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T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DDT병사.jpg|300픽셀|섬네일|[[제2차 세계대전]] 당시 DDT 스프레이를 병사에게 뿌리는 모습]]
 
[[파일:DDT알.jpg|300픽셀|섬네일|DDT의 영향으로 새의 알껍데기가 얇아진 모습]]
 
 
{{대사|침묵의 봄}}
 
{{대사|침묵의 봄}}
  
12번째 줄: 10번째 줄:
  
 
DDT의 사용 금지 덕분에 미국에서는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던 [[대머리독수리]]와 [[송골매]]가 멸종 위험에서 벗어났다.  
 
DDT의 사용 금지 덕분에 미국에서는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던 [[대머리독수리]]와 [[송골매]]가 멸종 위험에서 벗어났다.  
 
== 특성 ==
 
[[소수성]]이 아주 강하여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 반면 유기용매, [[지방]], [[기름]]에는 아주 잘 녹는다.
 
 
== 환경에 미치는 영향 ==
 
DDT는 [[토양]]과 [[퇴적물]]에 흡수되어 반영구적으로 잔류하는 [[환경오염]] 물질이다. 생물체내에 한번 들어오면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만성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조건에 따라 토양에서의 반감기는 최대 30년까지도 길어질 수 있다. 휘발, [[광분해]], [[생분해]] 등을 통해서 서서히 손실되거나 분해된다. DDT는 아주 [[소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수생 생태계에서 DDT는 곧바로 해양 생물체로 흡수된다. DDT의 유사체인 DDE와 DDD또한 잔류하는 성질이 강하며 DDT와 비슷한 화학적·물리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DDT는 [[지용성]]의 물질이기 때문에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축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있는 육식성 [[새]]의 몸에는 엄청난 양의 DDT가 농축된다. DDT는 체내의 [[지방]]에 주로 저장되어 있으며, 체내에서 거의 대사되지 않는다. 사람에서 DDT의 반감기는 6년에서 10년에 이른다. 미국 [[질병대책센터]](CDC)가 2005년에 행한 조사에서는 거의 모든 미국인들의 혈액에서 DDT가 검출되어 충격을 주기도 했다.
 
 
[[해초]]는 토양에 함유된 DDT의 독성을 6주 만에 8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유전자]]를 망가뜨리거나 [[내분비계]]에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다. [[당뇨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분비계 교란으로 인해 발달 지연이나 생식능력 저하가 생길 수 있다. [[암]], 그 중에서도 특히 [[유방암]]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DDT가 암을 일으킨다는 증거는 없는 상태이다.
 
 
{{번역된 문서|en|DDT}}
 
  
 
[[분류:독]]
 
[[분류:독]]
 
[[분류:유기 화합물]]
 
[[분류:유기 화합물]]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