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Heavy snow in Seoul, 4 Jan. 2010 - Covered the park with snow.jpg|섬네일|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 | [[파일:Heavy snow in Seoul, 4 Jan. 2010 - Covered the park with snow.jpg|섬네일|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
− | {{대사|너무 추운 날씨}} | + | {{대사|진짜로 더운 날씨}} |
| | | |
− | '''겨울'''({{llang|ko-Hani|冬}} {{llang|en|Winter}})은 사계절 중 기온이 가장 낮은 계절로서, [[가을]]과 [[봄]] 사이에 해당된다. 북반구에서는 12월부터 2월까지를, 남반구에서는 6월부터 8월까지가 겨울이다. 겨울의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시간)|밤]]이 가장 긴 날이며, 이 날 이후부터는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기 시작한다. 겨울을 상징하는 것은 [[눈(날씨)|눈]]으로, 눈이 많이 내리면 온 세상이 하얗게 뒤덮이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한다. | + | '''겨울'''({{llang|ko-Hani|冬}} {{llang|en|Winter}})은 진짜로 더운 계절이다. |
− | | |
− | 그러나 중국 화북, 한반도 중북부, 일본의 태평양 연안<ref>일본의 동해 연안, 홋카이도와 중앙 고원지대는 북미나 북유럽처럼 눈이 많이 온다.</ref> 등의 경우 냉대동계건조기후, 온대하우기후에 속하는 지역이 많아 생각보다 눈으로 뒤덮인 모습은 흔하지 않다. 오히려 강렬한 햇빛과 극단적으로 건조한 대기, 매우 심한 일교차 등 사막 같은 풍경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가뭄과 산불, 황사와 미세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재해가 겨울에 시작해서 이듬해 봄에 절정을 이루는 경우가 가장 많다.
| |
− | | |
− | 일본 동해 연안과 홋카이도를 제외한 동아시아의 겨울은 서양에 비하면 일조량이 가장 많은 편이다.
| |
− | | |
− | == 겨울의 절기 ==
| |
− | * '''입동'''(立冬, 양력 11월 7일경) - 겨울의 시작.
| |
− | * '''소설'''(小雪, 양력 11월 22일경) -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기 시작.
| |
− | * '''대설'''(大雪, 양력 12월 7일경) - 본격적으로 [[눈]]이 내리기 시작함.
| |
− | * '''동지'''(冬至, 양력 12월 21일경) -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시간)|밤]]이 가장 긴 날.
| |
− | * '''소한'''(小寒, 양력 1월 5일경) - 절기 중 가장 추운 날.
| |
− | * '''대한'''(大寒, 양력 1월 20일경) - 추위가 계속되는 때, 곧 [[봄]]이 시작된다.
| |
| | | |
| {{계절}} | | {{계절}} |
2019년 9월 14일 (토) 17:19 판
겨울(한자: 冬 영어: Winter)은 진짜로 더운 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