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철도역 | + | {{철도 |
− |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1}}
| |
− | |배경색2 = #{{서울도시철도 색상|7}}
| |
− | |그림 = [[파일:온수역7호선.jpg|320픽셀]]<br>온수역 7호선 승강장
| |
− | |노선 = {{지하철|서울|1}} · {{지하철|서울|7}}
| |
− |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온수<small>(성공회대입구)</small> <small><small>(1호선)</small></small>
| |
− |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온수<small>(성공회대입구)</small> <small><small>(7호선)</small></small> →
| |
− | |이전역명 = [[오류동역|오류동]]
| |
− | |이전역명2 = [[천왕역|천왕]]
| |
− | |다음역명 = [[역곡(가톨릭대)역|역곡<small>(가톨릭대)</small>]]
| |
− | |다음역명2 = [[까치울역|까치울]]
| |
− | |로마자 역명 = Onsu<small>(Sungkonghoe Univ.)</small>
| |
− | |한자 역명 = 溫水<small>(聖公會大入口)</small>
| |
− | |소재지 = {{태극기}} [[서울특별시]] [[구로구]]
| |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철도회사|서울교통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 |
− | |개역일 = [[1988년]] [[1월 16일]]
| |
− | |역 번호 = 145 (1호선)<br>750 (7호선)
| |
− | |승강장 구조 = 2복선 쌍섬식 승강장 (1호선)<br>2면 3선 쌍섬식 승강장 (7호선)
| |
− | |일 평균 승차 =
| |
− | }}
| |
− | {{대사|따뜻한 물이 나오는 역}}
| |
− | | |
− | '''온수<small>(성공회대입구)</small>역'''(Onsu<small>(Sungkonghoe Univ.)</small>Station, {{llang|ko-Hani|溫水<small>(聖公會大入口)</small>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전철역이다.
| |
− | | |
− | == 역명 ==
| |
− | 온수역의 온수는 흔히 생각한 따뜻한 물이란 뜻의 온수(溫水)가 맞다. 이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땅에서 따뜻한 물이 솟아 나와서 붙여진 이름이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세종대왕]]이 이곳에 온천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신하를 보내서 온천을 찾을 것을 명했는데 이곳의 백성들이 온수의 수맥을 흙과 돌로 막아버리고 숨겼다고 한다. 이 사건을 듣고 화가 난 세종은 부평도호부를 부평현으로 강등시켰다고 한다.
| |
− | | |
− | == 특징 ==
| |
− | === 서울의 끝 ===
| |
− | 온수역은 서울의 서쪽 경계 끄트머리에 위치한다. 온수역에서 서쪽으로 300m만 더 가면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경기도]] [[부천시]]와의 경계가 있다. 2012년에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기 전까지 온수역은 7호선의 종착역 기능을 했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만나는 중요한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변두리인 온수역 역세권의 발달은 미약하다. 온수역 역세권은 실질적으로 부천의 [[역곡(가톨릭대)역]] 역세권에 종속되어 있다.
| |
− | | |
− | === 급행 미정차 ===
| |
− |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만난 극히 중요한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1호선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온수역은 1988년에 뒤늦게 경인선에 추가된 역으로서 역 이용객 수가 이전 역인 [[역곡(가톨릭대)역]]에 비해서 극히 적었고, 급행이 도입될 당시에는 7호선과의 환승역도 아니었기 때문에 급행열차를 통과시킨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 |
− | | |
− | 그러나 2000년 2월에 온수역이 7호선과의 환승역이 되면서 급행열차 정차 문제가 뜨거워졌다. 환승 편의를 위해서는 온수역 급행 정차가 꼭 필요한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수역과 역곡역 모두에 급행열차가 정차하면 극심한 급행 쏠림 현상이 벌어질 것이며, 이는 열차의 정시성 문제와 안전 문제로 이어지므로 온수역 급행 정차 계획은 백지화된 상태다.
| |
− | | |
− | 역곡역에 급행을 미정차 시키고 온수역에만 급행을 넣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 방안은 역곡역의 높은 탑승 수요를 포기해야 하므로 이득보다 손해가 더 크다. 실제로 이런 계획을 추진했다가는 역곡역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감당하지 못할 수준으로 올라올 것이므로 사실상 불가능한 방안이다.
| |
− | | |
− | === 인근 대학교 ===
| |
− | 온수역의 부역명은 '''성공회대입구'''이다. 온수역 2번 출구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성공회대학교]]와 [[유한대학교]]가 있다.
| |
− | |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 | | |
− | [[분류:구로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