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는 1969년 2월 10일 [[경부선]]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관광호는 서울-대전-동대구-부산 단 4역에만 정차하는 VIP 고객들을 위한 열차였다. 관광호는 서울~부산 구간을 5시간 45분 만에 주파하였다.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는 1969년 2월 10일 [[경부선]]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관광호는 서울-대전-동대구-부산 단 4역에만 정차하는 VIP 고객들을 위한 열차였다. 관광호는 서울~부산 구간을 5시간 45분 만에 주파하였다.
 
철도 기술이 열악하고 자금 사정도 넉넉지 않던 1960년대 말에 최고급 열차를 도입하겠다는 일념으로 거금을 들여 [[일본]]에서 객차와 발전차를 수입했다. 초기에는 [[신칸센]]을 어설프게 따라 한듯한 기관차를 사용하였으나 이 기관차는 이후 소리소문없이 조용히 사라졌다. 이 때문에 관광호를 ‘할 게 없어서 신칸센이나 모방한 흑역사’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으나, 사실 철도 기술이 낙후된 당시 상황에서 어떻게든 선진국형 철도를 구사하려는 철도청의 고뇌도 담겨 있다.
 
 
서민들이나 타는 2등칸, 3등칸 같은 건 과감하게 없애고, 1등칸과 특1등칸 두 등급으로 운영하였다. 특1등칸에는 푸른색 카페트를 깔아 고급스러움을 더했고, 좌석마다 승무원을 호출할 수 있는 초인종, 베게, 휴지통, 간이탁자를 설치하였다. 특히 칸막이로 구분된 ‘비즈니스 룸’에는 간단한 사무업무를 볼 수 있도록 사무실 책상 등이 설치되었다.
 
 
‘살롱카’라는 이름의 식당칸+전망칸이 있었다. 살롱카는 ‘호화열차’의 끝을 보여주는 시설이었다. 살롱카는 열차의 맨 마지막 칸으로서, 승객들은 후면 전망창을 통해 열차가 지나간 후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었다.
 
 
당시 가정집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던 [[에어컨]]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다.
 
  
 
엄청난 가격으로 서민들에게는 그저 그림의 떡이었다. 당시 서울-부산 간 편도요금이 특1등칸 4700원, 1등칸 4200원이었는데 지금으로 치면 30-40만 원에 해당하는 거금이었다. 열차를 서민들의 이동수단 이상으로 보지 않던 시절에 도입된 호화열차 관광호는 한국 철도의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엄청난 가격으로 서민들에게는 그저 그림의 떡이었다. 당시 서울-부산 간 편도요금이 특1등칸 4700원, 1등칸 4200원이었는데 지금으로 치면 30-40만 원에 해당하는 거금이었다. 열차를 서민들의 이동수단 이상으로 보지 않던 시절에 도입된 호화열차 관광호는 한국 철도의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