였다. [[1938년]] 당시 [[폴란드 제2공화국]] 인구는 3487만 명이었다.'''
== 역사 ==
 
=== [[발트족]]의 출현 ===
 
[[File:Baltic Tribes c 1200.svg|400px]]
 
  
서기 400년이 되기 전에는 폴란드 땅에 슬라브족이 '''아예''' 살지 않았다. [[게르만족의 대이동]] 이전 시기에 슬라브족들은 지금의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지방에 살았다.
 
  
폴란드 땅의 원주민은 [[발트족]]과 [[켈트족]]과 [[게르만족]]이었다.
 
 
발트족은 기원전 1500년부터 폴란드 동북부(Malbork, Elbląg, Olsztyn, Suwałki)에 살았다. 이들은 1200년대까지 폴란드 밖에 있었으나 [[게르만족의 대이동]]으로 인하여 폴란드가 비워지자 슬라브족들이 넘어와 폴란드에 살게 된 이후 발트족들이 [[폴란드 왕국]] 변경에 쳐들어와 약탈을 일삼았다.<ref>[[강원도]], [[함경도]] 지방에 살았던 [[말갈족]], [[여진족]]들과 입장이 비슷하다. 말갈족의 후예인 여진족들은 원래 [[강원도]], [[함경도]] 지방의 원주민이었으나 [[한민족]]에 대한 약탈을 일삼다가 [[신라]], [[고려]], [[조선]]의 북벌 정책으로 인하여 점점 땅을 잃고 한민족에 동화되거나 만주로 도망쳐서 만주 지방의 여진족과 동화되었다.</ref>결국 [[1226년]]에 마조비아 공작 [[콘라트 1세]](Konrad I)의 요청을 받은 [[독일 기사단]]의 침공으로 독일 기사단의 영지가 되었고<ref>단, 프러시아 지역은 독일 기사단이 직접 '''개척'''한 곳이라 [[신성로마제국]] 소속이 아니었다. 훗날 이 점을 이용해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이 프러시아를 통해 신성로마제국의 입김에서 벗어나 [[프로이센 왕국]]이 되어 [[합스부르크 가문]]과 대립하였다.</ref> [[1410년]]에 일어난 [[그룬발트 전투]](Bitwa pod Grunwaldem)에서 독일 기사단이 참패를 당하자 폴란드에 복속되었다. 그렇지만 폴란드가 완전히 지배를 한 건 아니라서 프러시아 지역은 [[1945년]]까지만 해도 주민 80%가 독일인이었다.
 
 
발트족들은 [[게르만족의 대이동]] 이후에도 쭉 프러시아 지방에 살았으나 1226년에 독일 기사단의 침공을 받아 새로 이주해 온 독일인, 폴란드인들에게 동화되었고 일부는 같은 발트족이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도망쳐서 리투아니아인에게 동화되었다.<ref>이질적인 게르만족, 슬라브족보다는 친척 민족이 더 낫다!</ref>
 
 
=== 켈트족의 출현 ===
 
[[File:Celts.svg|500px]]
 
 
켈트족은 기원전 400년부터 폴란드 남부(Wrocław, Kraków, Cieszyn, Oświęcim, Katowice, Lublin, Przemyśl, Zamość)에 살았다.
 
=== 고대 ===
 
 
 
게르만족은 폴란드 서북부(Warszawa, Poznań, Gdańsk, Szczecin)에 살았고 켈트족은 폴란드 남부(Kraków, Cieszyn, Oświęcim, Katowice 등)에 살았다. 이들은 [[게르만족의 대이동]] 때 남서쪽으로 이동하거나 폴란드 땅에 남아서 슬라브족에 동화되었다.
 
 
 
 
 
