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명칭 = 새마을호
 
| 명칭 = 새마을호
 
| 열차 등급 = 급행
 
| 열차 등급 = 급행
| 운행일 = 1969년 2월 10일 ~ '''현재'''  
+
| 운행일 = 1969년 ~ '''현재'''  
 
| 운영 주체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주체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사용 노선 = [[장항선]]
 
| 사용 노선 = [[장항선]]
11번째 줄: 11번째 줄:
 
{{대사|1970~90년대 호화 열차의 대명사}}
 
{{대사|1970~90년대 호화 열차의 대명사}}
  
'''새마을호'''는 [[코레일]]에서 운행하는 급행 여객 열차 등급 또는 해당 등급으로 운영되는 열차의 명칭이다. [[1969년]] 관광호라는 이름으로 첫 등장 당시 새마을호는 가장 고급스럽고 빠른 열차였으며, [[1974년]] 새마을호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오랫동안 한국 철도의 황태자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2004년에 고속열차인 [[KTX]]가 등장하면서 ‘가장 빠른 열차’ 타이틀을 KTX에 넘겨주었다. 2014년부터는 [[ITX-새마을]]이 도입되어 기존의 새마을호를 대체하고 있으며, 2018년 5월 1일부터는 [[장항선]] 단 한 구간에서만 무궁화호 리미트객차를 승격시킨 열차가 새마을호라는 이름으로 운행되고 있다.  
+
'''새마을호'''는 [[코레일]]에서 운행하는 급행 여객 열차 등급 또는 해당 등급으로 운영되는 열차의 명칭이다. [[1974년]] 첫 등장 당시 새마을호는 가장 고급스럽고 빠른 열차였으며, 오랫동안 한국 철도의 황태자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2004년에 고속열차인 [[KTX]]가 등장하면서 ‘가장 빠른 열차’ 타이틀을 KTX에 넘겨주었다. 2014년부터는 [[ITX-새마을]]이 도입되어 기존의 새마을호를 대체하고 있으며, 2018년 5월 1일부터는 [[장항선]] 단 한 구간에서만 무궁화호 리미트객차를 승격시킨 열차가 새마을호라는 이름으로 운행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 관광호 시절 ===
 
=== 관광호 시절 ===
 +
{{본문|관광호}}
 
[[파일:관광호.png|250픽셀|섬네일|관광호. 일본 [[신칸센]]을 따라한 디자인이 돋보인다.]]
 
[[파일:관광호.png|250픽셀|섬네일|관광호. 일본 [[신칸센]]을 따라한 디자인이 돋보인다.]]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는 1969년 2월 10일 [[경부선]]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관광호는 서울-대전-동대구-부산 단 4역에만 정차하는 VIP 고객들을 위한 열차였다. 관광호는 서울~부산 구간을 5시간 45분 만에 주파하였다.
+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는 1969년 2월 10일 [[경부선]]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관광호는 서울-대전-동대구-부산 단 4역에만 정차하는 VIP 고객들을 위한 열차였다. 관광호는 서울~부산 구간을 5시간 45분 만에 주파하였다.
 
 
철도 기술이 열악하고 자금 사정도 넉넉지 않던 1960년대 말에 최고급 열차를 도입하겠다는 일념으로 거금을 들여 [[일본]]에서 객차와 발전차를 수입했다. 초기에는 [[신칸센]]을 어설프게 따라 한듯한 기관차를 사용하였으나 이 기관차는 이후 소리소문없이 조용히 사라졌다. 이 때문에 관광호를 ‘할 게 없어서 신칸센이나 모방한 흑역사’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으나, 사실 철도 기술이 낙후된 당시 상황에서 어떻게든 선진국형 철도를 구사하려는 철도청의 고뇌도 담겨 있다.
 
