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Z세대'''는 대한민국에서 1995년에서 2010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의미한다. == 용어 == 한국에서는 2020년대 들어서 Z세대를 M세대(1980~1...)
 
(개인주의적인 개인주의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스마트폰 세대 ===
 
=== 스마트폰 세대 ===
Z세대는 유년기 시절부터 디지털 기기와 함께 성장해온 '디지털 원주민'이다. 이는 유년기 시절을 아날로그 사회 속에서 보낸 [[M세대]]와의 큰 차이점이다. Z세대는 2010년대 보급된 [[스마트폰]]을 학창시절부터 장난감처럼 갖고 논 스마트폰 세대이다. [[컴퓨터]]보다도 스마트폰이 더 친숙하여, M세대가 궁금한 게 있으면 [[네이버]]에 검색하는 것과는 달리, Z세대는 [[유튜브]]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즉각적인 반응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TV]] 또한 선호하지 않으며, 구시대의 유물로까지 여기기도 한다.  
+
Z세대는 유년기 시절부터 디지털 기기와 함께 성장해온 '디지털 원주민'이다. 이는 유년기 시절을 아날로그 사회 속에서 보낸 [[M세대]]와의 큰 차이점이다. Z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을 장난감처럼 손에 늘 쥐고 논 스마트폰 세대이다. 어릴 적부터 언제 어디서든 바지 주머니에 들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연결을 위해 전화기나 컴퓨터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해야 했던 아날로그 시대를 이해하지 못한다. [[컴퓨터]]보다도 스마트폰이 더 친숙하여, M세대가 궁금한 게 있으면 [[네이버]]에 검색하는 것과는 달리, Z세대는 [[유튜브]]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즉각적인 반응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TV]] 또한 선호하지 않으며, 구시대의 유물로까지 여기기도 한다.  
  
Z세대에게 스마트폰은 단순한 디지털 기기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해온 삶의 일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Z세대에게 유튜브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자 재미있는 친구이자 동경하는 스타이다.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래희망이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것도 무리가 아니다.  
+
Z세대에게 스마트폰은 단순한 디지털 기기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해온 삶의 일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Z세대에게 유튜브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자 재미있는 친구이자 동경하는 스타이다.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래희망이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것도 무리가 아니다.
  
 
=== X세대의 자녀세대 ===
 
=== X세대의 자녀세대 ===
Z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그들의 부모인 [[X세대]]이다. 역사상 가장 자유분방한 세대라 불리던 X세대는 양육도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했다. X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녀와 친구같은 수평적 관계를 맺었다.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훈육하고 가르치려는 대신, 자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주장을 존중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Z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주장과 개성을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세대가 되었다.  
+
Z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그들의 부모인 [[X세대]]이다. 역사상 가장 자유분방한 세대라 불리던 X세대는 양육도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했다. X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녀와 친구같은 수평적 관계를 맺었다.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훈육하고 가르치려는 대신, 자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주장을 존중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Z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주장과 개성을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세대가 되었다. 또한, 부모에 대해 높은 친밀감을 느끼고 반항심이 적어 [[담배]]를 피거나 음주를 하는 등의 청소년 일탈 문화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
 
 +
X세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자녀세대인 Z세대에 그대로 전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정도는 Z세대에 이르러 더욱 강화되었다. X세대가 "회사 보다는 내 가정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를 취했다면, X세대는 "가정 보다도 나 자신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라 할 수 있다. X세대가 가정을 최우선시한 것과는 달리, Z세대는 내가 왜 가정을 위해 나의 행복을 희생해야 하는지 강한 의문을 품고 있다. 이러한 Z세대의 태도는 전통적 형태의 결혼과 출산을 당연시하고 가족의 행복이 곧 자신의 행복이라 믿는 [[X세대]], [[밀레니엄 세대]]와의 큰 차이점으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자발적인 미혼이 늘어나고, 법적 구속력이 강한 [[결혼]] 보다는 동거를 하면서 가정을 꾸리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결혼은 하더라도 출산을 하지 않는 [[딩크족]]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결혼과 출산에 무관심한 풍조는 앞서 2010년대 들어 나타난 [[일본]] [[사토리 세대]]의 [[초식남]] 현상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 미래 ==
 
== 미래 ==
 
2030년대부터 Z세대의 사회 진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들이 사회에서 어떤 목소리를 낼지, 사회를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030년대부터 Z세대의 사회 진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들이 사회에서 어떤 목소리를 낼지, 사회를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
Z세대는 출산률 저하에 따른 인구 절벽이 시작된 세대로서, 그 숫자가 앞선 [[밀레니얼 세대]]에 비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와 달리 사회 진출 과정에서의 극한 경쟁, 청년 실업 문제는 겪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저성장 시대에 나고 자란 세대인만큼, 국면에 들어선 대한민국 사회에 자연스레 적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M세대와 달리, [[결혼]]과 출산을 꼭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아, 가족을 구성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세대}}
 
{{대한민국의 세대}}

2024년 6월 11일 (화) 17:15 판

Z세대대한민국에서 1995년에서 2010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를 의미한다.

