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7대 대통령선거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4번째 줄: 94번째 줄:
 
김대중은 젊은 40대 기수답게 패기 넘치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 중에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것이 많았는데, '''[[향토예비군]] 폐지''', '''공산국가와의 외교 추진''', '''남북한 사이의 비정치적 접촉 시도''', '''미국, 중국, 일본, 소련 4개국에 의한 한국의 방위 보장''' 등이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김신조 사태]], [[푸에블로호 납치사건]] 등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안보 문제를 건드리는 행동은 별로 현명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처럼 경제, 민주화, 외교, 안보 등이 이슈로 떠오르고 두 후보가 각자 이에 대한 공약을 내걸면서 제7대 대통령선거는 나름 정책선거의 모습을 갖추었다.  
 
김대중은 젊은 40대 기수답게 패기 넘치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 중에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것이 많았는데, '''[[향토예비군]] 폐지''', '''공산국가와의 외교 추진''', '''남북한 사이의 비정치적 접촉 시도''', '''미국, 중국, 일본, 소련 4개국에 의한 한국의 방위 보장''' 등이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김신조 사태]], [[푸에블로호 납치사건]] 등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안보 문제를 건드리는 행동은 별로 현명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처럼 경제, 민주화, 외교, 안보 등이 이슈로 떠오르고 두 후보가 각자 이에 대한 공약을 내걸면서 제7대 대통령선거는 나름 정책선거의 모습을 갖추었다.  
  
하지만 제7대 대통령선거는 한국정치의 병폐인 지역감정을 고착화시킨 선거로도 악명이 높다. 야당에서는 '''호남 푸대접론'''을 대대적으로 걸고 나오며 경상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씌우게 된다(경상도 정권을 타도하자!). 이는 자연스럽게 호남 출신의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만들자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이에 민주공화당도 '''신라 대통령론'''을 외치며 영남지역에서 지역감정 부추기기에 동참하였다(문디가 문디 안뽑고 뭐하노!). 선거 직전에는 민주공화당 측에서 영남 지역에 '''호남인들이여 단결하라!'''라고 적힌 전단까지 살포하는 등 지역감정 부추기기는 엽기적인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
하지만 제7대 대통령선거는 한국정치의 병폐인 지역감정을 고착화시킨 선거로도 악명이 높다. 야당에서는 '''호남 푸대접론'''을 대대적으로 걸고 나오며 경상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씌우게 된다(경상도 정권을 타도하자!). 이는 자연스럽게 호남 출신의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만들자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이에 민주공화당도 '''신라 대통령론'''을 외치며 영남지역에서 지역감정 부추기기에 동참하였다(문디가 문디 안뽑고 뭐하노!). 선거 직전에는 민주공화당 측에서 영남 지역에 '''호남인들이여 단결하라!'''라는 전단까지 살포하는 등 지역감정 부추기기는 엽기적인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 선거 결과 ==
 
== 선거 결과 ==
156번째 줄: 156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805,772
 
| style="text-align:center;"| 805,772
 
| style="text-align:center;"| 39.95%
 
| style="text-align:center;"| 39.9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1,198,018'''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1,198,01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59.3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59.39%'''
 
|-
 
|-
 
! style="text-align:center;"| [[경기도]]
 
! style="text-align:center;"| [[경기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687,985
+
| style="text-align:center;"| 687,98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48.86%
+
| style="text-align:center;"| 48.8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696,58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696,58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49.47%'''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9.47%'''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강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강원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02,72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02,72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9.8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9.84%'''
 
| style="text-align:center;"| 325,556
 
| style="text-align:center;"| 325,556
 
| style="text-align:center;"| 38.75%
 
| style="text-align:center;"| 38.75%
173번째 줄: 173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충청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충청도]]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북도]]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북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312,74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312,74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7.31%'''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7.31%'''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222,106
+
| style="text-align:center;"| 222,106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0.70%
+
| style="text-align:center;"| 40.70%
 
|-
 
|-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남도]]
 
! style="text-align:center;"| [[충청남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56,63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56,63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3.4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3.4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61,978
+
| style="text-align:center;"| 461,97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4.39%
+
| style="text-align:center;"| 44.39%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호남]]<br>(전라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호남]]<br>(전라도)
188번째 줄: 188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308,850
 
| style="text-align:center;"| 308,850
 
| style="text-align:center;"| 35.48%
 
| style="text-align:center;"| 35.48%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535,51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535,51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6ED746;"| '''61.5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61.52%'''
 
|-
 
|-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남도]]
 
! style="text-align:center;"| [[전라남도]]
199번째 줄: 199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영남]]<br>(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영남]]<br>(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385,99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385,99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5.65%'''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5.6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302,452
+
| style="text-align:center;"| 302,45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3.61%
+
| style="text-align:center;"| 43.61%
 
|-
 
|-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북도]]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북도]]
211번째 줄: 211번째 줄:
 
|-
 
|-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남도]]
 
