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Ⅰ/제3차 교육과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이 문서는 문교부령 350호로 고시된 제3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1977학년도 고교 신입생부터 1985학년도 고등학교 3학년생까지 적...)
 
13번째 줄: 13번째 줄:
 
집합과 명제, 지수와 로그, 실수와 복소수,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수열, 도형의 방정식, 함수,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통계를 다루었다.
 
집합과 명제, 지수와 로그, 실수와 복소수,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수열, 도형의 방정식, 함수,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통계를 다루었다.
  
[[분류:교육]]
+
[[분류:대한민국의 수학 교육]]

2013년 8월 7일 (수) 14:58 판

이 문서는 문교부령 350호로 고시된 제3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1977학년도 고교 신입생부터 1985학년도 고등학교 3학년생까지 적용되었던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인 수학Ⅰ에 대해 다룹니다.

이 과목은 인문계열 학생중 인문과정과 자연과정에 있는 학생이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단위수는 14~18로 배정되었다. 1주일에 한번 수업하면 1단위이고 1학기는 17주가 기본이므로 14~18단위라는 것은 학기당 1주일에 14~18번씩 총 2학기를 수업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반드시 이렇게 편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1학기에 14~18단위를 다 해도 상관은 없다. 대학의 학점과 같은 개념이다.

개설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집합적인 고찰에 의한 개념 파악을 바탕으로 명제의 합성이나, 상호 관계 등을 이해시켜서,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수를 복소수 범위로 확장하고, 수 집합의 대수적 구조를 규명하여 수 체계를 파악하게 하고, 수식의 기본적인 개념 법칙의 이해와 아울러 이를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좌표에 대한 개념을 깊이 이해시켜서, 기본적인 도형의 성질이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함수의 개념과 성질을 파악하고, 함수의 극한 및 미적분의 기본적인 개념, 법칙 등을 이해시켜서, 간단한 다항함수의 범위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확률, 통계의 기본적인 개념, 법칙 등을 이해시켜서, 통계적인 사고 방법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집합과 명제, 지수와 로그, 실수와 복소수,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수열, 도형의 방정식, 함수,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통계를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