용어

한국에서는 2020년대 들어서 Z세대를 M세대(1980~1990년대 중반 출생자)와 함께 묶어서 MZ세대로 퉁치는 것이 유행했다. 그러나 M세대와 Z세대는 하나로 묶어 부르기에는 연령대도 너무 크게 차이나고, 특성도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누리위키에서는 M세대와 Z세대를 별도의 문서로 다루기로 한다. 간편하게 구분하자면,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억하고 있다면 M세대, 그렇지 않다면 Z세대로 볼 수 있다.

Z세대는 1970년대 출생자를 X세대라고 부른 것에 착안하여, 알파벳 순에 따라 그 다음 세대를 Y세대(M세대), 또 그 다음 세대를 Z세대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특징

스마트폰 세대

Z세대는 유년기 시절부터 디지털 기기와 함께 성장해온 '디지털 원주민'이다. 이는 유년기 시절을 아날로그 사회 속에서 보낸 M세대와의 큰 차이점이다. Z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을 장난감처럼 손에 늘 쥐고 논 스마트폰 세대이다. 어릴 적부터 언제 어디서든 바지 주머니에 들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연결을 위해 전화기나 컴퓨터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해야 했던 아날로그 시대를 이해하지 못한다. 컴퓨터보다도 스마트폰이 더 친숙하여, M세대가 궁금한 게 있으면 네이버에 검색하는 것과는 달리, Z세대는 유튜브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즉각적인 반응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TV 또한 선호하지 않으며, 구시대의 유물로까지 여기기도 한다.

Z세대에게 스마트폰은 단순한 디지털 기기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해온 삶의 일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Z세대에게 유튜브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자 재미있는 친구이자 동경하는 스타이다.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래희망이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것도 무리가 아니다.

X세대의 자녀세대

Z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그들의 부모인 X세대이다. 역사상 가장 자유분방한 세대라 불리던 X세대는 양육도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했다. X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녀와 친구같은 수평적 관계를 맺었다.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훈육하고 가르치려는 대신, 자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주장을 존중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Z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주장과 개성을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세대가 되었다. 또한, 부모에 대해 높은 친밀감을 느끼고 반항심이 적어 담배를 피거나 음주를 하는 등의 청소년 일탈 문화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X세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자녀세대인 Z세대에 그대로 전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정도는 Z세대에 이르러 더욱 강화되었다. X세대가 "회사 보다는 내 가정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를 취했다면, X세대는 "가정 보다도 나 자신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라 할 수 있다. X세대가 가정을 최우선시한 것과는 달리, Z세대는 내가 왜 가정을 위해 나의 행복을 희생해야 하는지 강한 의문을 품고 있다. 이러한 Z세대의 태도는 전통적 형태의 결혼과 출산을 당연시하고 가족의 행복이 곧 자신의 행복이라 믿는 X세대, 밀레니엄 세대와의 큰 차이점으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자발적인 미혼이 늘어나고, 법적 구속력이 강한 결혼 보다는 동거를 하면서 가정을 꾸리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결혼은 하더라도 출산을 하지 않는 딩크족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결혼과 출산에 무관심한 풍조는 앞서 2010년대 들어 나타난 일본 사토리 세대초식남 현상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미래

2030년대부터 Z세대의 사회 진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들이 사회에서 어떤 목소리를 낼지, 사회를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Z세대는 출산률 저하에 따른 인구 절벽이 시작된 세대로서, 그 숫자가 앞선 밀레니얼 세대에 비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와 달리 사회 진출 과정에서의 극한 경쟁, 청년 실업 문제는 겪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저성장 시대에 나고 자란 세대인만큼, 국면에 들어선 대한민국 사회에 자연스레 적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M세대와 달리, 결혼과 출산을 꼭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아, 가족을 구성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세대
산업화세대 386세대 X세대 M세대
1940~54년생 1955~69년생 1970~79년생 1980~94년생
Z세대 알파세대
1995~10년생 2011~25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