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수돗물.jpg|300픽셀|섬네일|수돗물은 수도꼭지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이다.]]
 
[[파일:수돗물.jpg|300픽셀|섬네일|수돗물은 수도꼭지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이다.]]
  
'''수돗물'''({{llang|en|Tap water}})는 [[상수도]]를 통해 운반되어 [[수도꼭지]]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이다. 식수, 목욕, 요리, [[화장실]] 변기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19세기 이전까지 [[강]]이나 [[우물]] 등을 통해서만 필요한 물을 구할 수 있었으나 1908년, [[대한수도회사]]에서 운영하는 뚝도 정수장이 준공되면서부터 [[서울]] 용산 지역을 시작으로 수돗물 공급이 시작되었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상수도 보급률은 99.4%로<ref>[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47082 상수도 보급률, 도시와 농어촌 격차 감소], <국토일보>, 2022년 1월 1일</ref> 지역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준 이상의 수돗물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빈민들에 대한 수돗물 공급이 빈약한 실정이다.  
+
'''수돗물'''({{llang|en|Tap water}})는 [[상수도]]를 통해 운반되어 [[수도꼭지]]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이다. 식수, 목욕, 요리, [[화장실]] 변기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19세기 이전까지 [[강]]이나 [[우물]] 등을 통해서만 필요한 물을 구할 수 있었으나 1908년, [[대한수도회사]]에서 운영하는 뚝도 정수장이 준공되면서부터 [[서울]] 용산 지역을 시작으로 수돗물 공급이 시작되었다. 2018년 기준 한국의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지역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준 이상의 수돗물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빈민들에 대한 수돗물 공급이 빈약한 실정이다.  
  
 
수돗물, 특히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수돗물은 엄격한 수질관리를 거쳐 생산되기 때문에 대개 [[식수|바로 마셔도 괜찮다]]. 그러나 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돗물의 수질이 아닌 각 가정에 설치된 수도관 파이프나 물탱크로서, 오래된 집의 경우 수도관이 노후하여 [[녹]] 등이 슬어 있을 수 있다. 수돗물의 품질을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는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수돗물을 끓인 후 마셔야 한다.  
 
수돗물, 특히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수돗물은 엄격한 수질관리를 거쳐 생산되기 때문에 대개 [[식수|바로 마셔도 괜찮다]]. 그러나 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돗물의 수질이 아닌 각 가정에 설치된 수도관 파이프나 물탱크로서, 오래된 집의 경우 수도관이 노후하여 [[녹]] 등이 슬어 있을 수 있다. 수돗물의 품질을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는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수돗물을 끓인 후 마셔야 한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수돗물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오염 사태에 노출되어 있다. 공중보건에 위해를 가할 정도의 오염 사태가 벌어지면 정부에서는 수돗물 사용에 대한 경고를 해야 한다. 생물학적 오염의 경우 물을 끓여 마시거나 생수를 사 마시는 것이 권장된다. 화학적 오염의 경우에는 사태가 정리될 때 까지 수돗물 사용을 전면 중단하는 것이 좋다. 한국에서 발생한 것 중 최악의 수돗물 오염 사태로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등이 손꼽힌다.  
 
수돗물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오염 사태에 노출되어 있다. 공중보건에 위해를 가할 정도의 오염 사태가 벌어지면 정부에서는 수돗물 사용에 대한 경고를 해야 한다. 생물학적 오염의 경우 물을 끓여 마시거나 생수를 사 마시는 것이 권장된다. 화학적 오염의 경우에는 사태가 정리될 때 까지 수돗물 사용을 전면 중단하는 것이 좋다. 한국에서 발생한 것 중 최악의 수돗물 오염 사태로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등이 손꼽힌다.  
  
또한, 한국에서는 1981년 진해를 시작으로 [[구강보건]]을 위해 [[불소]]를 수돗물에 첨가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실시해왔었다. 이후 사업이 확대되면서 2012년 기준 불소화 지역은 [[광주시]], [[안산시]], [[안성시]], [[강릉시]], [[영월군]], [[옥천군]], [[서산시]], [[여수시]], [[해남군]], [[거제시]], [[김해시]], [[진주시]], [[창원시]], [[창녕군]], [[남해군]], [[합천군]] 등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수돗물 불소화는 효과가 불분명하고 주민의 선택권 침해라는 논란에 부딪혔다. 결국 각 지자체에서 지역여론을 반영하여 수돗물 불소화 정책을 철회하더니 결국 2019년부터는 대한민국 모든 지역에서 해당 사업이 중단되었다.<ref>[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075 수불사업 중단... 그 뼈 아픈 역사!], <건치뉴스>, 2019년 7월 12일</ref>
+
또한, 한국에서는 1981년 진해를 시작으로 [[구강보건]]을 위해 [[불소]]를 수돗물에 첨가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실시해왔었다. 이후 사업이 확대되면서 2012년 기준 불소화 지역은 [[광주시]], [[안산시]], [[안성시]], [[강릉시]], [[영월군]], [[옥천군]], [[서산시]], [[여수시]], [[해남군]], [[거제시]], [[김해시]], [[진주시]], [[창원시]], [[창녕군]], [[남해군]], [[합천군]] 등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수돗물 불소화는 효과가 불분명하고 주민의 선택권 침해라는 논란에 부딪혔다. 결국 각 지자체에서 지역여론을 반영하여 수돗물 불소화 정책을 철회하더니 결국 2019년부터는 대한민국 모든 지역에서 해당 사업이 중단되었다.<ref>[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075 수불사업 중단... 그 뼈 아픈 역사!], 건치뉴스, 2019년 7월 12일</ref>
  
 
== 식수로서의 수돗물 ==
 
== 식수로서의 수돗물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