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눗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나눗셈'''은 곱셈의 역연산으로, 수학적으로는 나눗수<ref>'''제수'''의 우리말 표현이다. '''나눔수'''라고도 한다.</ref>의 역수를 ...)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나눗셈'''은 [[곱셈]]의 역연산으로, [[수학]]적으로는 나눗수<ref>'''제수'''의 우리말 표현이다. '''나눔수'''라고도 한다.</ref>의 [[역수]]를 곱하는 것과 같다. 나눗셈을 위한 기호로는 '''÷'''과 '''/'''이 있는데, 읽을 때에는 '''나누기'''라고 읽는다. 나누기는 또한 다음과같이 [[분수]]꼴로 표현될 수 있다. 단, 아래 식에서 <math>b</math>는 [[0]]이 아니다.
+
'''나눗셈'''({{llang|en|division}})은 [[곱셈]]의 역연산으로, [[수학]]적으로는 나눗수<ref>'''제수'''의 우리말 표현이다. '''나눔수'''라고도 한다.</ref>의 [[역수]]를 곱하는 것과 같다. 나눗셈을 위한 기호로는 '''÷'''과 '''/'''이 있는데, 읽을 때에는 '''나누기'''라고 읽는다. 나누기는 또한 다음과같이 [[분수]]꼴로 표현될 수 있다. 단, 아래 식에서 <math>b</math>는 [[0]]이 아니다.
 
:<math> a \div b = a / b = \frac{a}{b} </math>
 
:<math> a \div b = a / b = \frac{a}{b} </math>
 
위 식처럼 <math>a</math>를 <math>b</math>로 나누는 것을 "a와 b의 [[비(수학)|비]]를 구한다"또는 "b에 대한 a의 비를 구한다"고도 한다.
 
위 식처럼 <math>a</math>를 <math>b</math>로 나누는 것을 "a와 b의 [[비(수학)|비]]를 구한다"또는 "b에 대한 a의 비를 구한다"고도 한다.

2020년 10월 10일 (토) 23:00 기준 최신판

나눗셈(영어: division)은 곱셈의 역연산으로, 수학적으로는 나눗수[1]역수를 곱하는 것과 같다. 나눗셈을 위한 기호로는 ÷/이 있는데, 읽을 때에는 나누기라고 읽는다. 나누기는 또한 다음과같이 분수꼴로 표현될 수 있다. 단, 아래 식에서 [math]b[/math]0이 아니다.

[math] a \div b = a / b = \frac{a}{b} [/math]

위 식처럼 [math]a[/math][math]b[/math]로 나누는 것을 "a와 b의 를 구한다"또는 "b에 대한 a의 비를 구한다"고도 한다.

예시[편집]

  • 20개의 과자4명의 사람에게 나누어 주면 한 명당 [math]20 \div 4 = 5[/math]개의 과자를 받게 된다.
  • 500개의 사과20개의 상자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려면 한 상자에 [math]500 \div 20 = 25[/math]개의 사과를 넣으면 된다.

0으로 나누기[편집]

나눗수 [math]b[/math]0이 될 수 없다. 이것은 수학에서 금지된 사항으로, 어떤 경우에도 허용되지 않는다. 더 많은 내용은 0 문서를 참조.

성질[편집]

0이 아닌 복소수 a, b,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math]a \div b = a \times \frac{1}{b} [/math] (나눔수의 역수를 곱하는 것과 같다.)
  • [math]a \div b \div c = \frac{a}{b} \div c = \frac{a}{bc} [/math] (나눗셈은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한다.)
  • [math] \left( a + b \right) \div c = \frac{a + b}{c} = \frac{a}{c} + \frac{b}{c} = a \div c + b \div c[/math] (분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이런 전개도 가능하다.)

같이 보기[편집]

주석[편집]

  1. ^ 제수의 우리말 표현이다. 나눔수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