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 경제 ==
 
== 경제 ==
 
=== 부동산 경기 침체 ===
 
=== 부동산 경기 침체 ===
2012년은 건국 이래로 [[부동산]] 가격은 오르기만 하고 내린 적은 없다는 '''부동산 불패신화'''가 무너지는 시점을 제공하였다. 일각에서는 과도한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벌어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았으나 일각에서는 이를 [[디플레이션]] 현상의 일부로 보아 부동산 침체 현상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 전반에도 큰 변화가 예고되었다. 부동산의 매매가격은 폭락한 반면 전세가격은 급등하여 '''전세대란'''이 빚어졌다.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던 신도시 개발사업과 재개발사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이는 지자체의 부실과 건설업체의 불황으로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를 가속화시키는 악순환을 유발하였다.
 
 
 
=== 경제민주화 ===
 
=== 경제민주화 ===
2012년 대한민국 [[경제]]의 최대 키워드는 '''경제민주화'''였다. 경제민주화는 여러 경제주체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대기업]]에게 유리한 경제 풍토가 형성되어왔기 때문에 좁은 의미로는 대기업 규제 강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입 규제와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가하는 '''갑(甲)질 횡포'''를 막는 데에 관심이 모아졌다. 대선주자들도 이러한 의견에 동조하여, [[박근혜]]와 [[문재인]] 두 유력 대선후보 모두 경제민주화를 주요 공약에 포함시켰다.
 
 
 
=== 한국 신용등급 상향 ===
 
=== 한국 신용등급 상향 ===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해 세계 [[선진국]]들의 신용등급이 일제히 하락하는 가운데 [[대한민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오히려 급격히 상승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무디스]], [[S&P]], [[피치]] 등의 신용평가사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각각 Aa3, A+, AA-로 상향 조정하면서 한국의 신용등급은 [[IMF 외환위기]]가 벌어지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피치의 경우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일본]]보다도 더 높게 책정하였다. 국가신용등급이 높다는 것은 국가가 경제적으로 튼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한국의 경우 정부에서 재정 관리를 잘 하여 국가 채무비율이 낮고, 대내, 대외적인 경제적 시련에도 잘 버티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안보 위협요소인 [[북한]]에서 [[김정은]]체제가 큰 혼란없이 안착한 것도 한국 신용등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로서 국내 금융기관과 수출기업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 사회 ==
 
== 사회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