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Hunminjeongum.jpg|300픽셀|섬네일|한자는 한국어를 표기할 수단이 없어 중국 문자를 빌려온 것이다. 사진은 [[훈민정음]]이다.<ref>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고서 소개한 책인데, 왜 한글이 아니라 한자로 적혀 있냐고? 잘 생각해 봐라. 한글을 모르는 사람에게 한글을 소개하는 책인데, 한글로 적으면 어떻게 읽겠는가?</ref>]]
 
[[File:Hunminjeongum.jpg|300픽셀|섬네일|한자는 한국어를 표기할 수단이 없어 중국 문자를 빌려온 것이다. 사진은 [[훈민정음]]이다.<ref>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고서 소개한 책인데, 왜 한글이 아니라 한자로 적혀 있냐고? 잘 생각해 봐라. 한글을 모르는 사람에게 한글을 소개하는 책인데, 한글로 적으면 어떻게 읽겠는가?</ref>]]
  
'''한자'''(漢字)는 중국 문자를 [[한국]]에서 이르는 말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이전까지는 [[한국어]]는 있었지만 한국어를 표기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 문자를 빌려와 한국어를 적은 것이고, 이를 한자라고 한다. 한자는 문자 상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에서도 [[일본어]]를 표기위한 수단으로 중국 문자가 도입되었지만, 일본인들은 중국 문자를 변형시켜 [[간지]]를 만들었다. 심지어는 본토 중국에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자를 다소 간략화 시켜서 표현하게 되었다(예-나라 국 國→国). 그런데 유독 한국에서는 원형 그대로의 문자를 고집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
'''한자'''(漢字)는 중국 문자를 [[한국]]에서 이르는 말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이전까지는 [[한국어]]는 있었지만 한국어를 표기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 문자를 빌려와 한국어를 적은 것이고, 이를 한자라고 한다. 한자는 문자 상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에서도 [[일본어]]를 표기위한 수단으로 중국 문자가 도입되었지만, 일본인들은 중국 문자를 변형시켜 [[간지]]를 만들었다. 심지어는 본토 중국에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자를 다소 간략화 시켜서 표현하게 되었다(예-나라 국 國→国). 그런데 유독 한국에서는 원형 그대로의 문자를 고집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del>이게 다 [[조선]]의 꽉막힌 사대부들 때문...</del>
  
 
1440년, [[세종대왕]]이 한국어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문자인 [[한글]]을 창제하게 되면서 더 이상 한자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한자에 비해 한글은 배우기도 쉬워 평민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의 위정자들은 자신들의 권위와 특권을 평민들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한문의 사용을 고집했다.  
 
1440년, [[세종대왕]]이 한국어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문자인 [[한글]]을 창제하게 되면서 더 이상 한자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한자에 비해 한글은 배우기도 쉬워 평민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의 위정자들은 자신들의 권위와 특권을 평민들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한문의 사용을 고집했다.  
  
오늘날 한자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전의 [[문학]] 및 [[역사]]의 [[자료]]가 모두 한자로 적혀있기 때문에 한국의 역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한자를 알아야 한다. 또한, 한자는 뜻글자이기 때문에 단어의 뜻을 알려주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비출혈”이란 단어의 뜻을 모른다 하더라도, 옆에 “비출혈(鼻出血)”이라고 한자 표기를 병행하면 鼻(코 비), 出(나올 출), 血(피 혈) - 합쳐보면 “비출혈 = [[코]]에서 [[피]]가 나오는 것”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오늘날 한자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전의 [[문학]] 및 역사자료가 모두 한자로 적혀있기 때문에 한국의 역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한자를 알아야 한다. 또한, 한자는 뜻글자이기 때문에 단어의 뜻을 알려주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비출혈”이란 단어의 뜻을 모른다 하더라도, 옆에 “비출혈(鼻出血)”이라고 한자 표기를 병행하면 鼻(코 비), 出(나올 출), 血(피 혈) - 합쳐보면 “비출혈 = [[코]]에서 [[피]]가 나오는 것”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한국]]에 중국 문자가 들어오게 된 가장 큰 계기는 중국으로부터의 [[불교]] 전래이다. 하지만, 한국에 한자를 도입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문서는 [[종교]]와 관련된 것이 아닌, [[천자문]](千字文)이라는 책이었다. 천자문은 말 그대로 1,000자로 지은 책으로서, 이후 한문 초학자를 위한 교재로 널리 이용되었다.
 
[[한국]]에 중국 문자가 들어오게 된 가장 큰 계기는 중국으로부터의 [[불교]] 전래이다. 하지만, 한국에 한자를 도입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문서는 [[종교]]와 관련된 것이 아닌, [[천자문]](千字文)이라는 책이었다. 천자문은 말 그대로 1,000자로 지은 책으로서, 이후 한문 초학자를 위한 교재로 널리 이용되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법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를 중국 문자로 적기 위해서는 중국어의 문법 구조를 따로 배워야 했다. 하지만 먹고 살기 바쁜 평민들의 경우 그럴 겨를이 없었다. 그래서 개발한 방법이 [[향찰]]이다. 향찰은 문법과는 상관없이 한자의 음과 훈만을 빌려 한국어를 소리 나는 데로 표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선화공주님”이라는 한국어를 앞의 “선화공주”는 한자의 음을 빌려 “善化公主”로 표기하고, 뒤의 “님”은 한자의 뜻을 빌려 “主”('''님''' 주)이라고 표기하는 식이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구결]]은 한자 사이에 한글로 토를 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여'''” 같은 것이다.
+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법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를 중국 문자로 적기 위해서는 중국어의 문법 구조를 따로 배워야 했다. 하지만 먹고살기 바쁜 평민들의 경우 그럴 겨를이 없었다. 그래서 개발한 방법이 [[향찰]]이다. 향찰은 문법과는 상관없이 한자의 음과 훈만을 빌려 한국어를 소리 나는 데로 표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선화공주님”이라는 한국어를 앞의 “선화공주”는 한자의 음을 빌려 “善化公主”로 표기하고, 뒤의 “님”은 한자의 뜻을 빌려 “主”('''님''' 주)이라고 표기하는 식이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구결]]은 한자 사이에 한글로 토를 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여'''” 같은 것이다.
  
 
15세기에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이 한자를 대체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한글이 한자를 완전히 대체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이다. 1980년대부터는 [[신문]]이나 [[잡지]]에서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던 것을 점차 한글 전용으로만 쓰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부터는 [[인터넷]] 보급과 더불어 한글 전용 추세가 강화되었다. 하지만 [[사전]] 등에는 원활한 뜻풀이를 위해 한자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있다.
 
15세기에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이 한자를 대체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한글이 한자를 완전히 대체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이다. 1980년대부터는 [[신문]]이나 [[잡지]]에서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던 것을 점차 한글 전용으로만 쓰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부터는 [[인터넷]] 보급과 더불어 한글 전용 추세가 강화되었다. 하지만 [[사전]] 등에는 원활한 뜻풀이를 위해 한자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있다.
57번째 줄: 57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간지]] - [[일본]]에서 쓰이는 한자.
+
* [[간지]] - 일본에서 쓰이는 한자.
 
* [[한투]] - [[베트남]]에서 쓰이는 한자.
 
* [[한투]] - [[베트남]]에서 쓰이는 한자.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