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섬네일|300px|프록시마 켄타우리 '''프록시마 켄타우리'''({{llang|en|Proxima Centauri}})는 지구에서 약 4.24광년 ...)
 
잔글 (재검색 결과 역시 Kentaurus와 Centaurus는 구분되더군요)
1번째 줄: 1번째 줄:
[[File:Proxima Centauri 2MASS Atlas.jpg|섬네일|300px|프록시마 켄타우리]]
+
[[File:Proxima Centauri 2MASS Atlas.jpg|섬네일|300px|프록시마 센타우리]]
  
'''프록시마 켄타우리'''({{llang|en|Proxima Centauri}})는 [[지구]]에서 약 4.24광년 정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까운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이 약 11등급이므로 맨눈으로 보는건 불가능하며 프록시마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알파 켄타우리]]에서 보아도 5등급 정도이다.<ref>알파 켄타우리와 프록시마 켄타우리의 거리는 약 0.21광년 정도이다.</ref>
+
'''프록시마 센타우리'''({{llang|en|Proxima Centauri}})는 [[지구]]에서 약 4.24광년 정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까운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이 약 11등급이므로 맨눈으로 보는건 불가능하며 프록시마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알파 센타우리]]에서 보아도 5등급 정도이다.<ref>알파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거리는 약 0.21광년 정도이다.</ref>
  
 
행성이 존재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ref>허블 우주 망원경 광학 분광기에 의하면 0.5AU 이내에 동반천체의 증거를 잡았다고 했으나 허블 광대역 행성형 카메라 2에 의하면 어떤 동반천체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del>모순</del></ref> 앞으로 9천년 동안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며 그 후로는 [[바너드 별]]이 가장 가까운 별이 된다.
 
행성이 존재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ref>허블 우주 망원경 광학 분광기에 의하면 0.5AU 이내에 동반천체의 증거를 잡았다고 했으나 허블 광대역 행성형 카메라 2에 의하면 어떤 동반천체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del>모순</del></ref> 앞으로 9천년 동안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며 그 후로는 [[바너드 별]]이 가장 가까운 별이 된다.

2013년 10월 16일 (수) 22:32 판

프록시마 센타우리

프록시마 센타우리(영어: Proxima Centauri)는 지구에서 약 4.24광년 정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까운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이 약 11등급이므로 맨눈으로 보는건 불가능하며 프록시마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알파 센타우리에서 보아도 5등급 정도이다.[1]

행성이 존재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2] 앞으로 9천년 동안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며 그 후로는 바너드 별이 가장 가까운 별이 된다.


  1. ^ 알파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거리는 약 0.21광년 정도이다.
  2. ^ 허블 우주 망원경 광학 분광기에 의하면 0.5AU 이내에 동반천체의 증거를 잡았다고 했으나 허블 광대역 행성형 카메라 2에 의하면 어떤 동반천체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