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ny I Hardly Knew Ye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Johnny I Hardly Knew Ye'''는 조세프  B. 조헤건({{llang|en|Joseph B. Geoghegan}})이 [[1867년]] [[영국]] [[런던]]에서 작사하고 발표한 곡이다. 다만, 원곡 자체는 그 이전인 18세기 후기나 19세기 전기 즈음 [[아일랜드]]에서 작곡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 영국과 [[캔디 왕국]](kingdom of kandy)(현재 [[스리랑카]]에 위치한 나라)은 1795년 부터 1818년까지 전잰중이었다는 시대상황과<ref>[http://en.wikipedia.org/wiki/Kandyan_Wars Kandyan Wars, 『영어 위키피디아』]</ref> 가사 내용에 비추어 보면 [[반전가요]]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Johnny I Hardly Knew Ye'''는 조세프  B. 조헤건({{llang|en|Joseph B. Geoghegan}})이 [[1867년]] [[영국]] [[런던]]에서 작사하고 발표한 곡이다. 다만, 원곡 자체는 그 이전인 18세기 후기나 19세기 전기 즈음 [[아일랜드]]에서 작곡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 영국과 [[캔디 왕국]](kingdom of kandy)(현재 [[스리랑카]]에 위치한 나라)은 1795년 부터 1818년까지 전잰중이었다는 시대상황과<ref>[http://en.wikipedia.org/wiki/Kandyan_Wars Kandyan Wars, 『영어 위키피디아』]</ref> 가사 내용에 비추어 보면 [[반전가요]]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오래된 곡이다보니 저작권이 풀려 곡은 같으면서 가사만 다른 곡들이 상당히 많고, 가사 자체도 변형이 많다. [[1863년]] [[남북전쟁]] 당시 써진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이 그러하고, '개미들의 행진'({{llang|en|The Ants Go Marching One By One, The Ants came Marching}})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빙빙 돌아라'라는 [[번안곡]]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향토적인(?) 가사를 지닌 '후라이 똥튀김송'으로도 유명하다.
+
오래된 곡이다보니 저작권이 풀려 곡은 같으면서 가사만 다른 곡들이 상당히 많고, 가사 자체도 변형이 많다. [[1863년]] [[남북전쟁]] 당시 써진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이 그러하고, '개미들의 행진'({{llang|en|The Ants Go Marching One By One, The Ants came Marching}})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빙빙 돌아라'라는 [[번안곡]]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향토적인? 가사를 지닌 '후라이 똥튀김송'으로도 유명하다.
  
 
== 대한민국에서 ==
 
== 대한민국에서 ==
7번째 줄: 7번째 줄:
  
 
70, 80년대 [[시위]]에서 '훌라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시위때마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개사되어 불려졌고, 대통령 이름이 들어가는 경우도 흔했다.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불렸던 것은 '정의가'라는 별칭이 있었다. [[부산]] 고은 사진미술관은 5월 18일부터 7월 31일까지 [[5·18광주민주화운동]] 33주년을 맞아 기획전으로 '그날의 훌라전'을 열기도 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5/02/0200000000AKR20130502163200054.HTML 80년 5월을 기억한다…'그날의 훌라송'전, 『연합뉴스』, 2013년 5월 2일]</ref>
 
70, 80년대 [[시위]]에서 '훌라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시위때마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개사되어 불려졌고, 대통령 이름이 들어가는 경우도 흔했다.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불렸던 것은 '정의가'라는 별칭이 있었다. [[부산]] 고은 사진미술관은 5월 18일부터 7월 31일까지 [[5·18광주민주화운동]] 33주년을 맞아 기획전으로 '그날의 훌라전'을 열기도 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5/02/0200000000AKR20130502163200054.HTML 80년 5월을 기억한다…'그날의 훌라송'전, 『연합뉴스』, 2013년 5월 2일]</ref>
 
== 버전 ==
 
* [[Irish Rovers]] [http://youtu.be/wFUTHcjiZGo →]
 
* [[Dropkic Murphys]] [http://youtu.be/Yg_rf2d894k →]
 
  
 
== 가사 ==
 
== 가사 ==
40번째 줄: 36번째 줄:
 
Why did ye run from me and the child<br>
 
Why did ye run from me and the child<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후렴]<br><br>
 
  
 
[3]<br>
 
[3]<br>
50번째 줄: 44번째 줄:
 
Indeed your dancing days are done<br>
 
Indeed your dancing days are done<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후렴]<br><br>
 
  
 
[4]<br>
 
[4]<br>
60번째 줄: 52번째 줄:
 
You'll have to be left with a bowl out to beg<br>
 
You'll have to be left with a bowl out to beg<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후렴]<br><br>
 
  
 
[5]<br>
 
[5]<br>
69번째 줄: 59번째 줄:
 
All from the island of Sulloon<br>
 
All from the island of Sulloon<br>
 
So low in flesh, so high in bone<br>
 
So low in flesh, so high in bone<br>
Oh Johnny I hardly knew ye.<br><br>
+
Oh Johnny I hardly knew ye.<br>
 
 
[후렴]<br><br>
 
  
 
[6]<br>
 
[6]<br>
79번째 줄: 67번째 줄:
 
But they never will take my sons again<br>
 
But they never will take my sons again<br>
 
No they'll never take my sons again<br>
 
No they'll never take my sons again<br>
Johnny I'm swearing to ye.<br><br>
+
Johnny I'm swearing to ye.
 
 
[후렴]
 
 
|}
 
|}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아일랜드의 노래]] [[분류:대한민국의 노래]] [[분류:반전노래]] [[분류:민중노래]]
+
[[분류:아일랜드의 가요]] [[분류:대한민국의 가요]] [[분류:반전가요]] [[분류:민중가요]]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