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대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6번째 줄: 36번째 줄:
 
* [[서대전역]]
 
* [[서대전역]]
 
* [[으능정이거리]]
 
* [[으능정이거리]]
*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 [[한화 이글스]]의 홈구장이다. 1964년 완공되었다.
+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한화 이글스]]의 홈구장이다. 1964년 완공되었다.  
  
 
== 정치성향 ==
 
== 정치성향 ==
구도심에 해당하는 중구는 [[동구(대전)|동구]], [[대덕구]]와 함께 대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보수 세력이 강한 3구 중 하나로 분류된다. 역사적으로 충청도는 [[보수]]적인 세력이 강한 지역인데, 중구는 충청도 토박이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므로 보수적인 정치 성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문창동 같이 오래된 저밀도 주거단지와 서부종합시장 등의 낙후된 상업 지구를 중심으로 보수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대전의 구도심 지역에 해당하는 중구는 [[대덕구]], [[동구(대전)|동구]]와 함께 보수적인 정치성향을 나타낸다. 대전 토박이들의 인구비율이 높은 지역이므로 지역 현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2002년 대선]]과 [[2004년 총선]]에서는 대전으로의 수도 이전을 주장한 [[노무현]]-[[열린우리당]]에 대한 지지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2012년 대선]]에서는 [[세종시]] 원안 고수를 주장한 [[박근혜]]에 대한 지지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지역 투표 성향이 강하다는 특징도 있다. 예를 들어,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충청 지역의 유력 정치인인 [[김종필]]과 연합(DJP 엽합) 하였는데, 이 때 중구의 김대중 후보 득표율은 대전의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보수적인 정치 성향과는 반대로 민주당계인 김대중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얻은 것인데, 이는 정치 성향을 뛰어넘은 지역 투표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 역대 선거결과 ===
 
 
===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 선거명
 
! 선거명
! 97 대선
+
! 02 지방
 
! 02 대선
 
! 02 대선
 +
! 04 총선
 +
! 06 지방
 
! 07 대선
 
! 07 대선
 +
! 08 총선
 +
! 10 지방
 +
! 12 총선
 
! 12 대선
 
! 12 대선
! 17 대선
+
! 14 지방
! 22 대선
 
 
|-
 
|-
 
! 중구 최다득표
 
! 중구 최다득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김대중'''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김성기'''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열린우리당'''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은권'''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자유선진당'''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박용갑'''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새누리당'''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박근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박근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박용갑'''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윤석열'''
 
 
|-
 
|-
 
! 중구 득표율
 
! 중구 득표율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5.7%'''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49.5%'''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5.0%'''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5.0%'''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3.7%'''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6.0%'''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6.6%'''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6.6%'''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39.4%'''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 '''39.5%'''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7.5%'''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3.7%'''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3.7%'''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39.6%'''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0.9%'''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1.7%'''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
 
! 대전 판도
 
! 대전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5.0%</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민련<br>5/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5.1%</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5.1%</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43.8%</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5/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36.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36.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유선진당<br>34.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유선진당<br>3/5</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34.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0.0%</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0.0%</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3.0%</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새정치연합<br>4/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49.6%</small>
 
 
|-
 
|-
 
! 전국 판도
 
! 전국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0.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136/22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155/230</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37.5%</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민주당<br>92/228</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42.8%</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1.1%</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117/22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48.6%</small>
 
 
|-
 
|-
! colspan="11"| <small>*보수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 colspan="11"| <small>*보수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당/진보 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 총선(국회의원 선거)은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기준이다.<br>* 지방(지방선거)은 구·시·군의장선거 기준이다.</small>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