=== [[게르만족의 대이동]] ===
 
=== 슬라브족의 출현 ===
 
=== 가톨릭 개종과 건국 ===
 
=== 왕권 다툼과 분열 ===
 
=== 몽골과의 전쟁 ===
 
=== 통일 ===
 
=== 폴란드-리투아니아의 탄생 ===
 
=== 그룬발트 전투 ===
 
=== 스웨덴과의 동군연합 ===
 
===모스크바 정벌 ===
 
 
=== 우크라이나의 독립 운동 ===
 
=== 대홍수 ===
 
=== 빈 포위 ===
 
=== 외세를 업고 벌인 왕권 다툼 ===
 
=== 제1차 폴란드 분할 ===
 
=== 제2차 폴란드 분할 ===
 
=== 제3차 폴란드 분할 ===
 
=== 나폴레옹 전쟁 ===
 
=== 폴란드 독립 운동 ===
 
=== 제1차 세계 대전 ===
 
=== 폴란드 제2공화국의 독립 ===
 
=== 체코슬로바키아와의 전쟁 ===
 
=== 서우크라이나와의 전쟁 ===
 
=== 소련과의 전쟁 ===
 
=== 리투아니아와의 전쟁 ===
 
=== 폴란드의 민주주의 ===
 
 
=== 5월 쿠데타 ===
 
=== 군사 독재 ===
 
=== 피우수트스키 사망 이후 ===
 
=== 나치 독일과의 협력 ===
 
=== 나치 독일과의 관계 악화 ===
 
=== 제2차 세계 대전 ===
 
=== 돌아오지 못한 망명 정부 ===
 
=== 공산화 ===
 
=== 학살 ===
 
=== 스탈린 사망 이후 ===
 
=== 에드바르트 기에레크의 온건한 통치 ===
 
=== 경제 위기 ===
 
=== 자유 노조의 민주화 운동 ===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의 계엄령 ===
 
=== 자유 노조의 승리 ===
 
=== 폴란드 제3공화국 ===
 
=== 5년 만에 일어난 정권 교체 ===
 
===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 ===
 
===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파병 ===
 
=== 유럽 연합 가입 ===
 
=== 민족주의자 카친스키의 집권 ===
 
=== 폴란드 대통령기 추락 사고 ===
 
=== 중도우파 코모로프스키의 집권 ===
 
=== 우크라이나의 유로마이단 ===
 
[[우크라이나]]에서 [[유로마이단]] 시위가 발생하여 친러파였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였다. 그러자 러시아계 주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크림 반도]]에서 독립 운동이 일어나 2014년 3월 16일에 [[2014년 크림 반도 주민 투표|독립 투표]]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크림 반도는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독립에 성공하여 [[러시아 연방]]에 가입하였다.
 
 
결국 유로마이단 시위로 인하여 우크라이나에는 친서방 임시 정부가 들어섰지만, 크림 반도를 러시아에 내주고 말았다.
 
 
한편 폴란드는 러시아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후 미국은 폴란드에 미군 [[F-16 전투기]] 12대를 배치하였고, 미군 [[공수부대]]원 150명을 폴란드에 주둔시키기로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1&aid=0002195192 #]</ref> 한편 프랑스도 [[라팔 전투기]] 4대를 폴란드에 보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885267 #]</ref>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유럽 연합]]을 압박하기 위해 자꾸 천연가스 동결이라는 기술을 시전하자 폴란드의 [[도날트 투스크]](Donald Tusk) 총리는 2014년 4월 22일에 러시아의 가스 독점을 깨고자 유럽 연합이 함께 유럽 에너지 공동체를 만들어 힘을 합쳐 러시아와 유럽 연합이 1:1로 협상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지금 현재는 유럽 연합 가입국들이 개별적으로 러시아와 가스 협상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가 함께 러시아와 가스 가격 책정 협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폴란드랑 러시아가 협상을 해서 가격을 정하고 리투아니아랑 러시아가 협상을 해서 가격을 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럽 연합 가입국 중 강대국은 비교적 싼 가격에 가스를 수입할 수 있지만 약소국은 러시아가 내놓는 조건을 곧이 곧대로 수용할 수 밖에 없다. 허나 유럽 에너지 공동체를 만들 경우 약소국들도 강대국과 힘을 모아 가스 가격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스크 총리는 유럽에 널리 있는 셰일 가스를 공동으로 개발하여 러시아의 자원 독점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를 인용하자면 그는 에너지연합을 구성할 6가지 원칙도 제시했다. ▲러시아와 에너지계약 시 연대협상 매커지니즘을 구성한다 ▲이 연대 매커니즘이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비해 강화되어야한다 ▲EU는 적합한 에너지 인프라를 건설하는 데 지원한다 ▲유럽은 석탄과 셰일가스 등 화석연료를 충분히 활용한다 ▲유럽 이외 파트너와도 협력한다 등이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112&aid=0002561326 #]</ref> 그러자 2014년 4월 25일에 [[프랑스]]도 이를 받아들여 폴란드와 프랑스가 공동으로 유럽 에너지 공동체를 제안하는 모양새가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4&aid=0002630989 #]</ref>
 
  
 +
== 역사 ==
 
----
 
----
 
<references/>
 
<references/>
 
{{유럽}}
 
 
[[분류:폴란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