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철도 노선
 
|노선 = 경의선
 
|노선 = 경의선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배경색 = #0066B3
 
|그림 = [[파일:도라산역.jpg|300픽셀]]<br>경의선의 종착역인 [[도라산역]]<br>[[파일:경의선2.jpg|300픽셀]]
 
|그림 = [[파일:도라산역.jpg|300픽셀]]<br>경의선의 종착역인 [[도라산역]]<br>[[파일:경의선2.jpg|300픽셀]]
 
|한글 표기 = 경의선
 
|한글 표기 = 경의선
14번째 줄: 14번째 줄:
 
|운행 계통 =
 
|운행 계통 =
 
|궤간 = 1,435㎜ (표준궤)
 
|궤간 = 1,435㎜ (표준궤)
|선로 = 4 (DMC-능곡) <br> 2 (서울-DMC, 능곡-문산) <br> 1 (문산-도라산)
+
|선로 = 4 (가좌-능곡) <br> 2 (서울-가좌, 능곡-문산) <br> 1 (문산-도라산)
 
|열차 편성 =  
 
|열차 편성 =  
|영업 거리 = 56.0km
+
|영업 거리 = 56.1km
|소요 시간 =  
+
|소요 시간 = 1시간 34분 (서울→도라산, DMZ-train)
|표정 속도 =  
+
|표정 속도 = 36km/h (〃)
|배차 간격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편 운행 (〃)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폐선일 =
 
|폐선일 =
28번째 줄: 28번째 줄:
 
'''경의선'''({{llang|ko-Hani|京義線}})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노선 중의 하나이다. 1905년 개통 당시 경의선은 [[서울]]에서 시작하여, 현재 [[북한]] 지역인 [[평양]]을 거쳐 [[신의주]]까지 잇는 노선이었다. 서울에서 경의선은 경부선과 연결되어 한반도의 동남쪽 끝인 [[부산]]까지 이르며, 신의주에서는 [[남만주 철도]]와 연결되어 [[아시아]] 및 [[유럽]]의 철도 노선과 연결된다. <del>남북으로 분단된 지금은 [[꿈]]같은 일이지만...</del>
 
'''경의선'''({{llang|ko-Hani|京義線}})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노선 중의 하나이다. 1905년 개통 당시 경의선은 [[서울]]에서 시작하여, 현재 [[북한]] 지역인 [[평양]]을 거쳐 [[신의주]]까지 잇는 노선이었다. 서울에서 경의선은 경부선과 연결되어 한반도의 동남쪽 끝인 [[부산]]까지 이르며, 신의주에서는 [[남만주 철도]]와 연결되어 [[아시아]] 및 [[유럽]]의 철도 노선과 연결된다. <del>남북으로 분단된 지금은 [[꿈]]같은 일이지만...</del>
  
2021년, 경의선의 종점인 [[도라산역]]까지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철이 경의선 전 구간을 커버하고 있다. 오늘날 경의선에서 운행하는 여객 열차는 광역전철을 제외하면 [[행신역]] 착발 KTX가 유일하다.  
+
2014년부터 관광열차인 [[DMZ-train]]이 서울-도라산 노선으로 하루 1왕복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37번째 줄: 37번째 줄:
 
=== 분단 이후 ===
 
=== 분단 이후 ===
 
1945년, 한국이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된 이후, 경의선의 철도 운영도 [[개성]]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게 되었다(당시에는 개성이 남한 영토였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되자 [[휴전선]]은 [[문산]]과 [[개성]]의 중간에 놓이게 되었다. 북한에서는 평양과 개성을 잇는 구간을 '''평부선'''('''평'''양-'''부'''산), 평양과 신의주를 잇는 구간을 '''평의선'''('''평'''양-신'''의'''주)로 명칭을 바꾸었다. 현재 북한의 평부선과 평의선은 100% 전철화 되었으나 평양과 [[순안국제공항]]을 잇는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은 여전히 단선으로 남아 있다.
 
1945년, 한국이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된 이후, 경의선의 철도 운영도 [[개성]]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게 되었다(당시에는 개성이 남한 영토였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되자 [[휴전선]]은 [[문산]]과 [[개성]]의 중간에 놓이게 되었다. 북한에서는 평양과 개성을 잇는 구간을 '''평부선'''('''평'''양-'''부'''산), 평양과 신의주를 잇는 구간을 '''평의선'''('''평'''양-신'''의'''주)로 명칭을 바꾸었다. 현재 북한의 평부선과 평의선은 100% 전철화 되었으나 평양과 [[순안국제공항]]을 잇는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은 여전히 단선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그 이후로 남한에서는 비둘기호만 다니다가 노후화로 cdc동차로 바뀌었다.
 
