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Asmodée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성적임}} | {{성적임}} | ||
− |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 + |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있다. |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고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 왔다. 이는 여성이 다른 남성의 아이를 [[임신]]한 뒤 (호구 같은) 한 남성에게 아이를 떠넘기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남성이 처녀를 선호하는 현상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이다. |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고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 왔다. 이는 여성이 다른 남성의 아이를 [[임신]]한 뒤 (호구 같은) 한 남성에게 아이를 떠넘기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남성이 처녀를 선호하는 현상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이다. |
2016년 1월 6일 (수) 12:21 판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있다.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고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 왔다. 이는 여성이 다른 남성의 아이를 임신한 뒤 (호구 같은) 한 남성에게 아이를 떠넘기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남성이 처녀를 선호하는 현상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이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같이 보기
인간의 생식기관 | ||
---|---|---|
여성 | ![]() | |
남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