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당류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다당류는 종종 한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구성되기도 한다. 다당류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의 종류에 따라 특수한 성질을 갖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어떤 다당류는 [[비결정성]]이며, 또 다른 다당류는 [[불용성|물에 녹지 않기도 한다]]. 한 종류의 단당류로만 이루어진 다당류는 '''단순다당류''', 또는 '''호모다당류'''라고 하며, 반대로 두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이루어진 다당류는 '''복합다당류''', 또는 '''헤테로다당류'''라고 한다.  
 
다당류는 종종 한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구성되기도 한다. 다당류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의 종류에 따라 특수한 성질을 갖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어떤 다당류는 [[비결정성]]이며, 또 다른 다당류는 [[불용성|물에 녹지 않기도 한다]]. 한 종류의 단당류로만 이루어진 다당류는 '''단순다당류''', 또는 '''호모다당류'''라고 하며, 반대로 두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이루어진 다당류는 '''복합다당류''', 또는 '''헤테로다당류'''라고 한다.  
  
천연 당류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CH<sub>2</sub>O)<sub>n </sub>(단, n≥2)의 화학구조식을 갖는 [[단당류]]를 일컫는 말이다. 단당류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이 있다. 반면 다당류는 C<sub>x</sub>(H<sub>2</sub>O)<sub>y</sub>의 화학구조식을 가지며, 이 때 x의 값은 200에서 2500사이로 아주 크다. 다당류는 주로 육탄당 단위체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가정하면 다당류는 (C<sub>6</sub>H<sub>10</sub>O<sub>5</sub>)<sub>n</sub> (단, 40≤n≤3000)의 화학구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천연 당류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CH<sub>2</sub>O)<sub>''n''</sub>(단, n≥2)의 화학구조식을 갖는 [[단당류]]를 일컫는 말이다. 단당류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이 있다. 반면 다당류는 C<sub>x</sub>(H<sub>2</sub>O)<sub>y</sub>의 화학구조식을 가지며, 이 때 x의 값은 200에서 2500사이로 아주 크다. 다당류는 주로 육탄당 단위체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가정하면 다당류는 (C<sub>6</sub>H<sub>10</sub>O<sub>5</sub>)<sub>n</sub>(단, 40≤n≤3000)의 화학구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당류는 적어도 10개 이상의 단당류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당류나 [[올리고당]]으로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은 없으며 여러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다당류는 중요한 [[생체고분자]]이다. 생물체에서 다당류의 기능은 생물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과 에너지 저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 포도당의 중합체인 [[전분]]은 식물에서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며, [[아밀로오스]]나 [[아밀로펙틴]]의 형태로 존재한다. 동물에서는 [[글리코겐]]이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므로 글리코겐은 종종 '''동물성 전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글리코겐은 대사 속도가 빠르므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동물의 에너지원으로 더 적합하다.  
 
다당류는 적어도 10개 이상의 단당류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당류나 [[올리고당]]으로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은 없으며 여러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다당류는 중요한 [[생체고분자]]이다. 생물체에서 다당류의 기능은 생물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과 에너지 저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 포도당의 중합체인 [[전분]]은 식물에서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며, [[아밀로오스]]나 [[아밀로펙틴]]의 형태로 존재한다. 동물에서는 [[글리코겐]]이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므로 글리코겐은 종종 '''동물성 전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글리코겐은 대사 속도가 빠르므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동물의 에너지원으로 더 적합하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