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 |
한글 표기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영문 표기 | Incheon Airport Maglev Line |
한자 표기 | 仁川空港 磁氣浮上鐵道 |
소재국 | ![]() |
소유 | 인천광역시 |
위탁 운영 | ![]() |
기점 | 인천국제공항 |
종점 | 용유 |
운행 계통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궤간 | 1,850mm |
선로 | 2 |
열차 편성 | 2량 1편성 |
영업 거리 | 6.1km |
소요 시간 | 15분 |
표정 속도 | 41km/h |
배차 간격 | 15분 |
개통일 | 2016년 2월 3일 |
“ |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자기부상철도 |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자기부상철도 노선이다. 원래 2013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안전 문제가 발견되면서 수 차례 개통이 연기된 끝에 2016년 2월 3일 개통하였다. 인천국제공항역과 용유역 사이를 잇는다. 국내 최초의 실용 목적의 자기부상철도 노선으로서, 시범사업인 만큼 무료로 일반에 개방하고 있다. 앞으로 수요가 늘어나면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유로로 전환할 수도 있다고 한다.[1] 노선 총 길이는 6.1km이며 6개의 역을 포함한다. 설계 최고속도는 110km/h이며, 열차는 선로에서 8mm 떠 있는 상태에서 운행된다. 선로와의 마찰이 전혀 없으니 승차감은 당연히 좋으며 소음도 적다(65dB 이하). 또한, 선로와 바퀴의 마모가 거의 없어 유지관리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 상하이 자기부상철도와 일본의 나고야 자기부상철도인 리니모(2005년 개통)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개통되는 상용 자기부상철도 노선이다.
9.7km 길이의 2단계 노선과 37.4km 길이의 3단계 노선이 계획되어 있다. 3단계까지 완전 개통하게 되면 영종도를 한 바퀴 도는 순환선 형태가 된다.
2012년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에 대한 명칭 공모전을 열었는데, 이 공모전에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그대로 최우수작으로 선정되면서 이럴 거면 공모전 왜 했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공모전 최우수작을 낸 사람은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까지 수여되면서 예산 낭비 논란도 빚어졌다.
노선표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
M01 | 인천국제공항 | - | 0.0 | ![]() |
인천국제공항 | ![]() ![]() |
M02 | 장기주차장 | 0.5 | 0.5 | 공항 주차장 | ||
M03 | 합동청사 | 0.5 | 1.0 | 그랜드하얏트 인천, 에어조이 쇼핑몰, 정부합동청사 |
||
M04 | 국제업무단지 | 0.4 | 1.4 | 베스트웨스트프리미어 인천에어포트호텔 |
||
M05 | 워터파크 | 3.5 | 4.9 | 경정훈련원 | ||
M06 | 용유 | 1.2 | 6.1 | 용유차량기지, 용유동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3일 개통…무료로 운행한다 연합뉴스, 2016년 2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