! style="text-align:center;"| [[경상남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891,119'''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891,119'''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73.35%'''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73.35%'''
 
| style="text-align:center;"| 310,595
 
| style="text-align:center;"| 310,595
 
| style="text-align:center;"| 25.56%
 
| style="text-align:center;"| 25.56%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제주도]]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제주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78,217'''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78,217'''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52b25;"| '''56.85%'''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29592;"| '''56.85%'''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57,004
+
| style="text-align:center;"| 57,004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b6eba2"| 41.43%
+
| style="text-align:center;"| 41.43%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0"| <small>지역별 최다 득표자는 '''진한색'''으로,<br>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후보는 '''연한색'''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small>
 
 
|}
 
|}
 
</center>
 
</center>
  
[[파일:7대대선그래프.jpg|500픽셀|섬네일|center|지역별 득표수]]
+
김대중의 지역감정 전략은 탁월하게 먹혀들어가, 지난 대선에서 미세하게 야당 편을 들어주었던 [[호남]] 지역에서 대량 득표에 성공하게 된다. 이 선거를 계기로 호남지역은 야당의 표밭으로 고착화되었다. 민주공화당 측에서도 지역감정 부추기기에 동참한 것은 사실이지만, 선거결과만 놓고 보면 그 효과는 덜했다.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과 독재화를 우려하던 학생/젊은이들이 많이 있던 도시 지역([[서울]], [[부산]])에서는 야당(김대중)에 대한 득표율이 다소(8%가량) 증가하였다. 하지만 호남, 서울, 부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는 박정희의 득표율이 지난 선거보다도 더 증가하면서 판세를 결정지었다. 특히 지난 선거에서 야당(윤보선)을 밀어주던 [[충남]]지역은 여당 편으로 돌아섰는데, 이는 충남 출신의 윤보선과 전남 출신의 김대중의 차이로 분석된다.  
 
 
제7대 대선의 지역별 구도의 특징은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는 지역별 구도가 더 심화되었다는 것이고, 둘째는 도시에서는 야당(김대중) 득표율이, 시골에서는 여당(박정희) 득표율이 증가(='''여도야촌''', 與都野村)하였다는 점이다. 심화된 지역별 구도는 김대중이 주도한 지역감정 부추기기의 탓이 컸다. 여도야촌 현상은 도시 지역에는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과 독재화를 우려하던 학생과 젊은이들이 많이 있었고, 반대로 먹고 살기 급한 농촌에서는 박정희 정권의 안정적인 국정운영과 경제발전 성과에 더욱 주목하였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 '''수도권''': 여도야촌 현상에 의해 지난 대선에 비해, 도시 지역인 [[서울]]에서는 야당 득표율이 8% 증가하였고, 반대로 [[경기도]]에서는 여당 득표율이 8% 증가하였다. 결론은 퉁쳤다.
 
* '''영남''': 여도야촌 현상에 의해 지난 대선에 비해, 도시 지역인 [[부산]]에서는 야당 득표율이 13% 증가하였고, 반대로 [[경북]], [[경남]]에서는 여당 득표율이 각각 12%, 4%씩 증가하였다. [[민주공화당]] 측에서도 영남지역에서 지역감정 부추기기에 동참한 것은 사실이지만, 효과는 미비했다. 결론은 퉁쳤다.
 
* '''호남''': 김대중의 지역감정 전략은 탁월하게 먹혀들어가, 지난 대선에서 미세하게 야당 편을 들어주었던 [[호남]] 지역에서 대량 득표에 성공하게 된다. 이 선거를 계기로 호남지역은 야당의 표밭으로 고착화되었다.<del>전설의 김대중 득표율 97%를 위한 준비단계</del> 이로서 영남=여당, 호남=야당이라는 공식이 완성되었다.
 
* '''충청''': 역시 여당(박정희)의 득표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충남]] 지역이 여당 편으로 돌아선 것은, 충남 출신의 윤보선과 전남 출신의 김대중의 차이로 분석된다.
 
* '''강원''': 역시 여당(박정희)의 득표율이 증가하였다.
 
  
 
== 선거 이후 ==
 
== 선거 이후 ==
 
이로서 박정희는 3선에 성공하였고, [[제3차 경제개발계획]]에 박차를 가했다.  
 
이로서 박정희는 3선에 성공하였고, [[제3차 경제개발계획]]에 박차를 가했다.  
  
예상 밖으로 큰 표 차로 패배한 신민당은 '''이 선거는 부정선거다! 이번엔 진짜 부정선거다! '''라며 개거품을 물었고, 이로 인해 대학가를 중심으로 산발적인 시위가 이어지기도 했다. 실제로 민주공화당 측에서는 유권자의 투표를 독려하기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의 거금을 살포했다. <del>신민당도 뿌린 돈 액수가 작다 뿐이지, 선거운동을 깨끗하게 한 건 아니었다. 그냥 이때는 다 그랬다.</del>
+
예상 밖으로 큰 표 차로 패배한 신민당은 '''이 선거는 부정선거다! 이번엔 진짜 부정선거다! '''라며 개거품을 물었고, 이로 인해 대학가를 중심으로 산발적인 시위가 이어지기도 했다. 실제로 민주공화당 측에서는 유권자의 득표를 독려하기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의 거금을 살포했다. <del>신민당도 뿌린 돈 액수가 작다 뿐이지, 선거운동을 깨끗하게 한 건 아니었다. 그냥 이때는 다 그랬다.</del>
  
 
그리고 1년 뒤, 야당 측에서 그토록 우려하던 사태가 벌어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10월 유신]]을 단행,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암흑기에 빠뜨린다. 이로서 제7대 대통령 선거는 박정희 정권의 '''마지막 민주적인 대통령 선거'''가 된다.  
 
그리고 1년 뒤, 야당 측에서 그토록 우려하던 사태가 벌어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10월 유신]]을 단행,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암흑기에 빠뜨린다. 이로서 제7대 대통령 선거는 박정희 정권의 '''마지막 민주적인 대통령 선거'''가 된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