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Morbillivirus measles infection.jpg|300픽셀|섬네일|홍역에 걸려 점 모양의 발진이 온 몸을 뒤덮었다.]]
+
[[파일:홍역.jpg|300픽셀|섬네일|홍역에 걸려 점 모양의 발진이 온 몸을 뒤덮었다.]]
 
{{대사|홍역을 치르다}}
 
{{대사|홍역을 치르다}}
  
 
'''홍역'''({{llang|en|Measles}})은 [[파라믹소바이러스]]과 [[모빌리바이러스]]속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계통, 면역계통, 피부의 감염질환이다. 증상은 7-14일(평균 10-12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현되며, 초기 증상으로는 40°C가 넘는 고열, [[코플릭 반점]](입 안에 생기는 흰색 반점. 발진이 일어나기 전 1-2일 전에 나타나서 3-5일 동안 지속됨), 불편함, [[식욕감퇴]], 마른[[기침]](마른기침 증상은 감염 후기에도 지속될 수 있음), [[콧물]], [[각막염]] 등이 있다. 이후 점 모양의 발진이 온 몸을 뒤덮는다. 홍역은 세균 감염 등 다른 합병증이 유발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7-10일간 지속된다.  
 
'''홍역'''({{llang|en|Measles}})은 [[파라믹소바이러스]]과 [[모빌리바이러스]]속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계통, 면역계통, 피부의 감염질환이다. 증상은 7-14일(평균 10-12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현되며, 초기 증상으로는 40°C가 넘는 고열, [[코플릭 반점]](입 안에 생기는 흰색 반점. 발진이 일어나기 전 1-2일 전에 나타나서 3-5일 동안 지속됨), 불편함, [[식욕감퇴]], 마른[[기침]](마른기침 증상은 감염 후기에도 지속될 수 있음), [[콧물]], [[각막염]] 등이 있다. 이후 점 모양의 발진이 온 몸을 뒤덮는다. 홍역은 세균 감염 등 다른 합병증이 유발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7-10일간 지속된다.  
  
홍역은 호흡기를 통해 빠르게 전파된다. 주로 [[감염]]된 사람이 분비하는 [[침]]이나 [[콧물]] 등의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데, 집적 접촉으로 인한 전파와 [[에어로졸]]을 통한 전파 모두 가능하다. 홍역에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감염환자와 함께 지낼 경우 90%이상의 높은 확률로 감염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2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
홍역은 호흡기를 통해 빠르게 전파된다. 주로 [[감염]]된 사람이 분비하는 [[침]]이나 [[콧물]] 등의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데, 집적 접촉으로 인한 전파와 [[에어로졸]]을 통한 전파 모두 가능하다. 홍역에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감염환자와 함께 지낼 경우 90%이상의 높은 확률로 감염된다.
  
 
== 징후와 증상 ==
 
== 징후와 증상 ==
10번째 줄: 10번째 줄:
  
 
홍역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온 몸을 뒤덮는 [[홍반]]성 반점으로서, 열이 시작된 지 수 일 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발진은 귀의 등부분에서 시작되어 수 시간 후에는 머리와 목으로 퍼지며, 이후 온 몸을 뒤덮는다. 발진은 종종 [[가려움]]을 유발하기도 한다. 홍역은 처음 증상이 시작된 지 2-4시간 후에 시작되며 8-10일 동안 지속된다. 홍역 발진은 적갈색을 띠고 있어 피부가 마치 녹슨 것처럼 보이게 된다.  
 
홍역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온 몸을 뒤덮는 [[홍반]]성 반점으로서, 열이 시작된 지 수 일 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발진은 귀의 등부분에서 시작되어 수 시간 후에는 머리와 목으로 퍼지며, 이후 온 몸을 뒤덮는다. 발진은 종종 [[가려움]]을 유발하기도 한다. 홍역은 처음 증상이 시작된 지 2-4시간 후에 시작되며 8-10일 동안 지속된다. 홍역 발진은 적갈색을 띠고 있어 피부가 마치 녹슨 것처럼 보이게 된다.  
 
=== 합병증 ===
 
홍역으로 인한 합병증은 상대적으로 흔한 편이다. [[설사]] 등의 경미한 합병증부터 [[폐렴]], [[중이염]], 급성 [[뇌염]], [[각막궤양]] 등의 심각한 합병증까지 다양한 종류의 합병증이 홍역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미국]]에서 1987년에서 2000년도 사이에 조사된 홍역의 치사율은 0.3%로 극히 낮았다. 반면 [[영양실조]]가 빈발하고 의료체계가 부실한 [[후진국]]에서는 홍역의 치사율이 28%까지 증가할 수도 있다. [[AIDS]]환자 등 [[면역결핍|면역이 결핍]]된 사람에서는 치사율이 30% 내외에 이른다.
 
 
== 원인 ==
 
홍역의 원인체는 [[홍역바이러스]]이다. 홍역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 [[모빌리바이러스]]속에 속하는 (-)ssRNA 바이러스이다. 홍역바이러스는 1954년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사람]]은 홍역바이러스의 유일한 자연적 숙주이며 사람을 제외한 다른 동물은 홍역 바이러스를 보균하지 못한다. 이 바이러스는 기침과 콧물을 통해 전파되며 전파력이 대단히 높다. 국내에는 찾아보기 힘든 질병이지만 홍역이 만연해 있는 [[나라]]를 여행 다녀온 후 홍역에 감염되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 표현 ==
 
무척 어렵거나 곤란한 일을 겪는 것을 [[홍역]]에 걸려 고생하는 것에 비유하여 '''홍역을 치르다'''라고 표현한다.
 
  
 
{{번역된 문서|en|Measles}}
 
{{번역된 문서|en|Measles}}
  
 
[[분류:바이러스성 질병]]
 
[[분류:바이러스성 질병]]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