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File:EscherichiaColi NIAID.jpg|300픽셀|섬네일|[[대장균]](''E. Coli'').]] | + | [[파일:대장균.jpg|300픽셀|섬네일|[[대장균]](''E. Coli'').]] |
− | '''세균'''({{llang|ko-Hani|細菌}}), 또는 '''박테리아'''({{llang|en|bacteria}})은 아주 작은 [[생물체]]이다. 대부분의 세균은 매우 작아서 [[현미경]]을 사용해야 보인다. 세균은 하나의 [[세포]]만으로 이루어진 '''[[단세포생물]]'''이다. 세균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것 중에서 가장 간단한 단세포생물 중 하나이며, 최초의 생명체의 형태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균에는 극한적인 곳에서 살아가는 [[극한성생물]]도 여럿 포함된다.
| |
| | | |
− | 세균은 지구상의 그 어떤 생물종보다도 그 수가 많다. 대부분의 세균은 [[땅]]이나 [[물]]속에 살지만, 사람의 피부에도 있을 정도로 다양한 환경과 지역에서 살고 있다. 사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수보다 10배 정도 많은 수의 세균이 우리 몸 구석구석에 살고 있다. 어떤 세균들은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유산균]]처럼 우리 몸에 좋은 일을 하는 세균들도 많다. 유산균은 우리 몸의 [[장]]에 위치하며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고마운 세균이다.
| + | 브루스 어빈. |
| | | |
− | 세균은 하나의 세포가 반으로 갈라져 두 개의 "딸세포"를 만드는 방법으로 [[생식]]한다. 각각의 딸세포는 원래의 세포와 같은 모양이지만, 크기는 반으로 줄어든다.
| + | 브루스 어빈. |
− | | |
− | 세균은 짝짓기를 하지는 않지만, 가끔씩 두 세균끼리 자기가 가지고 있는 [[DNA]]를 서로 수평적으로 교환하기도 한다. 이 때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게 하는 유전자를 교환하기도 하는데, 이게 바로 요즘 말하는 슈퍼박테리아(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는 세균)의 출현과도 관련이 있다.
| |
− | | |
− | 세균의 크기와 모양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보다는 10배 이상 크다. 일반적인 세균의 지름는 1μm([[마이크로미터]]라 읽는다.) 정도이다. 따라서 1,000개의 세균을 일렬로 세워야 겨우 1mm의 길이가 된다. 지구상에는 5×10<sup>30</sup>개의 세균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
− | | |
− | 세균은 모양에 따라 분류가 된다. 긴 막대 모양의 세균은 '''간균''', 둥근 공 모양의 균은 '''구균''', 나선 모양의 균은 '''나선균''' 등으로 분류한다.
| |
− | | |
− | 인체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을 '''병원성 세균''', 줄여서는 '''병균'''이라고 한다. 병균은 [[공기]]나 물, [[음식]] 등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온다. 병균들은 [[호흡계통]]이나 [[소화계통]], 또는 상처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한다. 이후 병균은 체내에 존재하는 [[영양분]]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번식하고 퍼져나간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18번째 줄: |
9번째 줄: |
| * [[리켓치아]]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정도) | | * [[리켓치아]]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정도) |
| * [[바이러스]] (세균보다 훨씬 작은 단백질+핵산 결정) | | * [[바이러스]] (세균보다 훨씬 작은 단백질+핵산 결정) |
− | * [[고세균]] (원시 형태의 세균) | + | * [[고균]] (원시 형태의 세균) |
| | | |
| {{미생물}} | | {{미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