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V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GV차량.jpg|250픽셀|섬네일|TGV 대서양선 열차.]]
+
[[파일:TGV차량.jpg|250픽셀|섬네일|TGV Atlantique 열차. [[KTX]]의 모델이 된 바로 그 열차이다.]]
[[파일:KTX-1차량.jpg|250픽셀|섬네일|한국의 KTX-1. TGV와 쏙 빼닮았다.]]
 
  
 
{{대사|KTX의 원형}}
 
{{대사|KTX의 원형}}
8번째 줄: 7번째 줄:
 
TGV는 2007년 4월 3일에 574.8km/h의 최고속력을 기록함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차<ref>자기부상열차 제외</ref>로 공식 인정받았다. [[샹파뉴-아르덴느 TGV]]와 [[로렌 TGV]] 사이의 구간은 평균속력 279.4km/h로 운행되며, 2007년 ''[[Railway Gazette]]''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력으로 운행되는 철도노선’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다만 이 기록은 2013년 7월에 중국 고속철도에 빼앗겼다.  
 
TGV는 2007년 4월 3일에 574.8km/h의 최고속력을 기록함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차<ref>자기부상열차 제외</ref>로 공식 인정받았다. [[샹파뉴-아르덴느 TGV]]와 [[로렌 TGV]] 사이의 구간은 평균속력 279.4km/h로 운행되며, 2007년 ''[[Railway Gazette]]''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력으로 운행되는 철도노선’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다만 이 기록은 2013년 7월에 중국 고속철도에 빼앗겼다.  
  
첫 LGV 노선(고속열차 전용노선)인 [[LGV 남동선]]가 성공하면서 많은 돈을 벌어들였고, 이후 TGV 노선은 남쪽([[LGV -알프스선]], [[LGV 지중해선]]), 서쪽([[LGV 대서양선]]), 북쪽([[LGV 북선]]), 동쪽([[LGV 동선]])으로 확장되었다. TGV가 성공을 거두자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의 이웃국가들도 각자 독자적으로 고속열차를 개발하여 도입하였다. TGV는 이웃국가들까지도 운행되고 있다. 스위스 및 이탈리아에는 직접 TGV가 운행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탈리스]]나 [[유로스타]] 등의 TGV 파생 고속열차들이 유럽 각국을 누비고 있다. 오늘날에도 TGV 노선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2007년 한 해 동안 SNCF는 11억€(한화로 약 1조 4천만 원)의 수익을 냈다.
+
첫 LGV 노선인 [[LGV Sud-Est]]가 성공하면서 많은 돈을 벌어들였고, 이후 TGV 노선은 남쪽([[LGV Rhône-Alpes]], [[LGV Méditerranée]]), 서쪽([[LGV Atlantique]]), 북쪽([[LGV Nord]]), 동쪽([[LGV Est]])으로 확장되었다. TGV가 성공을 거두자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의 이웃국가들도 각자 독자적으로 고속열차를 개발하여 도입하였다. TGV는 이웃국가들까지도 운행되고 있다. 스위스 및 이탈리아에는 직접 TGV가 운행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탈리스]]나 [[유로스타]] 등의 TGV 파생 고속열차들이 유럽 각국을 누비고 있다. 오늘날에도 TGV 노선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2007년 한 해 동안 SNCF는 11억€(한화로 약 1조 4천만 원)의 수익을 냈다.
  
TGV는 2004년부터 운행을 개시한 한국의 고속열차인 KTX의 원형이다. 당시 프랑스는 기술이전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고 당시로서 최신형 고속열차에 속했던 TGV-대서양의 도입을 제안하였고, 이 제안에 따라 TGV를 본뜬 KTX가 제작되었다. 그래서 TGV와 KTX(특히 KTX-1)는 겉모습이 쏙 빼닮았다. 그래서 한국인이 프랑스로 해외여행가서 TGV를 이용하면 왠지 모를 익숙함을 느낀다고.
+
TGV는 2004년부터 운행을 개시한 한국의 고속열차인 KTX의 원형이다. 당시 프랑스는 기술이전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고 당시로서 최신형 고속열차에 속했던 TGV-Atlantique의 도입을 제안하였고, 이 제안에 따라 TGV를 본뜬 KTX가 제작되었다. 그래서 TGV와 KTX(특히 KTX-1)는 겉모습이 쏙 빼닮았다. 그래서 한국인이 프랑스로 해외여행가서 TGV를 이용하면 왠지 모를 익숙함을 느낀다고.
  
 
== 알고 계셨나요? ==
 
== 알고 계셨나요? ==
* 한국이 [[TGV]]를 도입하는 조건으로 프랑스 측이 [[직지심체요절]] 등의 한국 문화재를 반환하기로 모종의 거래를 했으나 프랑스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루머가 있는데, '''당연히 사실이 아닙니다.'''
+
* 한국이 [[TGV]]를 도입하는 조건으로 프랑스 측이 [[직지심체요절]] 등의 한국 문화재를 반환하기로 모종의 거래를 했으나 프랑스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루머가 있는데, '''당연히 사실이 아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번째 줄: 19번째 줄:
 
== 주석 ==
 
==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철도 차량]]
 
[[분류:프랑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