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1번째 줄: 11번째 줄:
 
맛세포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맛은 5개의 기본 맛뿐이지만, 실제로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음식의 [[냄새]], [[질감]], [[온도]], [[자극]] 등도 함께 느끼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다양한 맛이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추]]의 ‘매운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 수용체를 통해 느껴지는 것이며, 익지 않은 [[감]]의 ‘떫은맛’은 압각 수용체를 통해 느껴지는 감각이다. 또한, [[감기]]에 걸려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되면 음식이 맛없게 느껴지는 것도 우리가 사실 ‘맛’이라고 하는 것에는 냄새가 많이 작용한다는 증거이다.  
 
맛세포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맛은 5개의 기본 맛뿐이지만, 실제로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음식의 [[냄새]], [[질감]], [[온도]], [[자극]] 등도 함께 느끼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다양한 맛이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추]]의 ‘매운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 수용체를 통해 느껴지는 것이며, 익지 않은 [[감]]의 ‘떫은맛’은 압각 수용체를 통해 느껴지는 감각이다. 또한, [[감기]]에 걸려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되면 음식이 맛없게 느껴지는 것도 우리가 사실 ‘맛’이라고 하는 것에는 냄새가 많이 작용한다는 증거이다.  
  
원래 미각은 입속에 들어온 음식이 몸에 좋은 영양분인지 몸을 해치는 독인지 구분하기 위해 발달한 감각이다. 예를 들어, 단맛이 나는 음식은 에너지원인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므로 본능적으로 이끌리게 되며, 반대로 쓴맛이 아는 음식은 독이 있는 음식이라는 경고이므로 본능적으로 거부감이 든다. 과거에는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찾기가 어려웠어서 ‘단맛에 대한 선호’가 생존에 큰 도움이 되었지만, 음식을 아주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대에는 오히려 과도한 당분 섭취로 인한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
원래 미각은 입속에 들어온 음식이 몸에 좋은 영양분인지 몸을 해치는 독인지 구분하기 위해 발달한 감각이다. 예를 들어, 단맛이 나는 음식은 에너지원인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므로 본능적으로 이끌리게 되며, 반대로 쓴맛이 아는 음식은 독이 있는 음식이라는 경고이므로 본능적으로 거부감이 든다. 과거에는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찾기가 어려웠어서 ‘단맛에 대한 선호’가 생존에 큰 도움이 되었지만, 음식을 아주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대에는 오히려 과도한 당분 섭취로 인한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사람]]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혀유두가 줄어들고 [[침]] 분비가 감소하므로 맛이 잘 느껴지지 않게 된다. 맛은 동물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느낀다. [[설치류]]는 사람은 느끼지 못하는 [[전분]]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  
 
[[사람]]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혀유두가 줄어들고 [[침]] 분비가 감소하므로 맛이 잘 느껴지지 않게 된다. 맛은 동물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느낀다. [[설치류]]는 사람은 느끼지 못하는 [[전분]]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