 
 
서민들이나 타는 2등칸, 3등칸 같은 건 과감하게 없애고, 1등칸과 특1등칸 두 등급으로 운영하였다. 특1등칸에는 푸른색 카페트를 깔아 고급스러움을 더했고, 좌석마다 승무원을 호출할 수 있는 초인종, 베게, 휴지통, 간이탁자를 설치하였다. 특히 칸막이로 구분된 ‘비즈니스 룸’에는 간단한 사무업무를 볼 수 있도록 사무실 책상 등이 설치되었다.
 
 
 
‘살롱카’라는 이름의 식당칸+전망칸이 있었다. 살롱카는 ‘호화열차’의 끝을 보여주는 시설이었다. 살롱카는 열차의 맨 마지막 칸으로서, 승객들은 후면 전망창을 통해 열차가 지나간 후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었다.
 
 
 
당시 가정집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던 [[에어컨]]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다.
 
 
 
엄청난 가격으로 서민들에게는 그저 그림의 떡이었다. 당시 서울-부산 간 편도요금이 특1등칸 4700원, 1등칸 4200원이었는데 지금으로 치면 30-40만 원에 해당하는 거금이었다. 열차를 서민들의 이동수단 이상으로 보지 않던 시절에 도입된 호화열차 관광호는 한국 철도의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운행을 시작할 당시부터 언론에서 심하게 비난받은 열차이기도 하다. 반일감정이 크던 시절에 신칸센을 모방한 외형으로 손가락질을 받았고, 높은 가격으로 서민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준다고 욕먹었다. 결국, 비난 여론을 견디다 못해 1974년에 새마을호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같은 객차는 1982년까지 생산되었다. 1982년 생산된 객차는 무궁화호로 격하되었다가 통일호로 재격하되어 정선아리랑유람열차로 운행하였다. 그러나 열차 노후화로 2008년 운행을 종료하였다.
 
  
 
=== 전성기 ===
 
=== 전성기 ===
37번째 줄: 26번째 줄:
  
 
=== 몰락과 퇴역 ===
 
=== 몰락과 퇴역 ===
그러나 2004년에 [[KTX]]가 도입되면서 새마을호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가장 빠른 열차’ 타이틀을 KTX에게 내준 새마을호는 이제 ‘별로 빠르지도 않으면서 비싸기만 비싼’ 열차가 되어버렸다. 새마을호가 정차하는 역이 늘어나면서 [[무궁화호]]와 시간 차이가 별반 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새마을호를 찾는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열차 편수도 줄어나갔다. 2012년에는 ‘특급 여객’이었던 열차의 등급마저 무궁화호와 동급인 ‘급행 여객’으로 격하되었다. 그리고 일부 객차는 무궁화호로 격하되기까지 하였다.
+
그러나 2004년에 [[KTX]]가 도입되면서 새마을호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가장 빠른 열차’ 타이틀을 KTX에게 내준 새마을호는 이제 ‘별로 빠르지도 않으면서 비싸기만 비싼’ 열차가 되어버렸다. 새마을호가 정차하는 역이 늘어나면서 [[무궁화호]]와 시간 차이가 별반 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새마을호를 찾는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열차 편수도 줄어나갔다. 2012년에는 ‘특급 여객’이었던 열차의 등급마저 무궁화호와 동급인 ‘급행 여객’으로 격하되었다.  
  
 
2014년부터 [[ITX-새마을]]이 도입되어 기존의 노후화된 새마을호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2018년 4월 30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기존의 새마을호 객차는 모두 퇴역하였다. 퇴역 당시 새마을호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바람에 마지막 새마을호 열차는 운행 1달 전에 일찌감치 매진되었다. 여러 방송사에서도 마지막 새마을호 열차 운행에 관심을 갖고 보도하였다.  
 
2014년부터 [[ITX-새마을]]이 도입되어 기존의 노후화된 새마을호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2018년 4월 30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기존의 새마을호 객차는 모두 퇴역하였다. 퇴역 당시 새마을호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바람에 마지막 새마을호 열차는 운행 1달 전에 일찌감치 매진되었다. 여러 방송사에서도 마지막 새마을호 열차 운행에 관심을 갖고 보도하였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