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21번째 줄: 21번째 줄:
 
}}
 
}}
 
{{대사|국립현충원역}}
 
{{대사|국립현충원역}}
 
'''동작<small>(현충원)</small>역'''(Dongjak<small>(Seoul National Cemetery)</small>Station, {{llang|ko-Hani|銅雀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전철역이다.
 
 
== 명칭 ==
 
[[파일:동작역4호선역명.jpg|300픽셀|섬네일|동작역(4호선) 역명판]]
 
 
동작역이라는 명칭과는 달리, [[동작구]]의 중심지와는 멀리 떨어져 있다. 동작구의 중심지는 여기가 아니라 [[노량진역]] 일대이다. 동작역이 위치한 곳은 동작구와 서초구의 경계 지역으로서, 어느 구에 속한다고 확실하게 말하기도 애매한 수준이다. 그런데도 동작역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은 [[조선]] 시대의 나루였던 동재기나루터[銅雀津, 동작진]가 이곳에 있기 때문이다. 동작역 2번 출구로 나가면 동재기나루터 비석이 세워진 것을 볼 수 있다. 1955년에 동작마을을 밀어버리고 국립현충원을 만들기 이전까지 동작의 중심지는 현재의 노량진 일대가 아닌 바로 이곳(동작동)이 맞았기 때문에 동작역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다.
 
 
== 특징 ==
 
=== 빈약한 역세권, 환승 강세역 ===
 
동작역은 어느 지역 주민도 이용하기 어려운 역이다. 서쪽의 흑석동, 남쪽의 방배동과는 거리가 500m 이상 떨어져 있어서 이용이 어렵고, 그나마 1번 출입구가 반포본동의 반포주공아파트와 연결된 정도다. 그러나 반포주공아파트 주민도 이용률이 떨어진다. 역 북쪽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있고, 남쪽으로는 산과 곧바로 맞붙어 있어서 조용하고 경치 하나만큼은 좋지만, 역세권은 발달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탑승객 수요는 4호선, 9호선 통틀어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4호선, 9호선 완행/급행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역인 만큼 환승 수요는 압도적으로 높다. 그러나 환승 통로가 길어서 환승하기 편한 역은 아니다. 4호선은 고가역이고, 9호선은 지하역이기 때문에 환승 거리가 길다.
 
 
=== 현충원역 ===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어서 '''현충원'''이라는 병기역명이 붙었다. 동작구 주민의 이용률이 떨어지고, 현충원을 방문하는 이용객이 많다는 상황을 고려하면 현재로서는 동작역보다는 현충원역이라는 역명이 더 타당해 보인다. [[현충일]]과 6,25가 끼어 있는 6월이 되면 현충원을 방문하는 사람들로 역이 잠깐 붐빈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현충원은 4호선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이용이 어렵고, 9호선에서 훨씬 가깝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분류:동작구]]
 

2025년 4월 6일 (일) 13:05 판

이촌(국립중앙박물관)삼태극.png 동작(현충원) (4호선)총신대입구 흑석(중앙대입구)삼태극.png 동작(현충원) (9호선)구반포
동작역4호선.jpg
동작역 4호선 승강장
로마자 역명 Dongjak(Seoul National Cemetery)
한자 역명 銅雀
소재지 태극기.png 서울특별시 동작구
역 번호 431 (4호선)
920 (9호선)
운영 서울교통공사.png

서울구호선주식회사 로고.jpg

노선 Seoul Metro Line 4.png · Seoul Metro Line 9.png
개역일 1985년 9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