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주택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소액주택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이란 해당 주택에 대한 경매가 시작된 경우 소액주택임차인이 안전하게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틀:법}} | ||
'''소액주택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이란 해당 주택에 대한 경매가 시작된 경우 소액주택임차인이 안전하게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다른 어떤 권리자보다 우선하여 최우선적으로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단, 최우선변제권은 모든 보증금의 최우선변제가 아니라 보증금의 일부에 대한 최우선변제권임을 조심하자. | '''소액주택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이란 해당 주택에 대한 경매가 시작된 경우 소액주택임차인이 안전하게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다른 어떤 권리자보다 우선하여 최우선적으로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단, 최우선변제권은 모든 보증금의 최우선변제가 아니라 보증금의 일부에 대한 최우선변제권임을 조심하자. | ||
5번째 줄: | 6번째 줄: | ||
이러한 최우선변제는 [[대통령]]령으로서 지역별로 설정된 소액주택임대차보증금을 따른다. | 이러한 최우선변제는 [[대통령]]령으로서 지역별로 설정된 소액주택임대차보증금을 따른다. | ||
− | [[분류:법]] | + | {{틀:민법}} |
+ | [[분류:민법]][[분류:대한민국의 법]] |
2013년 9월 14일 (토) 22:30 기준 최신판
소액주택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이란 해당 주택에 대한 경매가 시작된 경우 소액주택임차인이 안전하게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다른 어떤 권리자보다 우선하여 최우선적으로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단, 최우선변제권은 모든 보증금의 최우선변제가 아니라 보증금의 일부에 대한 최우선변제권임을 조심하자.
최우선변제 요건은 주택의 점유와 전입 신고를 마친 경우 즉, 대항요건을 갖춘 경우이다. 정확히는 주택의 점유와 전입 신고를 마친 날로부터 다음 날.
이러한 최우선변제는 대통령령으로서 지역별로 설정된 소액주택임대차보증금을 따른다.
대한민국 민법 | |
---|---|
민법총칙 |
· 민법의 기본원리 · 행위능력 · 행위무능력자(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미성년자) · 의사능력(의사무능력자) · 의사표시(진의 아닌 의사표시, 통정허위표시,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 사기 ·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
물권법 | |
채권총론 |
· 채무불이행 |
채권각론 | |
친족 · 상속법 |
· 유산 |