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동명이인}}
 
== [[조선]] 중기의 서예가 ==
 
 
'''한호'''는 [[조선]]왕조 역대 제 15대 임금인 [[조선 선조|선조]] 때의 서예가이다. 석봉은 그의 호이다. 석봉은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썼는데, 그 것과 관련된 일화가 있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안한 체 집에 와서 글씨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어머니에게 자랑했다. 그러나 밤에 어머니의 가래떡을 써는 모습과 제대로 쓰지 못한 글씨를 보고 후회한다. 그래서 공부를 더욱 열심히 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호'''는 [[조선]]왕조 역대 제 15대 임금인 [[조선 선조|선조]] 때의 서예가이다. 석봉은 그의 호이다. 석봉은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썼는데, 그 것과 관련된 일화가 있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안한 체 집에 와서 글씨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어머니에게 자랑했다. 그러나 밤에 어머니의 가래떡을 써는 모습과 제대로 쓰지 못한 글씨를 보고 후회한다. 그래서 공부를 더욱 열심히 하기 위해 노력했다.  
  
=== 석봉체의 특징 ===
+
== 석봉체의 특징 ==
 +
 
 
그의 서체는 [[석봉체]]라고 하는데, 초기에는 「구양수체」(구양수라는 사람은 중국 당나라 때 서예가를 말한다)를 모방하는 듯 하다가, 나중에는 독자적인 방향으로 바뀐다. 「한석봉천자문」과 「석봉서첩」 등이 전해내려오고 있지만, 그 문헌들은 그가 쓴 글씨들을 누가 배껴서 탁본한 것이지, 그가 직접 쓴 것은 아니다.
 
그의 서체는 [[석봉체]]라고 하는데, 초기에는 「구양수체」(구양수라는 사람은 중국 당나라 때 서예가를 말한다)를 모방하는 듯 하다가, 나중에는 독자적인 방향으로 바뀐다. 「한석봉천자문」과 「석봉서첩」 등이 전해내려오고 있지만, 그 문헌들은 그가 쓴 글씨들을 누가 배껴서 탁본한 것이지, 그가 직접 쓴 것은 아니다.
  
 
석봉의 글씨는 외교문서에 사용되고, 양반가집안에서 집안을 장식하는 족자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중국의 사신들도 「왕희지의 필력보다 뛰어나다.」라고 할 정도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당시 임금인 선조도 그의 필체를 크게 감탄하였다.
 
석봉의 글씨는 외교문서에 사용되고, 양반가집안에서 집안을 장식하는 족자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중국의 사신들도 「왕희지의 필력보다 뛰어나다.」라고 할 정도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당시 임금인 선조도 그의 필체를 크게 감탄하였다.
  
석봉이 직접 쓴 글은 [[임진왜란]] 때 대부분이 없어졌지만, 그가 쓴 비문은 지금까지도 보존되고 있다.  
+
석봉이 직접 쓴 글은 [[임진왜란]] 때 대부분이 없어졌지만, 그가 쓴 비문은 지금까지도 보존되고 있다.   
 
 
==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 ==    
 
한호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의 [[둔전]]제도( 전투에 병사로 징발된 백성들이 전투중에서도 농사를 지을수 있게 하는 제도) 설치에 공을 세웠다. 그렇지만 [[삼국지연의]]에는 무능하고 멍청한 장수로 한낱 병사에게 목이 잘리는 걸로 나온다.
 
  
[[분류:조선의 인물]][[분류:서예가]]
+
[[분류:조선의 인물]]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