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일 평균 승차 = | | |일 평균 승차 = |
| }} | | }} |
− | {{대사|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만나는 역}}
| |
− |
| |
− | '''부천종합운동장<small>(부천우리병원)</small>역'''(Bucheon Stadium<small>(Bucheon Woori Hospital)</small>Station, 富川綜合運動場<small>(富川宇理病院)</small>驛)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과 오정구 여월동에 걸쳐 있는 [[서울 도시철도 7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 |
− |
| |
− | == 역사와 미래 ==
| |
− | [[2011년]] [[6월 30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온수(성공회대입구)역]]~[[부평구청역]] 구간 연장 개통에 따라 개역했다. 2023년 7월 1일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김포공항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부천종합운동장역은 7호선과 서해선의 환승역이 됐다. 앞으로의 발전이 더욱 기대된 곳으로, [[GTX]] 노선 중에서 [[GTX-B]], [[GTX-D]], [[GTX-F]] 노선이 부천종합운동장에 정차할 예정이다. 예정대로 모든 GTX가 개통하게 되면,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총 5개의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 |
− |
| |
− | == 특징 ==
| |
− |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환승통로.jpg|300픽셀|섬네일|부천종합운동장역의 환승통로에는 계단 없이 에스컬레이터만 설치되어 있다.]]
| |
− |
| |
− | 7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서해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으며 두 역은 T자 모양으로 교차하고 있다. 언뜻 들으면 3층만 오르내리면 환승이 가능할 것 같으나, 생각보다 서해선 승강장이 깊은 곳에 있어서 환승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참 오르내려야 환승이 가능하다. 환승 통로는 길이가 긴 만큼 계단 없이 에스컬레이터만 3줄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행 2줄, 하행 1줄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서해선 승강장의 폭이 아주 좁다는 문제가 있다. 서해선보다 10년이나 먼저 지어진 7호선 승강장의 경우, 섬식 승강장임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승강장에 여유가 있다. 그러나 서해선은 확장이 용이한 [[상대식 승강장]]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 연결통로가 있는 곳은 성인 남성 2명이 겨우 비켜갈 정도로 좁아터졌다.
| |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 |
| |
− | [[분류:부천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