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2000px-Scheme female reproductive system-en.svg.png|300픽셀|섬네일|인간 여성의 생식기관]] | ||
+ | |||
'''자궁'''({{llang|en|uterus}}) 또는 '''아기집'''은 [[포유동물]]의 암컷 [[생식기관]]으로서, [[성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관이다. 자궁의 한쪽 끝인 [[자궁경부]]는 [[질]]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궁의 다른 쪽 끝은 두 개의 [[수란관]]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임신]]시 [[태아]]가 발달하는 장소이다. 단, [[캥거루]]나 [[오포섬]] 같은 [[유대류]]는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의 태아가 자궁에서 나와 [[육아주머니]]로 이동한 뒤 이곳에서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발생 과정에서는 두 개의 자궁이 만들어지는데 이들은 이후 종에 따라 하나의 자궁으로 완전히 융합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만 융합하기도 하며 두 개의 자궁을 가진 채 그대로 태어나기도 한다. 사람과 [[침팬지]] 등의 고등 [[영장류]], [[말]] 등은 완전히 융합된 하나의 자궁을 가진다. 두 개의 자궁을 가진 동물에서는 대개 한 쪽 자궁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자궁'''({{llang|en|uterus}}) 또는 '''아기집'''은 [[포유동물]]의 암컷 [[생식기관]]으로서, [[성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관이다. 자궁의 한쪽 끝인 [[자궁경부]]는 [[질]]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궁의 다른 쪽 끝은 두 개의 [[수란관]]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임신]]시 [[태아]]가 발달하는 장소이다. 단, [[캥거루]]나 [[오포섬]] 같은 [[유대류]]는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의 태아가 자궁에서 나와 [[육아주머니]]로 이동한 뒤 이곳에서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발생 과정에서는 두 개의 자궁이 만들어지는데 이들은 이후 종에 따라 하나의 자궁으로 완전히 융합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만 융합하기도 하며 두 개의 자궁을 가진 채 그대로 태어나기도 한다. 사람과 [[침팬지]] 등의 고등 [[영장류]], [[말]] 등은 완전히 융합된 하나의 자궁을 가진다. 두 개의 자궁을 가진 동물에서는 대개 한 쪽 자궁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
2014년 4월 2일 (수) 01:03 판
자궁(영어: uterus) 또는 아기집은 포유동물의 암컷 생식기관으로서, 성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관이다. 자궁의 한쪽 끝인 자궁경부는 질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궁의 다른 쪽 끝은 두 개의 수란관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임신시 태아가 발달하는 장소이다. 단, 캥거루나 오포섬 같은 유대류는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의 태아가 자궁에서 나와 육아주머니로 이동한 뒤 이곳에서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발생 과정에서는 두 개의 자궁이 만들어지는데 이들은 이후 종에 따라 하나의 자궁으로 완전히 융합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만 융합하기도 하며 두 개의 자궁을 가진 채 그대로 태어나기도 한다. 사람과 침팬지 등의 고등 영장류, 말 등은 완전히 융합된 하나의 자궁을 가진다. 두 개의 자궁을 가진 동물에서는 대개 한 쪽 자궁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새나 파충류 등 알을 낳는 동물들은 자궁 대신 난관만을 가진다. 오리너구리등 알을 낳는 포유류(단공류)는 자궁 비슷한 부분이 있으나 태아에 대한 영양소 공급 등의 자궁의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