  
 
2000년에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경의선의 재연결에 대한 논의도 서서히 이뤄지기 시작했다. 남한에서는 [[문산]]~[[도라산]] 사이를 일반 승객이 이용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2004년 10월에는 북한에서 개성과 [[DMZ]]를 잇는 노선을 완공시켰다. 마침내 [[2006년]] [[5월 25일]], 모든 철도가 완공되어 경의선과 [[동해북부선]]에서 철도가 남한과 북한의 경계를 넘는 역사적인 사건이 일어....날 뻔 했으나 행사 하루 전날, 북한 측의 일방적인 행사 취소로 모든 일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2007년 4월 22일, 평양에서의 회담 결과 남북한은 이 프로젝트를 재실행하는데 합의했으며, 마침내 [[2007년]] [[5월 17일]], 남한의 [[문산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북한의 [[개성역]]에 도착하게 되었다.
 
2000년에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경의선의 재연결에 대한 논의도 서서히 이뤄지기 시작했다. 남한에서는 [[문산]]~[[도라산]] 사이를 일반 승객이 이용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2004년 10월에는 북한에서 개성과 [[DMZ]]를 잇는 노선을 완공시켰다. 마침내 [[2006년]] [[5월 25일]], 모든 철도가 완공되어 경의선과 [[동해북부선]]에서 철도가 남한과 북한의 경계를 넘는 역사적인 사건이 일어....날 뻔 했으나 행사 하루 전날, 북한 측의 일방적인 행사 취소로 모든 일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2007년 4월 22일, 평양에서의 회담 결과 남북한은 이 프로젝트를 재실행하는데 합의했으며, 마침내 [[2007년]] [[5월 17일]], 남한의 [[문산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북한의 [[개성역]]에 도착하게 되었다.
  
 
=== 업그레이드 ===
 
=== 업그레이드 ===
서울과 문산을 잇는 노선은 전철화 및 직선화하는 사업이 1999년 11월 시작하여, 2009년 7월 1일에 서울역과 문산역을 잇는 구간이 개통되며 cdc 운행구간은 [[문산역]]~[[도라산역]] 구간으로 단축되었고 2012년 12월 15일 [[가좌역]]~[[공덕역]]까지 연장개통 되었다. 경의선 광역전철은 2014년 12월 17일에 [[공덕역]]부터 서울 도심에 해당하는 [[용산역]]을 잇는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의 [[중앙선]] 광역전철과 직결운행하고 있다([[경의중앙선]] 문서 참고). 이 과정에서 철도가 철거된 지역은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서울과 문산을 잇는 노선은 전철화 및 직선화하는 사업이 1999년 11월 시작하여, 2009년 7월 1일에 DMC와 문산을 잇는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2년 12월 15일 DMC~[[공덕역]]까지 연장개통 되었다. 경의선 광역전철은 2014년 12월 17일에 [[공덕역]]부터 서울 도심에 해당하는 [[용산역]]을 잇는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의 [[중앙선]] 광역전철과 직결운행하고 있다([[경의중앙선]] 문서 참고). 이 과정에서 철도가 철거된 지역은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노선표 ==
 
== 노선표 ==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전철만 정차하는 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광역전철 노선표는 [[경의중앙선]] 문서 참고 바람.
+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철도만 정차하는 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도시철도 노선표는 [[경의중앙선]] 문서 참고바람.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0066B3; height: 2pt"
 
| colspan = "7" |
 
| colspan = "7" |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경의중앙}}; height: 2pt"
 +
| colspan = "5" | 여기서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black">경의중앙선</span>]]''' 구간입니다.
 +
| rowspan="2"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서울특별시]]
 +
| rowspan="2" ; style = "background:ghostwhite; height: 2pt"| [[용산구]]
 
|-
 
|-
 
![[서울역|서울]]
 
![[서울역|서울]]
 
|0.0
 
|0.0
 
|0.0
 
|0.0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D}}
 
|{{철도 링크|경부선}}
 
|{{철도 링크|경부선}}
| [[서울특별시]]
 
| [[용산구]]
 
 
|-
 
|-
 
![[행신역|행신]]
 
![[행신역|행신]]
69번째 줄: 69번째 줄: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KTX}}
 
|
 
|
| [[경기도]]
+
| rowspan="6" | [[경기도]]
 
| [[고양시]]
 
| [[고양시]]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문산역|문산]]
 +
|31.4
 +
|46.3
 +
|{{철도 링크|D}}
 +
|{{철도 링크|중앙선}}
 +
| rowspan="5" | [[파주시]]
 +
|- style = "background:#{{수도권 광역철도 색상|경의중앙}}; height: 2pt"
 +
| colspan = "5" | 여기까지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span style="color:black">경의중앙선</span>]]''' 구간입니다.
 +
|-
 +
![[운천역|운천]]
 +
|3.7
 +
|50.0
 +
|{{철도 링크|D}}
 +
|
 +
|-
 +
![[임진강역|임진강]]
 +
|2.3
 +
|52.3
 +
|{{철도 링크|D}}
 +
|
 +
|-
 +
![[도라산역|도라산]]
 +
|3.8
 +
|56.1
 +
|{{철도 링크|D}}
 +
|
 +
|-
 +
|- style = "background:#0066B3; height: 2pt"
 
| colspan = "7" |
 
| colspan = "7" |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