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는 2014년 2월 17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군코오롱 그룹의 리조트 시설...)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는 [[2014년]] [[2월 17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군]]의 [[코오롱 그룹]]의 리조트 시설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 사고이다. 사고가 발생한 건물은 2층 크기의 조립식 건물이다.
+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는 [[2014년]] [[2월 17일]][[경주시]] [[양남군]]에 있던 리조트 시설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 사고이다.  
  
오후 9시 15분경 60cm 이상 쌓여있던 눈으로 인해 [[지붕]]이 붕괴되었는데, 사고 당시 [[부산외대]] 학생 등 약 550명이 신입생 환영 인사를 하고 있었다. 붕괴되었던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피에 성공했지만, 백수십여명이 부상당하거나 사망하는 등의 참사가 일어났다. 10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당했으며, 101명이 경상을 당하는 등 큰 인명피해가 일어났다.
+
== 사고 경위 ==
 +
2월 17일 오후 9시경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는 소식이 속보로 전해졌다. 해당 리조트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OT를 진행하고 있었고, [[강당]](체육관)에서 565명의 신입생들이 신입생 환영회를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3139911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강당 붕괴…대학생 50~60명 매몰]</ref> 사고 당시 해당 지역에는 60cm 이상의 폭설이 있었고, 붕괴 원인도 이렇게 내린 눈이 지붕에 적설되면서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고 후 현장 조사를 통해 부실공사 문제와 완공 이후 안전 점검이 없었다는 것이 드러나 안전불감증 논란이 다시 한번 제기되었다.
+
건물이 붕괴되면서 강당 내에 있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피에 성공했으나 학생 100여명을 비롯한 인원들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고 매몰되었다. 이후 구조작업이 이뤄졌으나, 인명피해를 막진 못했다. 또한 사고 후 현장 조사를 통해 부실공사 문제와 완공 이후 안전 점검이 없었다는 것이 드러나 안전불감증 논란이 다시 한번 제기되었다.
 +
 
 +
== 피해 규모 ==
 +
총 10명이 사망하고 204명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10명중 9명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재학생 또는 신입생이었으며, 1명은 신입생 환영회에서 사회자를 맡은 이벤트 직원이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79&aid=0002564482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 사망자 명단]</ref>
 +
 
 +
== 기타 ==
 +
* 사고 발생 이후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는 매년 [[2월 17일]]에 추모식을 진행하고 있다.
 +
 
 +
== 주석 ==
 +
<references/>
  
{{번역된 문서|ja|慶州マウナオーシャンリゾート体育館崩壊事故}}
 
 
[[분류:대한민국의 사건]]
 
[[분류:대한민국의 사건]]

2020년 6월 29일 (월) 00:08 기준 최신판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2014년 2월 17일경주시 양남군에 있던 리조트 시설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 사고이다.

사고 경위[편집]

2월 17일 오후 9시경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는 소식이 속보로 전해졌다. 해당 리조트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OT를 진행하고 있었고, 강당(체육관)에서 565명의 신입생들이 신입생 환영회를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1] 사고 당시 해당 지역에는 60cm 이상의 폭설이 있었고, 붕괴 원인도 이렇게 내린 눈이 지붕에 적설되면서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물이 붕괴되면서 강당 내에 있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피에 성공했으나 학생 100여명을 비롯한 인원들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고 매몰되었다. 이후 구조작업이 이뤄졌으나, 인명피해를 막진 못했다. 또한 사고 후 현장 조사를 통해 부실공사 문제와 완공 이후 안전 점검이 없었다는 것이 드러나 안전불감증 논란이 다시 한번 제기되었다.

피해 규모[편집]

총 10명이 사망하고 204명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10명중 9명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재학생 또는 신입생이었으며, 1명은 신입생 환영회에서 사회자를 맡은 이벤트 직원이었다.[2]

기타[편집]

  • 사고 발생 이후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는 매년 2월 17일에 추모식을 진행하고 있다.

주석[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